목차
Ⅰ. 장로교(Presbyterian Church) ……… p 1~2
Ⅱ. 감리교(Methodist Church) ………… p 3~4
Ⅲ. 침례교(Baptist church) ……………… p 5~6
Ⅳ. 성결교 …………………………………… p 7
Ⅴ. 순복음교 …………………………………… p 8~9
Ⅵ. 비교 도표 ………………………………… p 10
Ⅱ. 감리교(Methodist Church) ………… p 3~4
Ⅲ. 침례교(Baptist church) ……………… p 5~6
Ⅳ. 성결교 …………………………………… p 7
Ⅴ. 순복음교 …………………………………… p 8~9
Ⅵ. 비교 도표 ………………………………… p 10
본문내용
과 목 명
담당교수
기독교 대표적 교파에 대한 정리
( 장로, 감리, 침례, 성결, 순복음 )
학 과
학 번
이 름
제 출 일
목 차
Ⅰ. 장로교(Presbyterian Church) ……… p 1~2
Ⅱ. 감리교(Methodist Church) ………… p 3~4
Ⅲ. 침례교(Baptist church) ……………… p 5~6
Ⅳ. 성결교 …………………………………… p 7
Ⅴ. 순복음교 …………………………………… p 8~9
Ⅵ. 비교 도표 ………………………………… p 10
1. 장로교(Presbyterian Church)
- 장로교회는 장로(presbyter, elder)에 의해서 치리 되는 교회 조직입니다. 교회 행정은 \'가르치는 장로\'(목사)와 \'치리 하는 장로\'(장로)에 의해서 이끌어지는데 장로들은 교인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되어 노회에서 안수받아 장립됩니다. 장로교회가 독자적인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은 종교개혁 기간 중이었는데, 교황제도가 비성경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은 종교개혁자들은 장로제도가 사도들의 전통을 계승한 제도임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제도를 명확하게 규명한 것이 바로 장로교 창시자로 불리는 칼빈입니다. 칼빈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실시한 신정정치는 장로제도를 구체화시켰는데, 우선 1559년 프랑스의 2천 교회가 장로회를 받아들였으며, 네덜란드에서도 1563년 앤트워프에서 장로교회가 창설되었는데, 네덜란드에서는 장로교회라고 부르지 않고 개혁교회라고 부릅니다.
장로교회가 가장 활발하게 추진된 나라는 스코틀랜드였습니다. 종교개혁자 존 낙스에 의해 1560년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창립총회가 열렸으며, 이 교회는 스코틀랜드 국교회가 되었습니다. 스코틀랜드는 영국과 미국 장로교회의 확산지 였습니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복음을 전해준 사람들도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소속의 존 로스와 맥킨타이어 선교사였습니다.
- 장로교 5대 교리는 TULIP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1) 인간의 전적 타락
2) 하나님의 무조건 선택
3) 제한된 속죄
4) 불가항력적 은혜
5) 성도의 견인입니다.
- 장로교 신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습니다.
(1) 각 사람의 구원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에 의해 이루어진다.
(2) 각 신도의 구원은 영원한 하나님의 뜻의 일부이다.
(3)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이며 믿음에 대한 상급이 아니다.
(4)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
(5)중생은 유일하신 하나님의 역사이다.
(6) 한번 구원받은 자는 언제나 구원받은 자로 있다.
장로교는 국내 개신교 중에서 가장 많은 성도와 가장 많은 교단을 가지고 있는 교파입니다. 장로교는 장로에 의해 치리되는 교회 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장로란 명칭상의 교회 장로만 가리키지 않습니다.
장로교는 신약성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독, 목사, 장로를 같은 직책으로 해석합니다. 그래서 장로를 가르치고(설교) 치리하는 장로와 치리만 하는 장로로 나누는데 전자는 목사이고, 후자가 교회 직제명인 장로입니다.
장로교는 민주적인 정치제도를 중시합니다. 그래서 장로나 안수집사, 권사 등의 교회 중직을 임명에 의해 세우지 않고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합니다.
심지어 장로교는 담임목사를 위임할 때도 먼저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들의 위임 투표를 거쳐야 합니다. 다른 장로교단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제가 속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 교단에는 공동의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가 나와야 담임목사를 위임목사로 임직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부목사를 청빙할 때도 먼저 제직회의 동의를 거쳐야 합니다. 그만큼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를 중시한다는 것이죠.
그러니까 장로교는 민주적인 절차에 의한 교회정치를 강조한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입니다. 장로교가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도를 가지게 된 하나의 원인은 어쩌면 이러한 민주적 교회정치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2. 감리교(Methodist Church)
- 감리교회는 요한 웨슬리의 신학과 신앙을 바탕으로 형성된 교회입니다. 계속된 영국 국교회의 타락에 회의를 느낀 웨슬리는 1719년 옥스퍼드 대학 안에서
담당교수
기독교 대표적 교파에 대한 정리
( 장로, 감리, 침례, 성결, 순복음 )
학 과
학 번
이 름
제 출 일
목 차
Ⅰ. 장로교(Presbyterian Church) ……… p 1~2
Ⅱ. 감리교(Methodist Church) ………… p 3~4
Ⅲ. 침례교(Baptist church) ……………… p 5~6
Ⅳ. 성결교 …………………………………… p 7
Ⅴ. 순복음교 …………………………………… p 8~9
Ⅵ. 비교 도표 ………………………………… p 10
1. 장로교(Presbyterian Church)
- 장로교회는 장로(presbyter, elder)에 의해서 치리 되는 교회 조직입니다. 교회 행정은 \'가르치는 장로\'(목사)와 \'치리 하는 장로\'(장로)에 의해서 이끌어지는데 장로들은 교인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되어 노회에서 안수받아 장립됩니다. 장로교회가 독자적인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은 종교개혁 기간 중이었는데, 교황제도가 비성경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은 종교개혁자들은 장로제도가 사도들의 전통을 계승한 제도임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제도를 명확하게 규명한 것이 바로 장로교 창시자로 불리는 칼빈입니다. 칼빈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실시한 신정정치는 장로제도를 구체화시켰는데, 우선 1559년 프랑스의 2천 교회가 장로회를 받아들였으며, 네덜란드에서도 1563년 앤트워프에서 장로교회가 창설되었는데, 네덜란드에서는 장로교회라고 부르지 않고 개혁교회라고 부릅니다.
장로교회가 가장 활발하게 추진된 나라는 스코틀랜드였습니다. 종교개혁자 존 낙스에 의해 1560년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창립총회가 열렸으며, 이 교회는 스코틀랜드 국교회가 되었습니다. 스코틀랜드는 영국과 미국 장로교회의 확산지 였습니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복음을 전해준 사람들도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소속의 존 로스와 맥킨타이어 선교사였습니다.
- 장로교 5대 교리는 TULIP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1) 인간의 전적 타락
2) 하나님의 무조건 선택
3) 제한된 속죄
4) 불가항력적 은혜
5) 성도의 견인입니다.
- 장로교 신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습니다.
(1) 각 사람의 구원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에 의해 이루어진다.
(2) 각 신도의 구원은 영원한 하나님의 뜻의 일부이다.
(3)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이며 믿음에 대한 상급이 아니다.
(4)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
(5)중생은 유일하신 하나님의 역사이다.
(6) 한번 구원받은 자는 언제나 구원받은 자로 있다.
장로교는 국내 개신교 중에서 가장 많은 성도와 가장 많은 교단을 가지고 있는 교파입니다. 장로교는 장로에 의해 치리되는 교회 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장로란 명칭상의 교회 장로만 가리키지 않습니다.
장로교는 신약성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독, 목사, 장로를 같은 직책으로 해석합니다. 그래서 장로를 가르치고(설교) 치리하는 장로와 치리만 하는 장로로 나누는데 전자는 목사이고, 후자가 교회 직제명인 장로입니다.
장로교는 민주적인 정치제도를 중시합니다. 그래서 장로나 안수집사, 권사 등의 교회 중직을 임명에 의해 세우지 않고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합니다.
심지어 장로교는 담임목사를 위임할 때도 먼저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들의 위임 투표를 거쳐야 합니다. 다른 장로교단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제가 속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 교단에는 공동의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가 나와야 담임목사를 위임목사로 임직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부목사를 청빙할 때도 먼저 제직회의 동의를 거쳐야 합니다. 그만큼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를 중시한다는 것이죠.
그러니까 장로교는 민주적인 절차에 의한 교회정치를 강조한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입니다. 장로교가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도를 가지게 된 하나의 원인은 어쩌면 이러한 민주적 교회정치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2. 감리교(Methodist Church)
- 감리교회는 요한 웨슬리의 신학과 신앙을 바탕으로 형성된 교회입니다. 계속된 영국 국교회의 타락에 회의를 느낀 웨슬리는 1719년 옥스퍼드 대학 안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