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지도안][4학년 2학기 둘째마당. 고운꿈 아름답게 - 2. 나라면 이렇게][창조적 재구성에 대한 개관․][시 창작하기의 개념 및 고려 요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업 지도안][4학년 2학기 둘째마당. 고운꿈 아름답게 - 2. 나라면 이렇게][창조적 재구성에 대한 개관․][시 창작하기의 개념 및 고려 요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문학. 4학년 2학기 둘째마당.
고운꿈 아름답게 - 2. 나라면 이렇게
1. 창조적 재구성에 대한 개관․ ․ ․ ․ ․ ․ ․ ․ ․ ․ ․ ․ ․ ․ ․ ․ ․ ․ ․ 2
2. 시 창작하기의 개념 및 고려 요소․ ․ ․ ․ ․ ․ ․ ․ ․ ․ ․ ․ ․ ․ ․ 3
3. 시 창작 교육의 교육적 의의․ ․ ․ ․ ․ ․ ․ ․ ․ ․ ․ ․ ․ ․ ․ ․ ․ ․ ․ 4
4. 시 창작하기의 교과서 반영 실태 분석․ ․ ․ ․ ․ ․ ․ ․ ․ ․ ․ ․ ․ 6
5. 시 창작 지도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10
(1) 지도에 들어가며-창조적 재구성을 위한 지도 방향 ․ ․ ․ ․ ․ ․ ․ ․10
(2) 시 두레학습을 통한 시 창작 능력의 확대․ ․ ․ ․ ․ ․ ․ ․ ․ ․ ․ ․ ․ ․ 11
(3) 패러디를 활용한 과정중심 시 창작 지도 방법․ ․ ․ ․ ․ ․ ․ ․ ․ ․ 14
(4) 시 창작을 위한 발상 지도 내용과 방법․ ․ ․ ․ ․ ․ ․ ․ ․ ․ ․ ․ ․ ․ 21
(5) 시 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 ․ ․ ․ ․ ․ ․ ․ ․ ․ ․ ․ ․ ․ ․ ․ ․ ․ ․ ․ 32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교과 외 학습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 읽기. 5학년 1학기 다섯째마당 - 행복한 만남
1.예측하기의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2.예측하기의 교육적 의의․ ․ ․ ․ ․ ․ ․ ․ ․ ․ ․ ․ ․ ․ ․ ․ ․ ․ ․ ․ ․ ․ 37
3.예측하기의 교과서 반영 실태 분석 ․ ․ ․ ․ ․ ․ ․ ․ ․ ․ ․ ․ ․ ․ ․ 42
4.예측하기 전략을 적용한 읽기 지도 방안․ ․ ․ ․ ․ ․ ․ ․ ․ ․ ․ 48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본문내용

에 관한 연구 -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전공, 정상선 2004
●패러디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연구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전공, 강진순
●국어교육연구 제 13집 -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교육학회
●1학년 1학기~6학년 2학기 7차 교사용 지도서
※ 교과 외 학습지
<감상학습지1>
<감상학습지2>
<감상학습지3>
1.예측하기의 개념
예측하기는 읽기의 전 과정에 따라 읽기를 지도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이다. 최영환(1996)은 읽기 과정에 따른 전략을 논의하면서 예측하기를 읽기 전 사고 활동으로 보고 있다. 그는 읽기 전 독자의 사고 활성화 전략으로 연상하기와 예측하기, 미리 보기를 들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읽기의 본질과 읽기 과정을 지나치게 단순화, 단계화 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읽기 자체의 과정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예측하기 전략은 읽기의 전 과정에 따라 지도 될 수 있는 전략이다.
예측하기 전략(predicting strategy)은 다음에 나올 내용에 대한 가설을 세우는 전략이다. 즉 글에 포함된 단서와 내용에 대한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미리 알아보게 하는 전략이다.
글을 읽는 다는 것은 독자의 예측을 전제로 하는 행위라고도 볼 수 있는 데 독자는 글을 읽으면서 끊임없이 예측을 해 나간다. 읽기는 독자와 글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독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름대로 예측을 계속하면서 의미를 구성해 나간다.
예측하기 전략은 글의 이해를 증진시킨다고 할 수 있다. 글을 읽는 것 자체가 예측하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이 과정을 의식적으로 드러내는 지도를 계속 하다보면 읽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이해를 증진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Brown & Palinscar (1983)는 읽은 글에 관한 질문은 읽은 것을 이해했다는 표시하며 또한 무엇을 이해하여야 하는 가에 대한 안내라고 하면서 읽은 글의 내용을 요약해 보고 다음을 예측할 수 있는 질문을 하도록 하는 것은 읽기를 증진시키고 자신의 읽기를 점검하는 좋은 활동이라고 하였다.
2.예측하기의 교육적 의의
◎ 예측하기 전략과 읽기 지도
최영희(1993)는 단계별 사고 활동의 과정에서 동원되는 인지 전략을 들면서 예측하기는 읽기 전 사고 활동 단계에서 정보를 예견하고 글의 내용 및 조직형태에 대해 예견한다고 하였다. 읽기 과정 단계에서는 예견한 내용을 확인하고 읽기 후 사고 활동 단계에서는 예견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하면서 성휘 정도를 평가하고 읽기 결과를 적용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읽기의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누었을 때 예측하기 전략은 모든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Lauren & Mary(1997)는 독자는 읽기에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선택한다고 하였다.
〈독자 선택 전략〉
읽기 전
① 읽기 과제와 목적 분석
② 텍스트 대충 읽기
③ 사전 지식 활용하기
④ 읽기의 목적 수립하기
⑤ 내용, 사건, 결과 예측
⑥ 텍스트에 대한 질문 제기
읽는 중
⑤ 내용, 사건, 결과 예측
⑥ 텍스트에 대한 질문 제기
⑦ 중요 개념과 관계 생각하기
⑧ 추론하기
⑨ 이해 점검하기
⑩ 전략 사용하기
⑪ 모르는 단어에 대해 상호 점검 전략 사용하기
⑫ 사전 지식과 정보를 통합하기
⑬ 텍스트에 대한 개인적으로 반응하기
읽은 후
⑫ 사전 지식과 정보를 통합하기
⑬ 텍스트에 대한 개인적으로 반응하기
⑭ 개념, 사건, 관계에 대해 재구성하기
⑮ 텍스트 요약하기
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예측이라는 활동이 읽기의 전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예측하기는 읽기 전에 내용, 사건의 결과를 예측하게 되는데 이는 읽기 활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예측하기로 읽기에 대해 목적을 세우게 되는데 읽은 후에 자신의 활동을 반성해 보게 됨에 따라 읽은 후의 단계까지도 연관됨을 알 수 있다.
예측하기는 읽고자 하는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이다. 특히 제목이다 그림은 흥미를 유발하고 글의 내용을 미리 생각해 보는 것은 읽고자 하는 동기를 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읽고자 하는 동기는 능동적으로 읽기의 모든 과정에 참여하게 하는 계기가 되어 읽기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다.
예측하기 전략은 과정 중심 읽기 교육에 가장 근접한 전략이라 볼 수 있다. 예측하기란 책을 읽기 전에 읽을 책을 제목, 사진, 글에 주어지는 여러 가지 단서를 통해 읽기를 멈추고 책에 있는 내용을 추측하는 것을 말한다. 제목이나 글의 첫 부분에서 미리 생각하기를 하고 그 생각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글의 전체를 몇 부분으로 나누어 다시 예측하기를 진행하면서 자신이 예측한 것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글의 목적과 내용 예측이 잘 이루어졌는지 반성해 보고 점검해 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속에 투입되어 아동의 읽기에 교사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예측하기는 아동이 주체가 되는 앍기 전략이로 할 수 있다. 자신이 갖고 있는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도록 돕고 내용을 예측하도록 하는 것은 스스로 생각하게 하고 자신의 읽기 과정을 조절하게 함으로써 아동이 주체가 되는 읽기가 가능하게 한다. 이는 교사 중심과 결과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읽기 수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예측하게 전략은 내용을 미리 생각하게 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읽기에 참여하게 하고 글을 읽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한다. 그리고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읽기의 과정에서 예측하기가 어떻게 연관되는지 알아보기로 하겠다.
가. 내용의 예측과 읽기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에는 단순히 글의 내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상황적 과정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글을 읽는 과정에서 독자들은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 등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예측하고 상세화 하며 때로는 글의 내용에 대한 의문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활동을 잘하는 독자가 바로 능숙한 독자이며 그렇지 못한 독자는 미숙한 독자이다.
글을 읽고도 글의 내용을 잘 이해하지도 못할 뿐 아니라 글을 읽는 것 자체를 싫어하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학생들은 능동적이지 못한 독자이기
  • 가격5,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12.10.1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