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의 종류 및 수축 (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육의 종류 및 수축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근육이란?
 2.근육의 종류
  1)골격근
  2)심장근
  3)평활근
 3.근육(골격근)의 구조
  1)근섬유
  2)근원섬유
  3)근세사
 4.근수축
  1)근수축이란
  2)근세사활주론
  3)근수축의 기본형태
  4)근수축의 종류
  5)근수축의 과정
  6)근수축의 에너지원

Ⅲ.결론

본문내용

- 등속성 수축
등속성 수축에는 근이 짧아 질 때 근에서 발생하는 장력이 운동의 전 범위에 걸쳐서 관절각에서 최대이다. 이 수축의 예로는 자유형 수형에서 팔을 쓰도록 하는 것이다. 등장성 수축이나 등속성 수축 모두 단축성 수축으로 근육이 짧아지지만 등속성에서는 근에서 발생하는 장력이 운동의 전 범위에 걸쳐서 모든 관절각에서 최대이지만 등장석 수축에서는 그렇지가 않다. 등장석 수축의 움직임의 속도는 조절이 어렵지만 관절운동 중 각자에서 가장 적당한 저항을 가지고 운동할 수 있다. 가능한 빠른 동작을 취할 때 동작의 전 범위에 걸쳐 근육에서 발생되는 장력은 최대가 될 수 있지만 움직임의 속도는 일정한 것이다. 이것은 저항이 일정하거나 변하는 등장성운동보다 더 많은 일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5.근수축 과정
- 운동 신경이 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분비
- 근섬유막이 탈분극되어 활동전류 발생
- 근소포체에 있던 Ca+가 방출
- 액틴 섬유와 미오신 섬유 밀착 : 액틴-미오신 형성
- 미오신에 있던 ATPase가 활성화, ATP를 분해시킴으로써 에너지 생성
- 미오신 섬유가 액틴 섬유를 끌어당겨 근절 짧아짐
- 근육 수축
6.근수축의 에너지원
- 근수축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ATP이며, ATP는 글리코겐과 크레아틴 인산에 의해 계속 만 들어짐 (ATP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
- 운동하여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근육 속에 저장되어 있던 글리코겐이 젖산으로 되면서 생성되는 ATP가 이용
- 젖산이 근육에 쌓여 피로현상이 나타남
- 크레아틴 인산이 크레아틴과 인산으로 분해되면서 ATP가 생성
- 휴식을 취하여 산소를 공급받으면, 포도당이 정상적인 호흡과정을 거쳐 분해되어 많은 ATP가 생성
- 이 에너지로 젖산이 글리코겐으로, 크레아틴과 인산도 크레아틴인산으로 재합성 네이버 카페 [물리치료에 관한 작은 메모장],세계일보 2008.3.17,
[참고 문헌]
[최신 운동생리학]p.108~110
[기능해부학] p.216~221
[기초간호과학] p.48~51
[인체해부학] p.131~132
[지제근 의학 용어 사전] p.1008,20
네이버 카페 [물리치료에 관한 작은 메모장]
다음 [http://blog.daum.net/canto241/]
네이버 카페[미남, 미인은 만들어지는 것이다]
세계일보 2008.3.17
한국일보 2007.5.18
Ⅲ.결론
처음엔 근육 수축의 기전이란 뜻조차 알지 못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데 쉽지 않았다. 하지만 각종 서적, 교재, 네이버 검색, 신문자료 등의 도움으로 과제물을 작성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제물을 하면서 교재 안에 참조된 그림을 보며 각각의 근육을 확인하고 그 근육의 위치를 찾아감으로써 근육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근력유지 및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임상에서는 등척성 운동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등척성 운동은 특별한 기구 없이 손쉽게 신체의 거의 모든 근육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교적 시간이 적게 들며, 운동으로 인한 근육통 유발 등의 문제점을 배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처럼 근육은 우리가 운동을 하거나 일상생활을 할 때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운동과 호흡, 자세 유지, 체온유지를 위한 근수축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겠다. 때문에 근력의 약화나 불균형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상적이고 기능적인 움직임의 장애를 가져오며, 기능장애는 통증을 유발해 활동성의 저하를 초래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각 근육과 근육집단의 적절한 근력유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 물리치료과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조금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분야인 듯하다.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10.1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