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전통 음식에 대한 이해
1. 한국 전통 음식의 특징
2. 김치의 우수성
3. 장류의 우수성
제2절 전통 식문화에 대한 이해
1. 전통 식생활 교육의 의의
2. 24절기
3. 명절
4. 통과의례
1. 한국 전통 음식의 특징
2. 김치의 우수성
3. 장류의 우수성
제2절 전통 식문화에 대한 이해
1. 전통 식생활 교육의 의의
2. 24절기
3. 명절
4. 통과의례
본문내용
회 구성원으로서
정체성을 확인시켜 주는
역할
세시 음식에 대한 교육은 아이들로 하여금 세시 음식을 차려 먹음으로써 동질성과 유대감을 경험하게 됨
사회의 규범과 가치관을
확립
음식은 친분관계를 상징. 다른 사람에게 요리한 음식을 선물한다는 것은 매우 가깝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님. 사람들은 음식을 통하여 그 사회의 종교, 도덕적 가치 등을 이해하게 됨.아이들도 자연스럽게 그들이 알아야 할 가치나 규범을 배우게 됨
소속감과 연대감
대표적으로 김장 문화로, 과거에는 김장을 할 때가 되면 가까운 친지나 이웃들이 시간을 의논하여 품앗이를 하였음. 이는 친지나 이웃 간의 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협동체계로 함께 김장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고 다음세대로 조리 기술이 전승되었음
전통문화와 외국문화의
차이점을 이해
전통문화와 외국문화의 차이점, 공통점, 특성 등을 이해할 수 있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개방적인 자세를 키워 줄 수 있음
2. 24절기
1년을 15일 주기로 계절적 특징에 따라 24절기로 나누어 각 계절에 따른 변화에 따라 농사를 지어왔음
절기와 생활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고 계절 식품으로 갖가지 음식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어 먹는 절식 풍습을 형성
세시풍속 이야기-교안참조
동지,동지의 유래,팥의 영양
3. 명절
우리나라의 4대 명절은 설날, 한식, 단오, 추석
명절음식 관련 활동의 예:설날 음식
설날의 음식을 통틀어 설음식 또는 세찬이라고 하고 설날의 술을 설술이라 한다
1)떡국
떡국의 기본 재료는 가래떡이다. 설날에 흰 떡국을 끓여 먹는 것은 고대의 태양숭배 신앙에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밝음의 표시로 흰색의 떡을 사용한 것이며,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태양의 둥근 것을 상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만두국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치에 고기 두부 채소 등을 싸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 후 장국에
넣고 끓인 음식이다 만두는 중국에서 유래하여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지는데 소
를 넣은 것과 넣지 않은 것이 있다 보통 오늘날 중국에서는 소를 넣지 않고 찐 것을 만두
라 하고 소를 넣은 것을 교자라고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소를 넣은 것을 만두라 한다.
3) 식혜
엿기름가루를 우려낸 물에 지예밥(찹쌀밥 또는 맵쌀밥)을 넣고 따뜻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을 삭혀서 국물과 밥알을 함께 마시는 것이다 식혜는 단말이 많고 신맛이 있음
음청루인데 그 종류에는 밥식혜 연엽식혜 안동식혜 등이 있다
4) 다식
곡물가루 한약재가루 종실 견과류 꽃가루 동물성 재료 등의 날로 먹을 수 있는 것은 볶아
서 가루로 하여 꿀을 넣고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낸 것이다
5) 전과
뿌리 줄기 열매 등을 통째로 또는 썰어서 날 것 그대로 삶아 꿀이나 설탕에 졸인 것이다
6) 족편
쇠족 가죽 돼지껍질 생선껍질 우양 등의 콜라겐이 많은 부분에 물을 붓고 푹 끓여낸 국
물에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네모난 그릇에 부어 식히면 묵같이 엉기는데 이것을 편으로 썰어서 겨자 초장에 찍어 먹는 음식이다
7) 편육
고기를 푹
정체성을 확인시켜 주는
역할
세시 음식에 대한 교육은 아이들로 하여금 세시 음식을 차려 먹음으로써 동질성과 유대감을 경험하게 됨
사회의 규범과 가치관을
확립
음식은 친분관계를 상징. 다른 사람에게 요리한 음식을 선물한다는 것은 매우 가깝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님. 사람들은 음식을 통하여 그 사회의 종교, 도덕적 가치 등을 이해하게 됨.아이들도 자연스럽게 그들이 알아야 할 가치나 규범을 배우게 됨
소속감과 연대감
대표적으로 김장 문화로, 과거에는 김장을 할 때가 되면 가까운 친지나 이웃들이 시간을 의논하여 품앗이를 하였음. 이는 친지나 이웃 간의 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협동체계로 함께 김장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고 다음세대로 조리 기술이 전승되었음
전통문화와 외국문화의
차이점을 이해
전통문화와 외국문화의 차이점, 공통점, 특성 등을 이해할 수 있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개방적인 자세를 키워 줄 수 있음
2. 24절기
1년을 15일 주기로 계절적 특징에 따라 24절기로 나누어 각 계절에 따른 변화에 따라 농사를 지어왔음
절기와 생활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고 계절 식품으로 갖가지 음식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어 먹는 절식 풍습을 형성
세시풍속 이야기-교안참조
동지,동지의 유래,팥의 영양
3. 명절
우리나라의 4대 명절은 설날, 한식, 단오, 추석
명절음식 관련 활동의 예:설날 음식
설날의 음식을 통틀어 설음식 또는 세찬이라고 하고 설날의 술을 설술이라 한다
1)떡국
떡국의 기본 재료는 가래떡이다. 설날에 흰 떡국을 끓여 먹는 것은 고대의 태양숭배 신앙에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밝음의 표시로 흰색의 떡을 사용한 것이며,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태양의 둥근 것을 상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만두국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치에 고기 두부 채소 등을 싸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 후 장국에
넣고 끓인 음식이다 만두는 중국에서 유래하여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지는데 소
를 넣은 것과 넣지 않은 것이 있다 보통 오늘날 중국에서는 소를 넣지 않고 찐 것을 만두
라 하고 소를 넣은 것을 교자라고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소를 넣은 것을 만두라 한다.
3) 식혜
엿기름가루를 우려낸 물에 지예밥(찹쌀밥 또는 맵쌀밥)을 넣고 따뜻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을 삭혀서 국물과 밥알을 함께 마시는 것이다 식혜는 단말이 많고 신맛이 있음
음청루인데 그 종류에는 밥식혜 연엽식혜 안동식혜 등이 있다
4) 다식
곡물가루 한약재가루 종실 견과류 꽃가루 동물성 재료 등의 날로 먹을 수 있는 것은 볶아
서 가루로 하여 꿀을 넣고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낸 것이다
5) 전과
뿌리 줄기 열매 등을 통째로 또는 썰어서 날 것 그대로 삶아 꿀이나 설탕에 졸인 것이다
6) 족편
쇠족 가죽 돼지껍질 생선껍질 우양 등의 콜라겐이 많은 부분에 물을 붓고 푹 끓여낸 국
물에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네모난 그릇에 부어 식히면 묵같이 엉기는데 이것을 편으로 썰어서 겨자 초장에 찍어 먹는 음식이다
7) 편육
고기를 푹
추천자료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의 육성 및 보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중국요리][중국음식][중국][요리][음식]중국요리(중국음식)의 특징 고찰(중국요리(중국음식)...
[한국전통음식][전통요리][각 지방 대표적 음식][요리][보양식][바람직한 식사예절][바람직한...
[한국 전통명절][한국 전통발효식품][한국 전통사찰음식][전통풍물굿][전통악기][전통놀이]한...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청국장과 간장,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고추장과 된장, 한국전통식...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젓갈,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
한국 전통식품(전통음식) 된장과 청국장, 한국 전통식품(전통음식) 추어탕, 한국 전통식품(전...
우리나라 전통음식과 다른나라(3개국이상)전통음식의 차이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