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국(Korea)
● 일본(Japan)
● 중국(China)
●프랑스(France)
● 이탈리아(Italy)
●독일
●스위스
●스페인
●터키
●캐나다
●멕시코
●인도
●미국.
●스웨덴
●필리핀
●영국
●호주
●러시아
●체코
●노르웨이
● 일본(Japan)
● 중국(China)
●프랑스(France)
● 이탈리아(Italy)
●독일
●스위스
●스페인
●터키
●캐나다
●멕시코
●인도
●미국.
●스웨덴
●필리핀
●영국
●호주
●러시아
●체코
●노르웨이
본문내용
세계의 음식문화와 한식의 세계화
● 한국(Korea)
1. 음식역사
고구려 : 우리나라에서 벼의 재배가 시작된 것은 기원전 1500년에서 2000년쯤부터이며 패총의 발굴로 어패류도
채취하였다. 중국의 문헌은 고구려 사람들이 장, 젓갈, 김치, 술 같은 발효 식품을 잘만들었다고 전한다.
삼국시대 : 철기 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이에 따라 농경의 생산 기술이 혁신되었고, 벼농사도 크게 보급되었다.
고려 : 중농 정책을 실시하여 농기구를 개량하고 곡식을 비축하여 곡가를 조절하였으며 양곡의 수확도 크게 늘었다. 고려후기에는 육류 음식이 발달하였으며 식품이 다양해지고 모든 조리법이 완성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조선 : 가정 음식이 주가 되어 손님 대접도 가정에서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의 음식은 궁중 음식, 반가 음식,
상민 음식이 저마다 다른 특색을 전체적으로 한국 음식의 수준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였다. 그동안은 모든
문화가 대륙에서만 들어왔으나 조선 시대에는 일본과 남방으로부터 고추, 호박, 고구마, 감자 같은 새로운
식품이 들어오기도 하였다. 한국 음식의 매운 맛을 내는 데 꼭 필요한 고추는 17세기쯤에 정착되었다.
2. 식문화의 특징
- 준비된 음식을 한상에 모두 차려놓고 먹는다.
- 밥이 주식이고, 부식으로 반찬을 곁들인다.
- 국물이 있는 음식을 즐긴다.
- 김치, 장아찌, 장, 젓갈등 발효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 식품 자체의 맛보다 조미료와 향신료를 써서 복합적인 맛을 즐긴다.
3. 식재료
우리나라에서 벼농사를 시작한 이후 쌀은 우리의 주요 식량이 되었다. 죽, 찐밥과 떡의 형태에서 밥의 형태로 발달하는 과정을 거치며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부족국가시대에 농사를 지으면서, 곡류가 주식의 위치에, 어육류와 채소류가 부식에 자리잡아, 주식과 부식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김치 : 우리의 식탁에서
● 한국(Korea)
1. 음식역사
고구려 : 우리나라에서 벼의 재배가 시작된 것은 기원전 1500년에서 2000년쯤부터이며 패총의 발굴로 어패류도
채취하였다. 중국의 문헌은 고구려 사람들이 장, 젓갈, 김치, 술 같은 발효 식품을 잘만들었다고 전한다.
삼국시대 : 철기 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이에 따라 농경의 생산 기술이 혁신되었고, 벼농사도 크게 보급되었다.
고려 : 중농 정책을 실시하여 농기구를 개량하고 곡식을 비축하여 곡가를 조절하였으며 양곡의 수확도 크게 늘었다. 고려후기에는 육류 음식이 발달하였으며 식품이 다양해지고 모든 조리법이 완성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조선 : 가정 음식이 주가 되어 손님 대접도 가정에서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의 음식은 궁중 음식, 반가 음식,
상민 음식이 저마다 다른 특색을 전체적으로 한국 음식의 수준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였다. 그동안은 모든
문화가 대륙에서만 들어왔으나 조선 시대에는 일본과 남방으로부터 고추, 호박, 고구마, 감자 같은 새로운
식품이 들어오기도 하였다. 한국 음식의 매운 맛을 내는 데 꼭 필요한 고추는 17세기쯤에 정착되었다.
2. 식문화의 특징
- 준비된 음식을 한상에 모두 차려놓고 먹는다.
- 밥이 주식이고, 부식으로 반찬을 곁들인다.
- 국물이 있는 음식을 즐긴다.
- 김치, 장아찌, 장, 젓갈등 발효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 식품 자체의 맛보다 조미료와 향신료를 써서 복합적인 맛을 즐긴다.
3. 식재료
우리나라에서 벼농사를 시작한 이후 쌀은 우리의 주요 식량이 되었다. 죽, 찐밥과 떡의 형태에서 밥의 형태로 발달하는 과정을 거치며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부족국가시대에 농사를 지으면서, 곡류가 주식의 위치에, 어육류와 채소류가 부식에 자리잡아, 주식과 부식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김치 : 우리의 식탁에서
추천자료
전통병과의 상품화 방안
전통문화가 여가문화에 끼치는 교육적 기능-전통문화체험기 포함
옛문헌을 통해서 본 전통태교
신궁전통한과의 마케팅 전략 수립
전통적 산후조리법
[식생활과문화]우리의 전통 발효식품 중 젓갈류와 장아찌류에 대해
[식생활과문화]우리의 전통주류와 식초류에 대해
[식생활과문화]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장류와 김치류의 식품학적 가치 및 기능성
[베트남][베트남 지형][베트남 기후][베트남 정치][노무관리][전통 상례][호치민][쌀국수]베...
[식생활문화] 밥의 종류와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한국을 홍보할 수 있는 기내식 음료와 음식을 본인의 아이디어(Idea)를 발휘해 기획 해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