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아웃도어 시장의 급성장
Ⅱ. 중국시장 환경분석
1. 지리적, 기후적 환경
2. 경제적 환경
Ⅲ. 기업 비교분석
1. 기업개요
1) 코오롱 스포츠
2) 블랙야크
Ⅳ. 중국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전략적 중요성 & 기업의 현재 경쟁력’
1. Y축 _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
1) 코오롱 스포츠
① 국내 시장의 포화
2) 블랙야크
② 기업의 사활
2. X축 _ 중국 시장 경쟁력 비교분석
1) 코오롱스포츠
① 공격적 매장 확장
② 직접수출 채택과 단계적 생산
③ 코오롱 그룹의 탄탄한 기반
④ 후발주자 이점
2) 블랙야크
① 기술력
② 고급브랜드 이미지
③ 현지생산
④ 선점효과
⑤ 현지화 / 표준화
⑥ 브랜드 아이덴티티
⑦ 중국 시장 내 상황
Ⅴ. 블랙야크의 경쟁우위
1. Bridger의 역할
1) 그는 오랫동안 한 기관에 재직한 전문가다
2) 신흥시장을 잘 알고 있고, 잘 활용했다
3) 훌륭한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능력자다
4)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실험정신이 빛나는 도전가다
Ⅵ. 맺음말
1. 요약 및 결론
1) 현지 환경 분석
2) 기업 전략 비교분석
아웃도어 시장의 급성장
Ⅱ. 중국시장 환경분석
1. 지리적, 기후적 환경
2. 경제적 환경
Ⅲ. 기업 비교분석
1. 기업개요
1) 코오롱 스포츠
2) 블랙야크
Ⅳ. 중국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전략적 중요성 & 기업의 현재 경쟁력’
1. Y축 _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
1) 코오롱 스포츠
① 국내 시장의 포화
2) 블랙야크
② 기업의 사활
2. X축 _ 중국 시장 경쟁력 비교분석
1) 코오롱스포츠
① 공격적 매장 확장
② 직접수출 채택과 단계적 생산
③ 코오롱 그룹의 탄탄한 기반
④ 후발주자 이점
2) 블랙야크
① 기술력
② 고급브랜드 이미지
③ 현지생산
④ 선점효과
⑤ 현지화 / 표준화
⑥ 브랜드 아이덴티티
⑦ 중국 시장 내 상황
Ⅴ. 블랙야크의 경쟁우위
1. Bridger의 역할
1) 그는 오랫동안 한 기관에 재직한 전문가다
2) 신흥시장을 잘 알고 있고, 잘 활용했다
3) 훌륭한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능력자다
4)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실험정신이 빛나는 도전가다
Ⅵ. 맺음말
1. 요약 및 결론
1) 현지 환경 분석
2) 기업 전략 비교분석
본문내용
트레킹, 익스트림 라인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국내 점유율 5위의 블랙야크는 여전히 노스페이스, K2. 네파 등에 비해 떨어지는 국내에서의 인지도를 약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디자인 면에서 캐주얼한 부분이 부족하다는 평이다. 등산복의 기능에 더 중점을 두는 등 디자인이 젊은 세대와는 크게 공감할 수 없다는 견해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뚜렷한 제품 콘셉트와 최근 아웃도어 시장이 급성장 추세를 통해 등산객들이 많아짐에 따라 등산복의 수요가 늘어 이에 맞춰 공급 또한 늘어났다.
블랙야크는 1998년 첫 진출한 뒤 현재는 중국 전문 산악인이 꼽은 아웃도어 브랜드 1위, 판매율 1위의 해외 브랜드의 기록을 내고 있으며, 2010년 23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이는 2004년 326억 원에서 일곱 배가량으로 증가한 수치이다. 2009년 매출액 1800억 원에서 2010년 2300억 원으로의 증가, 순이익만 놓고 보면 전년 대비 약 40% 늘어난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처음 진출하던 당시 중국 아웃도어 시장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했던 블랙야크는 지금 중국에서 해외 아웃도어 브랜드 중 1위의 자리에 있다.
Ⅳ. 중국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 변형 BCG Matrix
‘전략적 중요성 & 기업의 현재 경쟁력’
1. Y축 _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
1) 코오롱 스포츠
① 국내 시장의 포화
세계 패션 시장이 글로벌화 되기 시작했으며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 패션 기업들에 의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시장의 포화로 이미 성장 가능성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 코오롱이 해외 진출에 눈을 돌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그중에서도 중국시장은 코오롱의 제1 해외진출국으로서 다음과 같은 시장 매력도 및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이미 패션브랜드 특히 아웃도어 시장의 경쟁이 포화상태에 다다른 국내와는 달리 중국은 바야흐로 이제 막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는 곳이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기점으로 중국의 아웃도어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될 것으로 예견되었으며 거대한 인구를 가지고 있는 중국 시장의 진출은 향후 다른 아시아 및 해외 각지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 중국과 한국의 계절적 비슷함과 소비자의 체형도 거의 같다는 점, 마지막으로 중국은 등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니라는 핸디캡이 있었지만 경제 급성장에 따라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한류 영향으로 한국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신뢰도 상승은 코오롱이 중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기 위해 노력할 만한 충분한 유인책을 제공해 주었다.
또한 중국의 아웃도어 시장은 한국의 90년대 초반 정도의 미미한 수준으로, 주로 저가 의류와 캠핑 용도의 용품시장, 전문 등반장비 위주의 매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4~5년 전부터 몇몇 브랜드가 백화점에 입점해 아웃도어 시장의 활로를 열었다. 이미 중국에 진출한 코오롱인더스트리 패션부문의 다른 브랜드 잭니클라우스가 중국내 일부 백화점에서 수입 골프의류 가운데 판매 1위를 기록하는 등 어느 정도 성공적인 중국 진출은 후속 브랜드들의 진출에 불을 붙이는 결과를 낳았다. 이렇듯 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소득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던 중국은 그 자체가 세계시장이었다. 중국 시장진출은 코오롱 스포츠의 입장에서는 꼭 필요했던 것이다.
2) 블랙야크
② 기업의 사활
국내에서 잘나가던 코오롱이 ‘선택적 옵션’으로서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다면 블랙야크는 거의 기업의 모든 사활을 걸고 운명적으로 중국에 진출하였다. 1973년 ‘동진산악’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최초 등산용품전문매점으로서 사업을 시작해 줄곧 산악용품 시장에서 외길을 걸어온 강태선 대표는 90년대 후반, 여러 대기업 브랜드들의 아웃도어 시장 진입과 외환위기라는 이중고를 겪게 된다. 이에 강태선 대표는 중국시장에 대한 아무런 사전 정보도 없이 거의 맨몸으로 뛰어들다시피 해 1998년 중국에 베이징에 블랙야크 1호점을 개장하였다. ‘외환위기 때문에 해외 진출을 포기하면 당장이야 괜찮아도 앞으로 더 큰 어려움이 올 것’이라는 판단아래 국내시장만으로는 생산과 소비를 맞추기 어려울 날이 올 것이므로 시장을 선점해야 미래가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러나 중국시장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었다. 그래서 블랙야크의 중국 진출 성적은 10년 동안 수십억 원의 적자를 본 뒤, 11년째부터 흑자로 돌아섰다. 강태선 대표는 2015년까지 등산장비 시장에서 세계 10위 안에 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블랙야크는 현재 중국 해외브랜드 등산용품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 1위를 달린다. 같은 중화권인 홍콩·대만·싱가포르에 대한 수출도 덩달아 늘고 있는 상황이다. 즉, 블랙야크는 국내 아웃도어 업체들이 아무도 중국시장에 관심을 두지 않던 시절에 업계 최초로 중국시장 공략에 나섰고, 이 진출 전략에 기업의 사활을 걸었으며 결과적으로 중국 내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 1위라는 현재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었다.
⇒ 두 기업에 모두 중요, 단 블랙야크 > 코오롱
세계시장으로 진출해 글로벌화에 성공한다면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국가와 브랜드의 인지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중국 시장은 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소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던 하나의 세계 시장 그 자체였다.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아웃도어 시장을 피해 중국시장으로의 새로운 진출은 코오롱과 블랙야크 두 기업에게 모두 절대적으로 필요한 전략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매우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보다 일찍부터 중국시장 진출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중국을 주요 무대로 선정해 활동해 온 블랙야크가 코오롱보다 조금 더 높은 전략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X축 _ 중국 시장 경쟁력 비교분석
1) 코오롱스포츠
① 공격적 매장 확장
2006년 9월 9일 북경, 연사백화점 4층에 코오롱 스포츠의 중국 진출에 신호탄을 쏘아 올린 코오롱스포츠는 이날 1호 점을 개점하여 베이징에 2개의 매장을 운영하다가 200운영에는 1개, 2009년 초에는 2개의 매장을, 그리고 201
그렇지만 국내 점유율 5위의 블랙야크는 여전히 노스페이스, K2. 네파 등에 비해 떨어지는 국내에서의 인지도를 약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디자인 면에서 캐주얼한 부분이 부족하다는 평이다. 등산복의 기능에 더 중점을 두는 등 디자인이 젊은 세대와는 크게 공감할 수 없다는 견해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뚜렷한 제품 콘셉트와 최근 아웃도어 시장이 급성장 추세를 통해 등산객들이 많아짐에 따라 등산복의 수요가 늘어 이에 맞춰 공급 또한 늘어났다.
블랙야크는 1998년 첫 진출한 뒤 현재는 중국 전문 산악인이 꼽은 아웃도어 브랜드 1위, 판매율 1위의 해외 브랜드의 기록을 내고 있으며, 2010년 23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이는 2004년 326억 원에서 일곱 배가량으로 증가한 수치이다. 2009년 매출액 1800억 원에서 2010년 2300억 원으로의 증가, 순이익만 놓고 보면 전년 대비 약 40% 늘어난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처음 진출하던 당시 중국 아웃도어 시장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했던 블랙야크는 지금 중국에서 해외 아웃도어 브랜드 중 1위의 자리에 있다.
Ⅳ. 중국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 변형 BCG Matrix
‘전략적 중요성 & 기업의 현재 경쟁력’
1. Y축 _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
1) 코오롱 스포츠
① 국내 시장의 포화
세계 패션 시장이 글로벌화 되기 시작했으며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 패션 기업들에 의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시장의 포화로 이미 성장 가능성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 코오롱이 해외 진출에 눈을 돌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그중에서도 중국시장은 코오롱의 제1 해외진출국으로서 다음과 같은 시장 매력도 및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이미 패션브랜드 특히 아웃도어 시장의 경쟁이 포화상태에 다다른 국내와는 달리 중국은 바야흐로 이제 막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는 곳이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기점으로 중국의 아웃도어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될 것으로 예견되었으며 거대한 인구를 가지고 있는 중국 시장의 진출은 향후 다른 아시아 및 해외 각지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 중국과 한국의 계절적 비슷함과 소비자의 체형도 거의 같다는 점, 마지막으로 중국은 등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니라는 핸디캡이 있었지만 경제 급성장에 따라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한류 영향으로 한국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신뢰도 상승은 코오롱이 중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기 위해 노력할 만한 충분한 유인책을 제공해 주었다.
또한 중국의 아웃도어 시장은 한국의 90년대 초반 정도의 미미한 수준으로, 주로 저가 의류와 캠핑 용도의 용품시장, 전문 등반장비 위주의 매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4~5년 전부터 몇몇 브랜드가 백화점에 입점해 아웃도어 시장의 활로를 열었다. 이미 중국에 진출한 코오롱인더스트리 패션부문의 다른 브랜드 잭니클라우스가 중국내 일부 백화점에서 수입 골프의류 가운데 판매 1위를 기록하는 등 어느 정도 성공적인 중국 진출은 후속 브랜드들의 진출에 불을 붙이는 결과를 낳았다. 이렇듯 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소득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던 중국은 그 자체가 세계시장이었다. 중국 시장진출은 코오롱 스포츠의 입장에서는 꼭 필요했던 것이다.
2) 블랙야크
② 기업의 사활
국내에서 잘나가던 코오롱이 ‘선택적 옵션’으로서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다면 블랙야크는 거의 기업의 모든 사활을 걸고 운명적으로 중국에 진출하였다. 1973년 ‘동진산악’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최초 등산용품전문매점으로서 사업을 시작해 줄곧 산악용품 시장에서 외길을 걸어온 강태선 대표는 90년대 후반, 여러 대기업 브랜드들의 아웃도어 시장 진입과 외환위기라는 이중고를 겪게 된다. 이에 강태선 대표는 중국시장에 대한 아무런 사전 정보도 없이 거의 맨몸으로 뛰어들다시피 해 1998년 중국에 베이징에 블랙야크 1호점을 개장하였다. ‘외환위기 때문에 해외 진출을 포기하면 당장이야 괜찮아도 앞으로 더 큰 어려움이 올 것’이라는 판단아래 국내시장만으로는 생산과 소비를 맞추기 어려울 날이 올 것이므로 시장을 선점해야 미래가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러나 중국시장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었다. 그래서 블랙야크의 중국 진출 성적은 10년 동안 수십억 원의 적자를 본 뒤, 11년째부터 흑자로 돌아섰다. 강태선 대표는 2015년까지 등산장비 시장에서 세계 10위 안에 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블랙야크는 현재 중국 해외브랜드 등산용품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 1위를 달린다. 같은 중화권인 홍콩·대만·싱가포르에 대한 수출도 덩달아 늘고 있는 상황이다. 즉, 블랙야크는 국내 아웃도어 업체들이 아무도 중국시장에 관심을 두지 않던 시절에 업계 최초로 중국시장 공략에 나섰고, 이 진출 전략에 기업의 사활을 걸었으며 결과적으로 중국 내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 1위라는 현재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었다.
⇒ 두 기업에 모두 중요, 단 블랙야크 > 코오롱
세계시장으로 진출해 글로벌화에 성공한다면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국가와 브랜드의 인지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중국 시장은 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소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던 하나의 세계 시장 그 자체였다.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아웃도어 시장을 피해 중국시장으로의 새로운 진출은 코오롱과 블랙야크 두 기업에게 모두 절대적으로 필요한 전략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매우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보다 일찍부터 중국시장 진출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중국을 주요 무대로 선정해 활동해 온 블랙야크가 코오롱보다 조금 더 높은 전략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X축 _ 중국 시장 경쟁력 비교분석
1) 코오롱스포츠
① 공격적 매장 확장
2006년 9월 9일 북경, 연사백화점 4층에 코오롱 스포츠의 중국 진출에 신호탄을 쏘아 올린 코오롱스포츠는 이날 1호 점을 개점하여 베이징에 2개의 매장을 운영하다가 200운영에는 1개, 2009년 초에는 2개의 매장을, 그리고 201
추천자료
코오롱스포츠의 마케팅분석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성장과 현황분석 케이스 발표 PPT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K2코리아
블랙야크 회사소개 및 기술력과 비전
코오롱스포츠_마케팅전략과_경영전략
블랙야크 VS 노스페이스 기업 SWOT분석및 마케팅 STP,4P전략비교분석
코오롱스포츠 경영분석 및 마케팅전략분석과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
블랙야크(Black Yak) 마케팅전략분석/ 서론/아웃도어 시장현황/시장환경분석/스포츠 용품산업...
블랙야크(BlackYak) 마케팅전략분석/ 서론/아웃도어 시장현황/시장환경분석/스포츠 용품산업...
[블랙야크자기소개서] 2013 블랙야크자기소개서 합격예문과 면접기출문제 - 성장배경, 경력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