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업은 애초 시작하지 아니함만 못할 것이다. 자칫 실업사태를 빚어낼 수도 있으며, 이해관계를 지닌 서민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보기 때문이다. 그만큼 준비성과 현실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타산에 기초하여 사회적 기업을 꾸리고 운영하는 주체들의 준비, 책임감이 큰 비중을 차지하리라 본다. 또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단체의 상호보완적 지지, 지원, 연대 또한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는 중요한 몫을 차지하리라 본다.
둘째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의 정착이다. 한국사회의 특이한 점은 사회적 빈틈을 메워보려는 관심이 정책적 차원에서 주도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건강한 제4섹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가가 사회적혁신의 열정과 창의성을 맘껏발휘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는데서 출발하여야 한다
둘째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의 정착이다. 한국사회의 특이한 점은 사회적 빈틈을 메워보려는 관심이 정책적 차원에서 주도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건강한 제4섹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가가 사회적혁신의 열정과 창의성을 맘껏발휘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는데서 출발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