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지 : 사고, 병, 강간 등의 쇼크를 연상, 쇼크를 경험한 시기는
나무의 길이와 관련되어 계산될 수 있다.
기저선 생략 :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성향
기저선은 있으나 뿌리가 없는 나무 : 억제된 정서
매우 어둡거나 강하게 그린 음영 : 적대적인 방어 행동이나 공격적 행동, 불안
심약하게 꺾인 선 처리 : 나타나 보이는 불안
옹이구멍 : 성적 상징
- 작거나 마름모 형태 : 여성의 질과 관련
- 작으며 단순한 형태 : 성적 침해(강간)나 첫 경험
- 강하고 진한 윤곽 : 강한 쇼크의 영향
- 동그라미들이 있는 옹이 : 과거의 경험과 치유
- 검게 칠한 옹이 : 수치심의 경험을 연상
- 큰 옹이 : 성행위와 관련
- 작은 동물들이 들어 있는 옹이 : 분만에 대한 양가행동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 주변 환경의 압력, 긴장
완벽하게 대칭이 되는 가지 : 강박적 통제 욕구
㉢ 사람
사람그림은 그린 사람의 신체 의식과 자아감을 투영한다. 또한 자신과 주변에 대해 좀 더
의식된 상, 자시 초상화,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 표현, 자기 이상화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인물화에 대한 정서 요인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머리
- 매우 큰 머리 : 환상을 강하게 이용, 정신적인 것에 집중, 지적열망, 지능을 과대평가,
불만족한 신체의식, 정상 이하의 지능(아동은 어른보다 일반적으로 머리를 크게 그린다.)
- 매우 작은 머리 : 강박적, 지적능력 부족, 무력감, 열등감
- 감상자로부터 머리를 돌린 모습, 뒷모습 : 정신 분열, 정신착란의 경향
얼굴
- 적절한 얼굴 모습 생략 : 대인관계 회피, 피상적 관계, 주변 환경과의 부적절한 접촉
- 희미한 얼굴 모습 : 위축 경향, 수줍음, 대인 기피
- 지나친 강조나 덧칠한 얼굴 : 연약함을 공격성이나 지배적 행동 등의 반대 행동으로
표현
목
- 짧고 굵은 목 : 고집이 센, 완고한, 충동적
- 매우 긴 목 : 엄격한, 교양이 있는, 격식 존중, 도덕적, 의존적
어깨
- 차이가 나는 어깨 : 정서적 불안정
- 큰 어깨 : 강하고자 하는 욕구와 행동
- 힘세고 옹골한 어깨 : 강한 방어, 적대감
팔
- 팔은 주변 환경을 변화하거나 지배,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 가슴 높이로 팔짱을 낀 : 적대감, 불신
- 뒷짐을 진 : 분노나 화를 참고 있는, 인간관계에 반감
- 팔 생략 : 부족감, 무능력
손가락
- 길고 가는 손가락 : 공격적, 적대적
- 동그랗게만 표현했거나 선으로만 표시 : 공격적 충동을 제어하려고 함
다리
- 생략 : 구속감, 거세불안
- 다리 길이의 차이 : 독립성과 관련한 양가감정
- 긴 다리 : 자주성에 대한 노력
- 짧은 다리 : 정서적 정지 상태
발
- 긴 발 : 안정감이나 남성적이 되고자 하는 노력
- 아주 작은 발 : 의존심, 무감각
- 생략 : 독립성의 결여
눈
- 매우 큰 눈 : 불안, 외적 의견에 과잉 민감, 의심, 관계, 망상, 공격적 행동 경향, 외향적
- 매우 작은 눈이나 감겨진 눈 : 내향성, 자아몰입, 주변 환경에 대한 무관심, 훔쳐보는
취미
코
- 매우 큰 코 : 거세불안, 성적장애, 성적무력감
- 콧구멍 강조 : 공격적 성향, 천식 경향
입
- 과도하게 강조 : 미성숙, 구강-공격, 퇴행적인 구강기적 방어, 언어의 문제
- 매우 큰 : 에로틱한
- 입의 생략 : 대인기피, 우울증, 호흡곤란이나 천식
- 이가 보이는 입 : 유아적 경향, 공격적 경향, 가학성 변태성욕(성인 경우)
- 입의 끝이 올라가 웃는 상태 : 일반적 아동그림, 부적절한 정서나 사교성을
강요받음(성인)
- 벌어진 입 : 구강기적 수동성
- 어떤 것을 물고 있는 입(예 : 담배, 볼펜, 파이프, 이쑤시개 등) : 구강기의 성적 욕구
단추 강조 : 의존적, 무력한, 유아적, 퇴행(위에서 아래로 달린 단추)
포켓 강조 : 의존적, 유아적, 정서적 결여, 모성적 면의 결여, 정서적 의존에 대한 가등
구두 강조 : 안정감의 욕구
H-T-P 검사 사례
대상아동 : 7 세, 남아
그림해석 : 아동의 사전 그림을 보면 집을 생략한 것으로 보아 가정에 대한 믿음과
신뢰의 부족으로 마음의 정착을 하지 못하고 집에 대한 갈등을 일으키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큰 나무 사이에 작은 사람을 그렸으며 나뭇잎을 생략하고 뿌리를
강조, 나무에 눈과 같은 옹이를 아주 크게 표현한 것은 무의식적인 자신의 마음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줄기와 나뭇잎이 없는 것은 여러 가지 불안 감정에 대한
반응으로 자신감이 결핍되어 있고 자아에 대한 정신박약으로 현실을 도피하고 싶은
마음이 나타난 매우 불안정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크고 강하게 강조된 뿌리는
현재에서 과거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간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그림에서는 사람, 나무, 집을 그렸으며 전체적인 그림이 왼쪽 하단으로 치우쳐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도 위축되어 있으나 사전 그림보다는 안정된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사전그림에는 없는 집을 그림 것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서로 소통하고
개방되기를 바라고 있다. 아무 그림에서고 나무 줄기를 위로 뻗게 하여 나타낸 것은
이전보다 자신감이 생기고 자신에 대한 존재감도 높아졌음을 나타낸 것이며 사람도
구체적으로 더 크게 나타내고 얼굴을 크게 강조하여 웃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한 것은
삶에 대한 자신감과 자신에 대한 애정을 갖게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9) 미술치료 사례: 공격성이 있는 아동의 미술치료
공격성이 있는 아동의 미술치료
공격성 아동의 미술활동 시 고려사항으로는 그들의 행동특징을 파악하여 부적절한 행동과
긍정적인 행동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체계적인 접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관성 있는
수업 계획이 요구되며, 준비단계, 활동, 토론, 정리단계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참고문헌
보육과정. 이순영외 공저.학지사
현대유아교육과정, 임재택, 양서원.
유아교육 프로그램 "이론과 적용실제",이기숙, 교문사.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재)한국보육진흥원
나무의 길이와 관련되어 계산될 수 있다.
기저선 생략 :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성향
기저선은 있으나 뿌리가 없는 나무 : 억제된 정서
매우 어둡거나 강하게 그린 음영 : 적대적인 방어 행동이나 공격적 행동, 불안
심약하게 꺾인 선 처리 : 나타나 보이는 불안
옹이구멍 : 성적 상징
- 작거나 마름모 형태 : 여성의 질과 관련
- 작으며 단순한 형태 : 성적 침해(강간)나 첫 경험
- 강하고 진한 윤곽 : 강한 쇼크의 영향
- 동그라미들이 있는 옹이 : 과거의 경험과 치유
- 검게 칠한 옹이 : 수치심의 경험을 연상
- 큰 옹이 : 성행위와 관련
- 작은 동물들이 들어 있는 옹이 : 분만에 대한 양가행동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 주변 환경의 압력, 긴장
완벽하게 대칭이 되는 가지 : 강박적 통제 욕구
㉢ 사람
사람그림은 그린 사람의 신체 의식과 자아감을 투영한다. 또한 자신과 주변에 대해 좀 더
의식된 상, 자시 초상화,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 표현, 자기 이상화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인물화에 대한 정서 요인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머리
- 매우 큰 머리 : 환상을 강하게 이용, 정신적인 것에 집중, 지적열망, 지능을 과대평가,
불만족한 신체의식, 정상 이하의 지능(아동은 어른보다 일반적으로 머리를 크게 그린다.)
- 매우 작은 머리 : 강박적, 지적능력 부족, 무력감, 열등감
- 감상자로부터 머리를 돌린 모습, 뒷모습 : 정신 분열, 정신착란의 경향
얼굴
- 적절한 얼굴 모습 생략 : 대인관계 회피, 피상적 관계, 주변 환경과의 부적절한 접촉
- 희미한 얼굴 모습 : 위축 경향, 수줍음, 대인 기피
- 지나친 강조나 덧칠한 얼굴 : 연약함을 공격성이나 지배적 행동 등의 반대 행동으로
표현
목
- 짧고 굵은 목 : 고집이 센, 완고한, 충동적
- 매우 긴 목 : 엄격한, 교양이 있는, 격식 존중, 도덕적, 의존적
어깨
- 차이가 나는 어깨 : 정서적 불안정
- 큰 어깨 : 강하고자 하는 욕구와 행동
- 힘세고 옹골한 어깨 : 강한 방어, 적대감
팔
- 팔은 주변 환경을 변화하거나 지배,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 가슴 높이로 팔짱을 낀 : 적대감, 불신
- 뒷짐을 진 : 분노나 화를 참고 있는, 인간관계에 반감
- 팔 생략 : 부족감, 무능력
손가락
- 길고 가는 손가락 : 공격적, 적대적
- 동그랗게만 표현했거나 선으로만 표시 : 공격적 충동을 제어하려고 함
다리
- 생략 : 구속감, 거세불안
- 다리 길이의 차이 : 독립성과 관련한 양가감정
- 긴 다리 : 자주성에 대한 노력
- 짧은 다리 : 정서적 정지 상태
발
- 긴 발 : 안정감이나 남성적이 되고자 하는 노력
- 아주 작은 발 : 의존심, 무감각
- 생략 : 독립성의 결여
눈
- 매우 큰 눈 : 불안, 외적 의견에 과잉 민감, 의심, 관계, 망상, 공격적 행동 경향, 외향적
- 매우 작은 눈이나 감겨진 눈 : 내향성, 자아몰입, 주변 환경에 대한 무관심, 훔쳐보는
취미
코
- 매우 큰 코 : 거세불안, 성적장애, 성적무력감
- 콧구멍 강조 : 공격적 성향, 천식 경향
입
- 과도하게 강조 : 미성숙, 구강-공격, 퇴행적인 구강기적 방어, 언어의 문제
- 매우 큰 : 에로틱한
- 입의 생략 : 대인기피, 우울증, 호흡곤란이나 천식
- 이가 보이는 입 : 유아적 경향, 공격적 경향, 가학성 변태성욕(성인 경우)
- 입의 끝이 올라가 웃는 상태 : 일반적 아동그림, 부적절한 정서나 사교성을
강요받음(성인)
- 벌어진 입 : 구강기적 수동성
- 어떤 것을 물고 있는 입(예 : 담배, 볼펜, 파이프, 이쑤시개 등) : 구강기의 성적 욕구
단추 강조 : 의존적, 무력한, 유아적, 퇴행(위에서 아래로 달린 단추)
포켓 강조 : 의존적, 유아적, 정서적 결여, 모성적 면의 결여, 정서적 의존에 대한 가등
구두 강조 : 안정감의 욕구
H-T-P 검사 사례
대상아동 : 7 세, 남아
그림해석 : 아동의 사전 그림을 보면 집을 생략한 것으로 보아 가정에 대한 믿음과
신뢰의 부족으로 마음의 정착을 하지 못하고 집에 대한 갈등을 일으키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큰 나무 사이에 작은 사람을 그렸으며 나뭇잎을 생략하고 뿌리를
강조, 나무에 눈과 같은 옹이를 아주 크게 표현한 것은 무의식적인 자신의 마음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줄기와 나뭇잎이 없는 것은 여러 가지 불안 감정에 대한
반응으로 자신감이 결핍되어 있고 자아에 대한 정신박약으로 현실을 도피하고 싶은
마음이 나타난 매우 불안정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크고 강하게 강조된 뿌리는
현재에서 과거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간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그림에서는 사람, 나무, 집을 그렸으며 전체적인 그림이 왼쪽 하단으로 치우쳐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도 위축되어 있으나 사전 그림보다는 안정된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사전그림에는 없는 집을 그림 것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서로 소통하고
개방되기를 바라고 있다. 아무 그림에서고 나무 줄기를 위로 뻗게 하여 나타낸 것은
이전보다 자신감이 생기고 자신에 대한 존재감도 높아졌음을 나타낸 것이며 사람도
구체적으로 더 크게 나타내고 얼굴을 크게 강조하여 웃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한 것은
삶에 대한 자신감과 자신에 대한 애정을 갖게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9) 미술치료 사례: 공격성이 있는 아동의 미술치료
공격성이 있는 아동의 미술치료
공격성 아동의 미술활동 시 고려사항으로는 그들의 행동특징을 파악하여 부적절한 행동과
긍정적인 행동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체계적인 접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관성 있는
수업 계획이 요구되며, 준비단계, 활동, 토론, 정리단계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참고문헌
보육과정. 이순영외 공저.학지사
현대유아교육과정, 임재택, 양서원.
유아교육 프로그램 "이론과 적용실제",이기숙, 교문사.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재)한국보육진흥원
추천자료
심리치료법 중 행동치료와 미술치료에 관하여 논하시오
[음악치료]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의 역사, 음악치료의 필요성, 음악치료의 중요요소, 음...
성피해자에 대한 심리치료 과정의 전략 ( 성피해자 치료, 성폭력, 성폭행, 성폭력 치료전략)
[심리학개론] 애착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심리치료방법을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기술 [심리...
[심리치료와 상담]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 사후의 정신분석 -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dler)의 생애(성장과정과 교육배경)와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프...
[심리치료와 상담] 벡(Aaron Beck)의 생애와 인지치료의 발전과정 - Beck의 성장과정과 교육...
[심리치료와 상담] Bowen(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 가...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들(자아심리, 대상관계...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개인심리학 혹은 아들러 심리치료의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의 주요 치료 기법과 개입 및 인간중심치료의 실제(가상 ...
[심리치료] 정신분석 치료법 - 정신분석치료의 치료과정 및 치료기법과 절차
집단심리치료(가족치료와 심리극)
[심리치료이론] 심리치료이론의 의미와 필요성 및 평가기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