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고려의 발전
2. 무신정권의 성립
3. 몽고와의 전쟁과 자주성의 회복
2. 무신정권의 성립
3. 몽고와의 전쟁과 자주성의 회복
본문내용
습목표 : 중앙의 정치기구는 어떤 것이 있었는가?
: 지방행정조직의 정비과정은 어떠하였는가?
: 과거제도의 목적과 특징은 무엇인가?
(1) 왕권의 안정
- 혜종. 정종 대 : 왕위계승을 둘러싼 권력다툼, 서경천도 추진
- 광종 대 : 적극적 왕권강화
노비 안검법 실시 : 호족의 군사, 경제 기반 약화 → 왕권강화
과거제도 시행 : 국왕에 충성하는 관료 채용, 공신과 호족세력 숙청
- 성종 대 : 유교 정치 이념의 채용
(2) 정치제도의 정비
- 중앙 정치 기구 : 3성 6부제 - 중서 문하성과 상서성의 2성으로 운영
중추원, 어사대, 도병마사 등
- 지방 행정 제도의 정비 : 건국초기 - 지방 세력이 행정 담당
성 종 대 - 12목에 지방관 파견
현 종 대 _ 지방제도의 골격 완성
- 지방 행정구역 : 양계 (동계와 북계) - 국경지역
5도 - 8목과 군, 현 설치
경기- 개경과 주변 군 . 현
- 주현과 속현 : 주현 : 수령 파견
속현 : 주현의 행정 지배
- 군사제도 : 중앙 - 2군 6위
지방 - 5도 주. 현군(치안과 잡역)
양계 - 상비군(국경 방비)
(3) 교육과 과거 제도
- 과거제도 : 제술과와 명경과 (문관), 잡과 (기술관), 승과 (승직자)
- 교육제도 : 국자감(개경), 향교(지방)
◎ 고려의 북진 정책
학습목표 : 북진 정책의 목적과 결과는 무엇인가?
: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는 어떠하였나?
(1) 동북아시아의 정세
- 다원적 국제 질서 형성 : 고려, 송, 거란의 강력한 통일 왕조 등장
- 고려와 거란의 관계 : 고려의 북진 정책으로 충돌
- 송과 거란의 관계 : 중국 대륙의 패권 쟁탈
- 고려와 송의 관계 : 외교 관계로 거란 견제
(2) 거란의 침입과 격퇴
- 1 차 침입
목적 : 송나라 공격을 위한 배후 세력 제거
서희의 외교 담판 : 송과의 관계 단절, 강동 6주 획득
- 2 차 침입 : 강동 6주 반환 요구, 양규의 활약
- 3 차 침입 : 강감찬의 귀주 대첩 (1019년)
- 국방 강화 : 개경의 나성축조(현종), 천리장성 축조(덕종)
(3) 동북 9성의 축조
- 여진족의 통일 : 여진 세력의 남하, 고려와 충돌
- 윤관의 여진 정벌 - 별무반 편성 : 기병 중심의 특별 부대
- 9성의 설치와 반환 : 여진족의 반환 간청, 방비의 어려움
- 금의 건국 : 거란 멸망, 고려와 형제 맹약
(4) 활발한 대외 교류
- 개방적, 실리적인 대외 정책 : 외국인의 출입허용, 코리아로 불림
- 송과의 교류 : 선진 문물 수용 (고려), 이민족 견제(송)
- 벽란도의 번성 : 국제 무역항
2. 무신정권의 성립
◎ 이자경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학습목표 : 이자겸의 난이 일어난 원인은 무엇인가?
: 묘청의 서경 천도운동이 추진된 배경은 무엇인가?
(1) 사회불안
- 지배층 내부의 갈등 : 권세가의 요직 독점, 경제 기반 확대
- 하층민의 유망 : 토지 탈점, 무거운 조세 부담
(2) 이자겸의 난
- 경원 이씨 : 유력한 외척 가문
- 이자겸의 난 : 이자겸 제거 시도에 대한 이자겸의 반격
(3) 묘
: 지방행정조직의 정비과정은 어떠하였는가?
: 과거제도의 목적과 특징은 무엇인가?
(1) 왕권의 안정
- 혜종. 정종 대 : 왕위계승을 둘러싼 권력다툼, 서경천도 추진
- 광종 대 : 적극적 왕권강화
노비 안검법 실시 : 호족의 군사, 경제 기반 약화 → 왕권강화
과거제도 시행 : 국왕에 충성하는 관료 채용, 공신과 호족세력 숙청
- 성종 대 : 유교 정치 이념의 채용
(2) 정치제도의 정비
- 중앙 정치 기구 : 3성 6부제 - 중서 문하성과 상서성의 2성으로 운영
중추원, 어사대, 도병마사 등
- 지방 행정 제도의 정비 : 건국초기 - 지방 세력이 행정 담당
성 종 대 - 12목에 지방관 파견
현 종 대 _ 지방제도의 골격 완성
- 지방 행정구역 : 양계 (동계와 북계) - 국경지역
5도 - 8목과 군, 현 설치
경기- 개경과 주변 군 . 현
- 주현과 속현 : 주현 : 수령 파견
속현 : 주현의 행정 지배
- 군사제도 : 중앙 - 2군 6위
지방 - 5도 주. 현군(치안과 잡역)
양계 - 상비군(국경 방비)
(3) 교육과 과거 제도
- 과거제도 : 제술과와 명경과 (문관), 잡과 (기술관), 승과 (승직자)
- 교육제도 : 국자감(개경), 향교(지방)
◎ 고려의 북진 정책
학습목표 : 북진 정책의 목적과 결과는 무엇인가?
: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는 어떠하였나?
(1) 동북아시아의 정세
- 다원적 국제 질서 형성 : 고려, 송, 거란의 강력한 통일 왕조 등장
- 고려와 거란의 관계 : 고려의 북진 정책으로 충돌
- 송과 거란의 관계 : 중국 대륙의 패권 쟁탈
- 고려와 송의 관계 : 외교 관계로 거란 견제
(2) 거란의 침입과 격퇴
- 1 차 침입
목적 : 송나라 공격을 위한 배후 세력 제거
서희의 외교 담판 : 송과의 관계 단절, 강동 6주 획득
- 2 차 침입 : 강동 6주 반환 요구, 양규의 활약
- 3 차 침입 : 강감찬의 귀주 대첩 (1019년)
- 국방 강화 : 개경의 나성축조(현종), 천리장성 축조(덕종)
(3) 동북 9성의 축조
- 여진족의 통일 : 여진 세력의 남하, 고려와 충돌
- 윤관의 여진 정벌 - 별무반 편성 : 기병 중심의 특별 부대
- 9성의 설치와 반환 : 여진족의 반환 간청, 방비의 어려움
- 금의 건국 : 거란 멸망, 고려와 형제 맹약
(4) 활발한 대외 교류
- 개방적, 실리적인 대외 정책 : 외국인의 출입허용, 코리아로 불림
- 송과의 교류 : 선진 문물 수용 (고려), 이민족 견제(송)
- 벽란도의 번성 : 국제 무역항
2. 무신정권의 성립
◎ 이자경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학습목표 : 이자겸의 난이 일어난 원인은 무엇인가?
: 묘청의 서경 천도운동이 추진된 배경은 무엇인가?
(1) 사회불안
- 지배층 내부의 갈등 : 권세가의 요직 독점, 경제 기반 확대
- 하층민의 유망 : 토지 탈점, 무거운 조세 부담
(2) 이자겸의 난
- 경원 이씨 : 유력한 외척 가문
- 이자겸의 난 : 이자겸 제거 시도에 대한 이자겸의 반격
(3) 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