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및 작품해설] Beloved (빌러비드) _ Toni Morrison (토니 모리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가 및 작품해설] Beloved (빌러비드) _ Toni Morrison (토니 모리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작가
 Toni Morrison(1931~ )

◎작품분석
 1. 실화 바탕
 2. 빌러비드는 누구인가?
  1)두가지 해석
  2)작가의 의도

3.정체성 회복

4. 라깡의 정신분석학적 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이 무엇보다도 소중한 일임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흑인 공동체로 발을 디딘 덴버는 희망의 딸, 흑인 역사의 딸로서 거듭나게 된다.
이렇듯 재기억을 통해 ‘말할 수 없었던’과거를 세상 밖으로 표출하는 시이드, 폴디, 덴버의 목소리는 공동체라는 공간에서 보장받으면서 다른 이의 목소리와 함께 어우러져 흑인 전체의 목소리를 회복하게 된다. 이것은 그동안 침묵을 강요당한 흑인의 역사를 새롭게 쓰기 위해서는 묻혀지고 굴절되고 박탈된 각각의 목소리를 이해하는 것이 그 전체적인 의미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사라져버린 빌러비드의 빈자리는 오히려 사람들의 기억 속에 그녀의 존재를 더 확고하게 굳힌다. 빌러비드가 사라진 뒤에 남은 시냇가의 발자국은 바로 빌러비드가 상징하던 흑인들의 아픈 경험의 흔적이며, 따라서 그것은 그 발자국 속에 발을 맞추어 보는 흑인 모두에게 너무나 익숙한 발자국이 된다. 그러나 그들이 다시 발을 뗏을 때 빌러비드의 존재가 잊혀지듯 발자국은 마치 그 자리를 아무도 걷지 않았던 것처럼 사라진다. 발자국이 차츰 사라지게 될 때 그 속에 담겨진 과거의 흔적들도 점차로 사라지고 잊혀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흑인 조상들의 과거 경험을 실제로 경험하지 못한 세대라고 그 발자국에 익숙한 것처럼, 그 경험을 간접 체험하는 것만으로도 흑인들은 조상들이 거쳐간 경험을 나눌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점차로 모든 흔적이 사라지고 잊혀질 때 모든 고통스런 기억과 경험들도 과거 시간 속으로 잊혀지며 흑인 모두는 자신의 정체성과 서로간의 사랑을 바탕으로 새로운 희망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
4. 라깡의 정신분석학적 관점
소설 속에 그려진 빌러비드의 정체나 환상적인 사건들을 이해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바로 라깡(Jacques Lacan)의 거울의 단계(the mirror stage) 개념이다. 그는 거울의 단계를 거치는 두 살에서 다섯 살 사이의 아이들의 놀이나 꿈에 나타나는―그리고 성인들의 환상이나 예술 작품에 나타나는―파편화(body disintegration)에 대한 두려움과 거기 따른 공격성을 묘사한 바 있다. 그는 이 단계의 아이들은 몸이 폭발한다든가, 신체의 일부가 떨어져 나간다든가 하는 데 대한 강한 두려움을 경험한다고 했는데 (Sheridan, Ecrits, p. 11; Ragland-Sullivan p. 36에 인용), 래글런드-설리번은 이런 경향은 거울의 단계를 거치는 아이들의 단편적 자아 파악 또는 통합적 자아상의 결여에 대한 반응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빌러비드는 겉으로 보기에는 방년의 처녀지만, 심리적으로는 시이드에 의해 살해된 당시의 나이, 즉 두 살 정도의 어린아이에 불과하고, 이는 바로 라깡이 얘기하는 거울의 단계 초기에 해당하는 연령이다. 그리고 소설 속에 자주 나오는 파편화의 이미지들은 모두 라깡이나 클라인이 언급하는 오이디푸스 전 단계 영아들의 공통된 특징들을 노정하고 있다:
그녀는 자신이 언제부터 어느 날 갑자기 잠에서 깨어 보니 자기 몸이 산산조각 나 있을 거라는 걸 알고 있었는지 기억할 수 없었다. 그녀는 두 가지 꿈을 꾸곤 했는데, 하나는 자기 몸이 폭발해 산산조각 나는 꿈, 다른 하나는 누군가에게 먹히는 꿈이었다. 그리고 입 제일 안쪽에 있는 어금니 조각이 떨어져 나왔을 때 그녀는 드디어 올 것이 왔다는 느낌이 들었다. (157)
소설 속에서 그녀는 빈번히 이런 파편화의 전조를 예감하고, 특히 시이드가 폴 디와 가까워지면 그런 느낌이 더 강해진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어린아이처럼 단 것을 즐겨 먹고, 이가 나기 시작하는 아이처럼 손으로 잇몸을 만지기도 한다 (294).
빌러비드가 “그녀의 얼굴을 보려고” (p. 88, 255) 죽음의 세계로부터 되돌아 온 것은 이런 맥락에서 보면 너무도 당연한 것이다. 라깡에 따르면 거울의 단계를 거치는 아이들은 엄마의 얼굴과 몸의 이미지를 통해 애초의 파편적이고 단편화된 자아 관념을 벗어나 하나의 총체적인 자아(Gestalt), 통합된 정체성과 이상적인 자아상 (ego ideal)을 형성한다 (Ragland-Sullivan 36-8). 빌러비드는 시이드의 얼굴 및 몸과의 동일화(identification)를 채 완결하기 전에 죽음을 맞이했고, 그래서 그녀가 한 존재로서 완성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바로 엄마인 시이드의 얼굴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폴 디라는 현실의 소리가 나타나 자신과 시이드의 유아적 이자 관계를 위협하자 빌러비드는 온갖 수단으로 그를 몰아 내려고 하고,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1.13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5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