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론
1. 정의
2. 위성의 종류
2.1 과학탐사위성
2.2 기상위성
2.3 통신위성
2.4 항법위성
2.5 군사위성
⓵ Key-Hole(KH-11)
Eros-B
2.6 지구관측위성
⓵ Ikonos-2
⓶ Quickbirds-2
⓷ Kompast-3(아리랑3호)
Orbview-3
Geoeye-1
1. 정의
2. 위성의 종류
2.1 과학탐사위성
2.2 기상위성
2.3 통신위성
2.4 항법위성
2.5 군사위성
⓵ Key-Hole(KH-11)
Eros-B
2.6 지구관측위성
⓵ Ikonos-2
⓶ Quickbirds-2
⓷ Kompast-3(아리랑3호)
Orbview-3
Geoeye-1
본문내용
축적 지도제작이 불가능했던 위성영상 지도제작 분야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했다.
제원
궤도특성
운항고도
450 km
궤도경사각
98˚
궤도특성
자전동기
동위치순환주기
70cm 공간해상도 기준 위도에 따라 1 ~ 3.5 일
Swath Width &Area Size
평균 swath width
16.5 km(nadir)
제품화규격
*single scene : 16.5 km x 16.5 km
* Strip - 16.5 km x 165 k
해상도
Panchromatic
*공간해상도:61cm(nadir)
*분광해상도:0.445~ 0.900 ㎛
Multispectral*공간해상도:2.44 m(nadir)* 분광해상도- Blue: 0.450 ~ 0.520 ㎛- Green: 0.520 ~ 0.600 ㎛- Red: 0.630 ~ 0.690 ㎛- Near-IR: 0.760 ~ 0.900 ㎛
복사해상도
11 bits
Kompast-3 (아리랑3호)
아리랑 2호 탑재체의 성능은 1m급으로, 미국 등 우주선진국들의 상업용 지구관측위성과 비교할 때 해상도 측면에서는 상당히 근접했다. 하지만, 해외 위성의 경우 필요시 위성의 자세를 신속하게 변경하여 원하는 곳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동성능을 갖추고 있었으나, 아리랑 2호의 경우에는 길이가 긴 태양전지판과 작은 용량의 반작용 휠 그리고 자세제어 알고리즘 등의 이유로 기동성을 가질 수 없었다. 아리랑 2호의 후속모델인 아리랑 3호는 설계과정에서 기동성 보완을 위해 길이가 짧은 고정식 태양전지판 3개를 갖춘 형태를 채택하였다.
아리랑 3호 초기 설계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태양전지판이 논의되었으나, 전력생산이나 전개장치 설계의 간편성 그리고 기동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관성모멘트의 크기 등, 성능을 고려하여 현재의 형상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인공위성의 기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구동기가 필요한데, 불행하게도 국내에서는 아직 반작용 휠을 만드는 기술이 없어 해외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2006년 아리랑 3호가 본격적인 설계가 진행되던 시점에서 상업용 위성영상을 공급하는 회사에서 요구하는 위성들은 모두 CMG(Control Momentum Gyro)라는 대용량 자세제어 구동기 사용을 시작하고 있었다. 그러나 CMG 기술을 보유하고 있던 해외제작업체는 하드웨어의 제공을 기피하였고, 우리는 부득이 차선책으로 당시 생산되고 있는 반작용 휠 중에 용량이 가장 큰 제품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반작용 휠만을 사용하여서 CMG를 사용하는 미국의 월드뷰(World View) 그리고 프랑스의 플레이아데스(Pleiades) 위성의 기동성능에는 미치지 못하게 된 아쉬움은 있었다. 그러나 태양전지판 길이가 짧아지고 용량이 증대된 반작용 휠로 인하여 아리랑 3호는 기존 아리랑 2호와 비교하여 대폭 향상된 기동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운용궤도
685km 태양동기궤도
질량
980kg(발사시 72.5kg 추진제질량 포함)
전력량
1300kw
위성크기
발사시
2.0m x 3.5m (직경 x 높이)
궤도상
2.0m x 3.5m x 6.25m (직경 x 높이 x 폭)
탑재체
흑백(PAN)
0.7m 해상도
칼라(MS)
2.8m 해상도
영상 저장용량
512 Gbit
수명
발사이후 4년 (임무수명)
자세제어
3축 안정화 방식
Orbview-3
- 위성 본체와 카메라, 제어 시스템, 영상처리 시스템 개발은 Orbital Technologies에서 맡고, ORBIMAGE(http://www.orbimage.com/)에서 Orbview 위성들을 운용하고 영상을 처리
- Orbview-4 위성은 발사 실패하였으며, 앞서 무산된 Orbview-3호의 개발 계획
- 470km의 고도와 약 97° 경사각으로 운용되는 태양동기식 궤도를 가짐
- 회기주기는 3일이내이고 계획 수명은 약 5년으로 설계됨
Orbview 위성(좌 : 3호, 우 : 4호)
<북한 삼수발전소 건설현장의 발파작업현장>
표 5.8 Orbview-3, 4 센서 제원
Orbview-3
Orbview-4
영상 모드
Pan.
Multispec.
Pan.
Multispec.
Hyper-spectral
공간해상도
1m
4m
1m
4m
8m
밴드수
1개
4개
1개
4개
200개
밴드폭
450~
900nm
450~520nm
450~
900nm
450~520nm
450~2500nm
520~600nm
520~600nm
625~695nm
625~695nm
760~900nm
760~900nm
방사해상도
11bit
11bit
12bit
관측폭
8km
8km
5km
촬영 면적
64㎢
64㎢
25㎢
최대 전송량
150Mbps
150Mbps
데이터 저장량
32GB
32GB
Geoeye-1
GeoEye-1 은 IKONOS를 운영하고 있는 GeoEye사에서 2008년 9월 6일 발사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이다. 고도 681km에서 상공에서 하루에 15번 지구를 돌면서 관측할 수 있으며 0.41m의 panchromatic 카메라와 1.65m의 Multispectral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으며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관측폭은 15.2km 이며 스테레오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접근 지역의 지도제작 등에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다.
국가 보안 목적으로 찍는 사진의 해상도는 43cm 이지만, 구글은 민간 업체이므로 정부의 규제상, 최대 50cm까지로 제한되고 있다.
공간해상도
Panchromatic Sensor
0.41 x 0.41 meters
Multispectral Sensor
1.65 x 1.65 meters
관측 파장대
450~510 nm (blue)510~580 nm
(green)655~690 nm (red)780~920 nm
(near IR)
관측폭
15.2 km
경사촬영
60°이상
방사해상도
11비트
임무수명
10년 이상
재방문주기
3일 이하
위성고도
681 km
궤도교점통과시각
10:30 a.m.
발사체
Delta II
위성 데이터 저장용량 및 송신
1 테라바이트 X-band downlink (at 740 mb/sec or 150 mb/sec)
위성타입
태양동기궤도(Sun-synchronous)
제원
궤도특성
운항고도
450 km
궤도경사각
98˚
궤도특성
자전동기
동위치순환주기
70cm 공간해상도 기준 위도에 따라 1 ~ 3.5 일
Swath Width &Area Size
평균 swath width
16.5 km(nadir)
제품화규격
*single scene : 16.5 km x 16.5 km
* Strip - 16.5 km x 165 k
해상도
Panchromatic
*공간해상도:61cm(nadir)
*분광해상도:0.445~ 0.900 ㎛
Multispectral*공간해상도:2.44 m(nadir)* 분광해상도- Blue: 0.450 ~ 0.520 ㎛- Green: 0.520 ~ 0.600 ㎛- Red: 0.630 ~ 0.690 ㎛- Near-IR: 0.760 ~ 0.900 ㎛
복사해상도
11 bits
Kompast-3 (아리랑3호)
아리랑 2호 탑재체의 성능은 1m급으로, 미국 등 우주선진국들의 상업용 지구관측위성과 비교할 때 해상도 측면에서는 상당히 근접했다. 하지만, 해외 위성의 경우 필요시 위성의 자세를 신속하게 변경하여 원하는 곳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동성능을 갖추고 있었으나, 아리랑 2호의 경우에는 길이가 긴 태양전지판과 작은 용량의 반작용 휠 그리고 자세제어 알고리즘 등의 이유로 기동성을 가질 수 없었다. 아리랑 2호의 후속모델인 아리랑 3호는 설계과정에서 기동성 보완을 위해 길이가 짧은 고정식 태양전지판 3개를 갖춘 형태를 채택하였다.
아리랑 3호 초기 설계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태양전지판이 논의되었으나, 전력생산이나 전개장치 설계의 간편성 그리고 기동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관성모멘트의 크기 등, 성능을 고려하여 현재의 형상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인공위성의 기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구동기가 필요한데, 불행하게도 국내에서는 아직 반작용 휠을 만드는 기술이 없어 해외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2006년 아리랑 3호가 본격적인 설계가 진행되던 시점에서 상업용 위성영상을 공급하는 회사에서 요구하는 위성들은 모두 CMG(Control Momentum Gyro)라는 대용량 자세제어 구동기 사용을 시작하고 있었다. 그러나 CMG 기술을 보유하고 있던 해외제작업체는 하드웨어의 제공을 기피하였고, 우리는 부득이 차선책으로 당시 생산되고 있는 반작용 휠 중에 용량이 가장 큰 제품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반작용 휠만을 사용하여서 CMG를 사용하는 미국의 월드뷰(World View) 그리고 프랑스의 플레이아데스(Pleiades) 위성의 기동성능에는 미치지 못하게 된 아쉬움은 있었다. 그러나 태양전지판 길이가 짧아지고 용량이 증대된 반작용 휠로 인하여 아리랑 3호는 기존 아리랑 2호와 비교하여 대폭 향상된 기동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운용궤도
685km 태양동기궤도
질량
980kg(발사시 72.5kg 추진제질량 포함)
전력량
1300kw
위성크기
발사시
2.0m x 3.5m (직경 x 높이)
궤도상
2.0m x 3.5m x 6.25m (직경 x 높이 x 폭)
탑재체
흑백(PAN)
0.7m 해상도
칼라(MS)
2.8m 해상도
영상 저장용량
512 Gbit
수명
발사이후 4년 (임무수명)
자세제어
3축 안정화 방식
Orbview-3
- 위성 본체와 카메라, 제어 시스템, 영상처리 시스템 개발은 Orbital Technologies에서 맡고, ORBIMAGE(http://www.orbimage.com/)에서 Orbview 위성들을 운용하고 영상을 처리
- Orbview-4 위성은 발사 실패하였으며, 앞서 무산된 Orbview-3호의 개발 계획
- 470km의 고도와 약 97° 경사각으로 운용되는 태양동기식 궤도를 가짐
- 회기주기는 3일이내이고 계획 수명은 약 5년으로 설계됨
Orbview 위성(좌 : 3호, 우 : 4호)
<북한 삼수발전소 건설현장의 발파작업현장>
표 5.8 Orbview-3, 4 센서 제원
Orbview-3
Orbview-4
영상 모드
Pan.
Multispec.
Pan.
Multispec.
Hyper-spectral
공간해상도
1m
4m
1m
4m
8m
밴드수
1개
4개
1개
4개
200개
밴드폭
450~
900nm
450~520nm
450~
900nm
450~520nm
450~2500nm
520~600nm
520~600nm
625~695nm
625~695nm
760~900nm
760~900nm
방사해상도
11bit
11bit
12bit
관측폭
8km
8km
5km
촬영 면적
64㎢
64㎢
25㎢
최대 전송량
150Mbps
150Mbps
데이터 저장량
32GB
32GB
Geoeye-1
GeoEye-1 은 IKONOS를 운영하고 있는 GeoEye사에서 2008년 9월 6일 발사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이다. 고도 681km에서 상공에서 하루에 15번 지구를 돌면서 관측할 수 있으며 0.41m의 panchromatic 카메라와 1.65m의 Multispectral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으며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관측폭은 15.2km 이며 스테레오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접근 지역의 지도제작 등에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다.
국가 보안 목적으로 찍는 사진의 해상도는 43cm 이지만, 구글은 민간 업체이므로 정부의 규제상, 최대 50cm까지로 제한되고 있다.
공간해상도
Panchromatic Sensor
0.41 x 0.41 meters
Multispectral Sensor
1.65 x 1.65 meters
관측 파장대
450~510 nm (blue)510~580 nm
(green)655~690 nm (red)780~920 nm
(near IR)
관측폭
15.2 km
경사촬영
60°이상
방사해상도
11비트
임무수명
10년 이상
재방문주기
3일 이하
위성고도
681 km
궤도교점통과시각
10:30 a.m.
발사체
Delta II
위성 데이터 저장용량 및 송신
1 테라바이트 X-band downlink (at 740 mb/sec or 150 mb/sec)
위성타입
태양동기궤도(Sun-synchronous)
추천자료
북한의 과학기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의 진전
원격탐사(Remote Sensing) 기술
[정보통신]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방송][통신][다매체][다채널][유료방송][PPV][방송환경]방송과 통신의 융합, 다매체간 상호...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학습)의 교수학습모형,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
과학기술문화창달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 시장개방과 R&D 조직의 전략적 효과성 분석
과학과 ICT활용 교육자료(학습자료), 과학과 심화보충 교육자료(학습자료), 과학과 자주학습 ...
[방송통신융합, 방송통신융합 개념, 방송통신융합 특성, 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의 개념, 방송...
무선이동통신 분류, 무선이동통신 성장과정, 무선이동통신 가입자현황, 무선이동통신 통신사1...
[사업자 선정기준][사업자][지상파방송]지상파방송사업자 선정기준, DMB사업자(디지털멀티미...
[국가 비전][국가 우주개발 비전][국가 과학기술시스템 비전][국가 인적자원개발 비전][국가 ...
SKTKTLG U+ 3사의 IPTV 시장 과점,이동통신산업에서 LG,IPTV 판도,LG U+ 성공전략,인터넷 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