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목차
I. 계획수립의 배경
1. 계획 수립의 배경
2. 계획의 의의 및 성격
3. 계획수립체제
II. 과학기술문화의 이해
1. 과학기술문화의 개념
2. 과학기술문화의 역사
3. 과학기술문화의 발전 단계와 과제
III. 주요국의 과학기술문화 동향 및 시사점
1. 과학기술문화활동의 이슈들
2. 시사점
IV. 한국 과학기술문화의 현황 및 과제
1. 최근 5년간 과학기술문화활동의 성과
2. 과학기술문화활동의 문제점 및 과제
V. 과학기술문화창달 기본계획의 개요
1. 개요
2. 비전
3. 목표
4. 추진전략 및 중점 추진과제
5. 추진체제
6. 재원조달 방안
V. 세부사업 일람표
<참고문헌>
1. 계획 수립의 배경
2. 계획의 의의 및 성격
3. 계획수립체제
II. 과학기술문화의 이해
1. 과학기술문화의 개념
2. 과학기술문화의 역사
3. 과학기술문화의 발전 단계와 과제
III. 주요국의 과학기술문화 동향 및 시사점
1. 과학기술문화활동의 이슈들
2. 시사점
IV. 한국 과학기술문화의 현황 및 과제
1. 최근 5년간 과학기술문화활동의 성과
2. 과학기술문화활동의 문제점 및 과제
V. 과학기술문화창달 기본계획의 개요
1. 개요
2. 비전
3. 목표
4. 추진전략 및 중점 추진과제
5. 추진체제
6. 재원조달 방안
V. 세부사업 일람표
<참고문헌>
본문내용
pp. 63-83.
송성수·김동광 (2000), "과학기술대중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 『과학기술정책』 제10권 2호, pp. 26-37.
송위진 (2002), "기술정책의 진화와 기술혁신이론", 『과학기술학연구』 제2권 1호, pp. 39-61.
신동민 (2001), "독일의 과학대화문화: 대화하는 과학", 『과학기술정책』 제11권 5호, pp. 87-98.
윤정로 (2002), "ELSI(인간유전체 연구의 윤리적, 법적, 사회적 함의) 연구 동향", 『과학사상』 제41호, 여름, pp. 224-235.
윤혜경 (2001), "호주의 과학기술문화사업", 『과학기술정책』 제11권 5호, pp. 75-86.
이영희 (2000), 『과학기술의 사회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에 대한 성찰』, 한울.
이용수 외 (1997), 『과학기술문화 창달을 위한 종합대책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이원근 외 (2002), 『과학위성방송 설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은경 (2001), "미국의 과학기술문화사업: NSF와 AAAS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 제11권 5호, pp. 68-74.
이은경·민철구 (2002), "과학기술자의 연구환경과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 제12권 1호, pp. 104-117.
이은경·송성수 (2002), 『청소년 과학화: 과학문화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재단.
이재억·이은경 외 (2001), 『한국과학문화재단 중·장기 발전계획』,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초식 (2001), "한국 과학문화의 비판적 진단", 『과학기술학연구』 제1권 1호, pp. 5-27.
장회익·송성수 외 (2001), 『세계과학회의 후속조치를 위한 국내 과학기술활동의 점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정광수 외 (2002), "과학문화의 개념과 의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세계 과학의 날 기념 학술대회』, pp. 3-12.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2002), 『과학기술·환경·시민참여』, 한울.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02), 『세계석학을 활용한 과학기술문화확산정책 연구』.
한국과학문화재단 (2000), 『과학기술국민이해 측정도구 개발 및 조사연구』.
한국과학문화재단 (2001),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부문별 추진전략 수립: 과학기술문화부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문화재단 (2002), 『2002 과학기술국민이해도조사』.
한국과학문화재단 (2003), 『과학문화』, 각호.
Durant, J. (1999), "Participatory Technology Assessment and the Democratic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26, No. 5, pp. 313-320. [국역: "참여적 기술평가와 대중들의 과학이해(PUS)의 민주주의적 모델", 『시민과학』 제20호 (2000. 9), pp. 16-24].
Field, H. and P. Powell (2001),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ersus Public Understanding of Research",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0, No. 4, pp. 421-426.
Frankenfeld, P.J. (1992), "Technological Citizenship: A Normative Framework for Risk Studi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7, No. 4, pp. 459-484.
Gregory, J. and S. Miller (2001), 이원근·김희정 옮김, 『두 얼굴의 과학: 과학과 대중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가』, 지호.
Irwin, A. (1995), Citizen Science: A Study of People, Expertis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Lewenstein, B.V., ed. (1992), When Science Meets the Public,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Logan, R.A. (2001), "Science Mass Communication: Its Conceptual History", Science Communication, Vol. 23, No. 2, pp. 135-163.
Miller, S., et al. (2002), Report from the Expert Group Benchmarking the Promotion of RTD Culture and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European Commission.
Schiele, B., ed. (1994), When Science Becomes Culture, University of Ottawa Press.
Simmonds, P., S. Teather, and A. stling (2001), "RCN in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Background Report No. 9 in the Evaluation of the Research Council of Norway", Technopolis Limited.
OECD (1997), "Promoting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Webster, A. (1998), 김환석·송성수 옮김, 『과학기술과 사회: 새로운 방향』, 한울.
Wynne, B. (1995),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 Jasanoff, et al.,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ondon: Sage Publications, pp. 361-388.
송성수·김동광 (2000), "과학기술대중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 『과학기술정책』 제10권 2호, pp. 26-37.
송위진 (2002), "기술정책의 진화와 기술혁신이론", 『과학기술학연구』 제2권 1호, pp. 39-61.
신동민 (2001), "독일의 과학대화문화: 대화하는 과학", 『과학기술정책』 제11권 5호, pp. 87-98.
윤정로 (2002), "ELSI(인간유전체 연구의 윤리적, 법적, 사회적 함의) 연구 동향", 『과학사상』 제41호, 여름, pp. 224-235.
윤혜경 (2001), "호주의 과학기술문화사업", 『과학기술정책』 제11권 5호, pp. 75-86.
이영희 (2000), 『과학기술의 사회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에 대한 성찰』, 한울.
이용수 외 (1997), 『과학기술문화 창달을 위한 종합대책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이원근 외 (2002), 『과학위성방송 설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은경 (2001), "미국의 과학기술문화사업: NSF와 AAAS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 제11권 5호, pp. 68-74.
이은경·민철구 (2002), "과학기술자의 연구환경과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 제12권 1호, pp. 104-117.
이은경·송성수 (2002), 『청소년 과학화: 과학문화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재단.
이재억·이은경 외 (2001), 『한국과학문화재단 중·장기 발전계획』,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초식 (2001), "한국 과학문화의 비판적 진단", 『과학기술학연구』 제1권 1호, pp. 5-27.
장회익·송성수 외 (2001), 『세계과학회의 후속조치를 위한 국내 과학기술활동의 점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정광수 외 (2002), "과학문화의 개념과 의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세계 과학의 날 기념 학술대회』, pp. 3-12.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2002), 『과학기술·환경·시민참여』, 한울.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02), 『세계석학을 활용한 과학기술문화확산정책 연구』.
한국과학문화재단 (2000), 『과학기술국민이해 측정도구 개발 및 조사연구』.
한국과학문화재단 (2001),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부문별 추진전략 수립: 과학기술문화부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문화재단 (2002), 『2002 과학기술국민이해도조사』.
한국과학문화재단 (2003), 『과학문화』, 각호.
Durant, J. (1999), "Participatory Technology Assessment and the Democratic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26, No. 5, pp. 313-320. [국역: "참여적 기술평가와 대중들의 과학이해(PUS)의 민주주의적 모델", 『시민과학』 제20호 (2000. 9), pp. 16-24].
Field, H. and P. Powell (2001),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ersus Public Understanding of Research",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0, No. 4, pp. 421-426.
Frankenfeld, P.J. (1992), "Technological Citizenship: A Normative Framework for Risk Studi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7, No. 4, pp. 459-484.
Gregory, J. and S. Miller (2001), 이원근·김희정 옮김, 『두 얼굴의 과학: 과학과 대중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가』, 지호.
Irwin, A. (1995), Citizen Science: A Study of People, Expertis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Lewenstein, B.V., ed. (1992), When Science Meets the Public,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Logan, R.A. (2001), "Science Mass Communication: Its Conceptual History", Science Communication, Vol. 23, No. 2, pp. 135-163.
Miller, S., et al. (2002), Report from the Expert Group Benchmarking the Promotion of RTD Culture and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European Commission.
Schiele, B., ed. (1994), When Science Becomes Culture, University of Ottawa Press.
Simmonds, P., S. Teather, and A. stling (2001), "RCN in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Background Report No. 9 in the Evaluation of the Research Council of Norway", Technopolis Limited.
OECD (1997), "Promoting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Webster, A. (1998), 김환석·송성수 옮김, 『과학기술과 사회: 새로운 방향』, 한울.
Wynne, B. (1995),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 Jasanoff, et al.,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ondon: Sage Publications, pp. 361-388.
추천자료
- 과학기술과 윤리에 관한 연구 조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경영전략
- [A+완성] 21세기 과학기술과 네트워크형 기술의 특징 장단점 고찰
- 농업생명과학대학의 농업과학기술 교육의 실태와 발전전망
- 세종대왕과 과학기술
- 과학기술과 의사소통에 관한 고찰
- 과학기술의 발달은 우리인간에게 축복인가 재앙인가
- 중국의 생활과학_첨단기술
- [조선시대 과학기술] 기상학을 통해 살펴본 조선 후기 근대 과학 기술 (조선시대의 기상학, ...
- 3-5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하기에 관련된 활동계획안을 과학과정기술을 적용하여 상술하였습니다.
-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이론을 정리해보고 이론에 근거한 발달단계 따른 과학과정기술...
- (방통대 인간과과학1)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시민들이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시각과 연결지어...
- 기술과시대)과학기술과 문명과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