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14장 완충용액과 산염기적정
I. 공통이온효과(Common-ion effect)
평형 반응에 이미 포함된 이온을 추가함으로써 평형의 위치가 이동하는 것
(평형을 이루고 있는 이온과 동일한 이온을 내놓는 용질을 첨가하면 평형이 이동이 되는데
이 평형이동을 공통이온효과라 한다.)
풀이)
HF H+ + F-
Ka =
처음
1
0
1
반응
-x
+x
+x
나중
1-x
x
1+x
Ka = = 7.2 x 10-4M
pH=3.14
HF의 해리퍼센트 = =
= 0.072%
풀이)
1. CH3COOH CH3COO- + H+
처음
0.2
0
0
반응
-x
+x
+x
나중
0.2-x
x
x
, [H+] =
2. CH3COOH CH3COO- + H+
처음
0.2
0.3
0
반응
-x
+x
+x
나중
0.2-x
0.3 + x
x
[H+] = , pH = 5.921
풀이)
HLac Lac- + H+
처음
1
1
0
반응
-x
+x
+x
나중
1-x
1 + x
x
[H+] = , pH = 3.85
II. 완충용액(Buffer)
완충 용액
수산화 이온이나 양성자가 첨가될 때 그 pH 변화를 막는 용액
외부에서 소량의 산이나 염기 또는 물을 가하여도 그 용액의 pH가 크게 변하지 않도록 만들어진 용액.
산과 그 짝염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완충 용량(Buffer capacity) 또는 완충세기(Buffer intensity)
완충용량은 완충용액 1L의 pH를 1단위 바꾸는데 필요한 센산 또는 센염기의 몰
(=pH의 커다란 변화 없이 완충용액이 흡수할 수 있는 양성자나 수산화 이온의 양으로 정의)
완충용량이 클수록 용액의 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더 잘 견딤
용액의 pH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
완충용액 제조방법
완충용액의 pH는 완충성분의 농도비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 비가 첨가한 수산화 이온에 의해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을 때 그 용액은 pH변화에 가장 잘 견딘다.
①산과 염기를 상당량 첨가해도 pH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
완충용량(buffer capacity)를 가져야 한다.
0.1M-1.0M 용액을 사용하면 충분
② 의 비가 1일 때 가장 pH변화에 잘 견딘다.
따라서 는 1로
I. 공통이온효과(Common-ion effect)
평형 반응에 이미 포함된 이온을 추가함으로써 평형의 위치가 이동하는 것
(평형을 이루고 있는 이온과 동일한 이온을 내놓는 용질을 첨가하면 평형이 이동이 되는데
이 평형이동을 공통이온효과라 한다.)
풀이)
HF H+ + F-
Ka =
처음
1
0
1
반응
-x
+x
+x
나중
1-x
x
1+x
Ka = = 7.2 x 10-4M
pH=3.14
HF의 해리퍼센트 = =
= 0.072%
풀이)
1. CH3COOH CH3COO- + H+
처음
0.2
0
0
반응
-x
+x
+x
나중
0.2-x
x
x
, [H+] =
2. CH3COOH CH3COO- + H+
처음
0.2
0.3
0
반응
-x
+x
+x
나중
0.2-x
0.3 + x
x
[H+] = , pH = 5.921
풀이)
HLac Lac- + H+
처음
1
1
0
반응
-x
+x
+x
나중
1-x
1 + x
x
[H+] = , pH = 3.85
II. 완충용액(Buffer)
완충 용액
수산화 이온이나 양성자가 첨가될 때 그 pH 변화를 막는 용액
외부에서 소량의 산이나 염기 또는 물을 가하여도 그 용액의 pH가 크게 변하지 않도록 만들어진 용액.
산과 그 짝염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완충 용량(Buffer capacity) 또는 완충세기(Buffer intensity)
완충용량은 완충용액 1L의 pH를 1단위 바꾸는데 필요한 센산 또는 센염기의 몰
(=pH의 커다란 변화 없이 완충용액이 흡수할 수 있는 양성자나 수산화 이온의 양으로 정의)
완충용량이 클수록 용액의 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더 잘 견딤
용액의 pH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
완충용액 제조방법
완충용액의 pH는 완충성분의 농도비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 비가 첨가한 수산화 이온에 의해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을 때 그 용액은 pH변화에 가장 잘 견딘다.
①산과 염기를 상당량 첨가해도 pH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
완충용량(buffer capacity)를 가져야 한다.
0.1M-1.0M 용액을 사용하면 충분
② 의 비가 1일 때 가장 pH변화에 잘 견딘다.
따라서 는 1로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 고체의 녹는점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일반화학 실험] 06-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 기체의 부피, 온도, 압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반화학 실험] 05- 원소의 방출 스펙트럼 : 원소의 선스펙트럼에서 원자의 전자상태의 양자...
[일반화학 실험] 09- 재결정 : 산·염기의 성질을 이용해서 용해도가 비슷한 두 물질을 분리하...
[일반화학 실험] 07- 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 실험을 통해 나프탈렌의 어는점을 확인하고, 미...
[일반화학실험] 용해도 및 분별결정 : 온도 변화에 따라 고체의 물에 대한 용해도의 차이를 ...
[일반화학실험] 기체 분자의 확산 ; 물질을 이루는 기체 분자들이 기체나 액체 속으로 퍼져 ...
[일반화학실험] 헤스의 법칙(Hess`s law) :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의 반응을 통해 헤스의 법칙...
2주차 일반실험화학 (예비 보고서) : 실험에 쓰이는 눈금용기, 온도계의 변동성을 보정과정을...
재결정과 거르기 고체화합물
[일반화학실험] 생활속의 산과 염기 분석 : 수용액에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에 의해서 물과 ...
[일반화학실험] 크로마토그래피 : 혼합물을 분리하는 한 방법으로서 색소 분리를 통한 크로마...
[일반화학실험] 혼합물의 분리
[일반화학실험] (결과) 엔탈피 측정 :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엔탈피가 상태함수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