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딴 것이다. 첫글자는 gene의 첫철자이고, 다음 두 철자들은 specles의 첫 두 철자들이다. 게다가, strain명이 때때로 포함되어진다. 마지막으로 만약 미생물의 strain가 단지 하나의 제한효소를 생산한다면, 이름은 Roman numeral 1 으로 끝난다. 만약 한 개보다 더 많은 효소가 생산되어진다면, 발견된 순서에 따라 1,2,3 등으로 수가 매겨진다.
3)제한효소의 종류
제한효소는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것은 대부분 type 2이다.
(1) type1 restriction enzyme
DNA의 특정부위를 인식하기는 하지만 인식된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를 절단한다.
(2) type2 restriction enzyme
인식부위와 절단부위가 모두 특이성이 있어서 분자생물학 연구에 아주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3)type3 restriction enzyme
인식한 DNA부위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부위를 절단한다.
*제한효소와 각각의 인식부위
4)제한효소 mechanism?
제한효소는 그 효소가 유래하는 균주의 DNA나 자주형에 수식된 DNA(DNA분자내의 특정의 염기가 methylation된 DNA의 cytosine, adenine 등에는 작용하지 않고 외래의 DNA를 그 분자내의 phosphodiester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자른다.
5)제한효소의 장점
(1)재현성이 높다
:같은 자리만 잘라내므로 유전자 분석.
유전자 발현 기술의 기초가 된다.
(2)staggered cut(비스듬히 절단)하여 sticky ends(점착성 말단)을 만들어서 두 개의 다른 DNA분자들이 더욱 쉽게 붙도록 한다.
6)제한 효소가 자신을 자르지 않는 이유?
동일한 DNA부위에 대하여 methylase를 이용한 methyl화를 시킴으로써 자기 인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methylation된 DNA부위는 대부분의 재한효소로부터 보호된다.
→ DNA가 복제될 때 새로이 복제된 DNA가닥은 methyl화 되있지 않으나 templated DNA가닥은 methylation 되어서 대부분의 제한효소에 의해 DNA duplex가 분해되는 것을 막기에는 충분하게 된다.
7)제한효소에 의한 DNA의 절단법
(1)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의 절단 시 고려사항
-자를 DNA 내에 제한효소로 잘리는 부위가 몇 개가 되는지,
-Linear DNA의 끝부분을 자를 때는, 효소에 따라서 인식서열의 몇 개의 염기가 더
3)제한효소의 종류
제한효소는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것은 대부분 type 2이다.
(1) type1 restriction enzyme
DNA의 특정부위를 인식하기는 하지만 인식된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를 절단한다.
(2) type2 restriction enzyme
인식부위와 절단부위가 모두 특이성이 있어서 분자생물학 연구에 아주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3)type3 restriction enzyme
인식한 DNA부위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부위를 절단한다.
*제한효소와 각각의 인식부위
4)제한효소 mechanism?
제한효소는 그 효소가 유래하는 균주의 DNA나 자주형에 수식된 DNA(DNA분자내의 특정의 염기가 methylation된 DNA의 cytosine, adenine 등에는 작용하지 않고 외래의 DNA를 그 분자내의 phosphodiester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자른다.
5)제한효소의 장점
(1)재현성이 높다
:같은 자리만 잘라내므로 유전자 분석.
유전자 발현 기술의 기초가 된다.
(2)staggered cut(비스듬히 절단)하여 sticky ends(점착성 말단)을 만들어서 두 개의 다른 DNA분자들이 더욱 쉽게 붙도록 한다.
6)제한 효소가 자신을 자르지 않는 이유?
동일한 DNA부위에 대하여 methylase를 이용한 methyl화를 시킴으로써 자기 인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methylation된 DNA부위는 대부분의 재한효소로부터 보호된다.
→ DNA가 복제될 때 새로이 복제된 DNA가닥은 methyl화 되있지 않으나 templated DNA가닥은 methylation 되어서 대부분의 제한효소에 의해 DNA duplex가 분해되는 것을 막기에는 충분하게 된다.
7)제한효소에 의한 DNA의 절단법
(1)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의 절단 시 고려사항
-자를 DNA 내에 제한효소로 잘리는 부위가 몇 개가 되는지,
-Linear DNA의 끝부분을 자를 때는, 효소에 따라서 인식서열의 몇 개의 염기가 더
추천자료
동물 분자유전
유전자 공학
유전자 재조합
competent E-coli & Transformation
만성 신부전 환자의 간호 계획
gene cloning 개요
[식품미생물학 정리]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한 분자육종기술
유전공학 기술의 응용과 현황 및 유전공학의 미래
세포생물학- PCR-Southern hybridization
[세균학실험]2.세균의유전자재조합
세균, 고세균, 그리고 진핵생물계의 비교 분석
임분생 실험 - Molecular Genotyping of the ABO Blood Types
분자생물학 실험 Ligation & Transform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