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Result
2. Description
3. Discussion
4. Reference
2. Description
3. Discussion
4. Reference
본문내용
2개체로 되는 것으로, 2개의 생식세포 또는 개체가 합일해서 1개체가 되는 합체와 대비해서 쓰인다. 짚신벌레의 일종에서는 접합에 해당하는 2개체(접합개체)는 처음에 그 위구부가 서로 붙고 대핵은 부스러져 소실되나, 소핵은 2회 분열해서 4개가 된다. 4개의 소핵 중 3개는 소실되고 나머지 1개가 다시 분열해서 2개가 된다. 이 2개 중 1개는 그대로 자기 체내의 정지핵으로 남고, 또 1개는 이동핵이 되어 서로 상대의 개체 속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소핵의 교환이 끝날 때 정지핵과 이동핵이 합일해서 합핵을 만들고, 계속해서 두 개체는 분리한다. 접합에 의해 두 개체 사이에서 유전자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무성생식의 일종인 분열을 반복하고 있는 동안 점차 노쇠한 것이 접합에 의해 다시 분열이 왕성해지는 점에서, 회춘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생각된다. 그러나 접합 없이 8,400대나 분열에 의해 대를 거듭한 예도 있다. 접합하는 2개체는 보통 같은 모양 ·크기이나, 보르티셀라(Vorticella)와 같이 대소의 구별이 있는 것이나 접합 중에 개체가 융합하는 것도 있다. 식물에서도 균류 등의 생식세포가 합체하는 것을 접합이라고 하는 수도 있다. 또, 해캄은 2개가 평행하게 붙어서 대응한 세포에 각각 돌기가 생겨 그것이 이어져서 접합관이 되고, 그 속을 통해 한 쪽 세포내용물이 다른 쪽으로 옮아가는데 이런 현상도 접합이라고 한다.
4. Reference
미생물학 / WIIWLLEY 지음 / 김영민 김경민 외 1명 옮김 / 라이프사이언스 펴냄 / 307~308
실험 날짜
학번
이름
담당교수님
네이버 백과사전
4. Reference
미생물학 / WIIWLLEY 지음 / 김영민 김경민 외 1명 옮김 / 라이프사이언스 펴냄 / 307~308
실험 날짜
학번
이름
담당교수님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