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자아 동일시의 환상
1. 오인된 동일시와 단절 - 이상「오감도 시제2호」
2. 자아동일성의 환상과 불안 - 윤동주「자화상」
Ⅲ. 자아와의 분열
1. 자아와 내면의 갈등 - 이상「거울」,「오감도시제15호」
2. 자아분열에 따른 갈등 - 윤동주「또 다른 고향」
Ⅳ. 갈등의 극복과 해결책 모색
1. 갈등의 극복과 응시 - 이상「명경」
2. 갈등의 해결책 모색 - 윤동주 -「懺悔錄」
Ⅴ. 분열된 주체로서의 자아인식
1. 분열된 주체로서의 자아인식 - 이상「날개」
2. 자의식 과잉과 불완전한 주체의 자아인식 -「올드보이」
Ⅴ. 자아의 소외
1. 동일시한 주체에 의한 단절 및 소외 - 이상「날개」
2. 동일시한 주체의 죽음으로 인한 소외 -「올드보이」
Ⅵ. 결론
※ 참고문헌
Ⅱ. 자아 동일시의 환상
1. 오인된 동일시와 단절 - 이상「오감도 시제2호」
2. 자아동일성의 환상과 불안 - 윤동주「자화상」
Ⅲ. 자아와의 분열
1. 자아와 내면의 갈등 - 이상「거울」,「오감도시제15호」
2. 자아분열에 따른 갈등 - 윤동주「또 다른 고향」
Ⅳ. 갈등의 극복과 해결책 모색
1. 갈등의 극복과 응시 - 이상「명경」
2. 갈등의 해결책 모색 - 윤동주 -「懺悔錄」
Ⅴ. 분열된 주체로서의 자아인식
1. 분열된 주체로서의 자아인식 - 이상「날개」
2. 자의식 과잉과 불완전한 주체의 자아인식 -「올드보이」
Ⅴ. 자아의 소외
1. 동일시한 주체에 의한 단절 및 소외 - 이상「날개」
2. 동일시한 주체의 죽음으로 인한 소외 -「올드보이」
Ⅵ.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窓이다.그러나내가자살自殺하지아니하그가자살自殺할수없음을그는내게가르친다.거울속의나는불사조不死鳥에가깝다.
5 .
내왼편가슴심장心臟의위치位置를방탄금속防彈金屬으로엄폐掩蔽하고나는거울속의내왼편가슴을겨누어권총券銃을발사發射하였다.탄환彈丸은그의왼편가슴을관통貫通하였으나그의심장心臟은바른편에있다.
이 시에서 ‘나’는 꿈속에서도 부재중이며 ‘나의위조가등장하지않는거울’을 통해 자아는 ‘거울속의나’와 동일성을 확보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동일성 저항과 분리불안 사이에서 두려워하는 자아는 결국 자살이라는 극단적이고 공격적인 측면을 취한다. 그리고 ‘나’가 자살하지 않으면 ‘거울속의나’도 자살 할 수 없음을 인식한다. 왼편 심장을 겨누어 권총을 발사하는 것은 ‘거울속의나’를 죽일 수 없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의 심장은 오른편에 있기 때문이다. 결국 그의 자살은 실패로 돌아간다. 자아는 거울 속의 자아를 죽일 수도 만날수도 없다. 자아가 서로에게 벗아날 수 없는 구속성을 보여주면서도 두 자아가 대립할 수밖에 없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이상은 ‘거울속의나’를 이상적 자아로 생각하고 나르시즘을 통해 동일시를 이루려고 하나, ‘거울속의나’가 진정한 나의 모습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끊임없이 갈등하며 마침내는 죽음을 욕망하게 된다. 정원정. 앞의 논문. pp.16-18.
2. 자아분열에 따른 갈등 - 윤동주「또 다른 고향」
윤동주는 자아분열현상에서 오는 내면의 갈등을 표출한다. 다음 시 「또 다른 고향」은 양 극단을 오가며 갈등하는 자아분열과 이상향에 대한 의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고향에 돌아온 날 밤에
내 백골이 따라와 한 방에 누웠다.
어둔 방은 우주로 통하고
하늘에선가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온다.
어둠 속에 곱게 풍화 작용하는
백골을 들여다보며,
눈물짓는 것이 내가 우는 것이냐
백골이 우는 것이냐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이냐.
지조 높은 개는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어둠을 짖는 개는 나를 쫓는 것일 게다
가자가자
쫓기우는 사람처럼 가자
백골 몰래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으로 가자.
-「또 다른 고향」
이 시는 두 자아의 분열로 인한 불안과 절망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고향에 돌아온 날 밤 내 백골은 한방에 누웠다. 이 백골은 현재의 절망적인 자아의 죽음 의식을 표하고 있는 것이다. 어두운 방은 곧 우주와 통하고 그 하늘의 어디선가 소리와 바람이 불어온다. 이 소리와 바람은 어둠 속에서 곱게 풍화 작용을 하는 자아를 들여다보며 자아가 겪는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는 것이다. 자아는 백골을 들여다보며 내가 우는 것인지, 백골이 우는 것인지,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인지를 혼란스러워하며 분열증상을 나타낸다. 어두운 시대를 겪는 현실적 자아는 자아가 추구하는 이상적 자아와의 갈등을 드러낸다. 두 자아의 갈등은 두 자아를 화합시킨다기보다는 현실의 자아를 피해 이상적 자아는 또 다른 고향으로 가고자 한다. 두 자아의 대립양상은 더해진다.
자아가 가야할 곳은 결국 ‘또 다른 고향’이다. 이 곳은 현실적 자아와 그리고 이상적 자아가 지향하는 이상향이며 기독교 사상으로의 낙원일 수도 있다. 그런데 자아는 쫓기는 사람처럼 백골 몰래 가고자 한다. 이 시는 자아가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갈등을 겪지만 결국은 새로운 삶에 대한 지향과 새로운 현실 공간으로 가고자 하는 의지를 동시에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윤동주의 시는 자아성찰을 통해 대립되어 있는 자아의 존재에 대해 부끄러워하면서 이상적 자아를 추구함으로 대립을 극복하고자 한다. 정원정. 앞의 논문. p.30.
Ⅳ. 갈등의 극복과 해결책 모색
1. 갈등의 극복과 응시 - 이상「명경」
이상의 시는 상상계에서의 자아가 내면의 갈등을 하면서, 두 자아는 불안의 관계에 놓이며 그로 인한 대립과 공격성은 두드러진다. 이러한 대립으로 인해 분열된 자아는 만남을 통한 통합을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자아가 또 다른 자아와 화해를 시도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만적만적하는대로 추만적 만적하는대로 愁心(수심)이 平行(평행)하는
부러 그러는 것 같은 拒絶(거절)
右(우)편으로 옮겨앉은 心臟(심장)일 망정 고동이
없으란 법 없으니
설마 그러랴? 어디 觸診(촉진)...... 하고 손이 갈 때
指紋(지문)이 指紋(지문)을 가로 막으며
선뜩하는 遮斷(차단)뿐이다.
위의 시 「명경」에서 대립 양상은 첨예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자아는 대립을 극복해 보고자 시도를 한다. 만지려 만지려 해도 두 자아는 평행선에 있다. 그래도 설마하는 생각에 손을 가져갔을 때 거울 속 자아의 지문이 거울 밖 자아의 지문을 가로막는다. 결국 자아는 선뜩한 차단을 느낀다. 결국 만날 수 없고 차단됨을 다시 한번 인식하여 좌절한다. 이상이 거울단계에서 보여주는 단절의 양상은 두드러진다. 정원정. 앞의 논문. p.21.
즉 이 시에서는 거울 세계에로의 불가입성, 거울 속의 분리된 세계에로 들어감에 대한 차단이 그려져 있다. 문영석. 앞의 논문. p.22.
앞에서 든 「거울」과 마찬가지로, 이상의 ‘거울’에는 자아의 이중성에 대한 강박관념이 내재한다. 반사된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란 두 개의 내가 대립해 있어서 자기 동일성의 혼란에 빠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중적인 자아대결의 공포에 빠져있다. 이런 공포는 거울을 거울의 미로나 거울의 감방으로까지 의식하게 한다. 이렇듯 이상의 경우에는 거울이 철저하게 정신분열의 이미지가 되는 정신 병리학적 성격을 띤다. 말하자면 이상의 거울은 자기 분열형의 거울이다. 이경선. 앞의 논문. pp.56-57.
이처럼 이상은 자아소외를 인식하고 자아분열을 극복하기 위해 상상계에서 상징계로의 진입을 거부한다. 상징계 질서에 대한 강한 반발과 거부감을 공격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드러내는 것이다. 정원정. 위의 논문. p.24.
2. 갈등의 해결책 모색 - 윤동주 -「懺悔錄」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
내 얼굴에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滿 二十四年 一個月을
무슨 기쁨으로 바라 살아 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그
5 .
내왼편가슴심장心臟의위치位置를방탄금속防彈金屬으로엄폐掩蔽하고나는거울속의내왼편가슴을겨누어권총券銃을발사發射하였다.탄환彈丸은그의왼편가슴을관통貫通하였으나그의심장心臟은바른편에있다.
이 시에서 ‘나’는 꿈속에서도 부재중이며 ‘나의위조가등장하지않는거울’을 통해 자아는 ‘거울속의나’와 동일성을 확보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동일성 저항과 분리불안 사이에서 두려워하는 자아는 결국 자살이라는 극단적이고 공격적인 측면을 취한다. 그리고 ‘나’가 자살하지 않으면 ‘거울속의나’도 자살 할 수 없음을 인식한다. 왼편 심장을 겨누어 권총을 발사하는 것은 ‘거울속의나’를 죽일 수 없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의 심장은 오른편에 있기 때문이다. 결국 그의 자살은 실패로 돌아간다. 자아는 거울 속의 자아를 죽일 수도 만날수도 없다. 자아가 서로에게 벗아날 수 없는 구속성을 보여주면서도 두 자아가 대립할 수밖에 없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이상은 ‘거울속의나’를 이상적 자아로 생각하고 나르시즘을 통해 동일시를 이루려고 하나, ‘거울속의나’가 진정한 나의 모습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끊임없이 갈등하며 마침내는 죽음을 욕망하게 된다. 정원정. 앞의 논문. pp.16-18.
2. 자아분열에 따른 갈등 - 윤동주「또 다른 고향」
윤동주는 자아분열현상에서 오는 내면의 갈등을 표출한다. 다음 시 「또 다른 고향」은 양 극단을 오가며 갈등하는 자아분열과 이상향에 대한 의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고향에 돌아온 날 밤에
내 백골이 따라와 한 방에 누웠다.
어둔 방은 우주로 통하고
하늘에선가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온다.
어둠 속에 곱게 풍화 작용하는
백골을 들여다보며,
눈물짓는 것이 내가 우는 것이냐
백골이 우는 것이냐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이냐.
지조 높은 개는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어둠을 짖는 개는 나를 쫓는 것일 게다
가자가자
쫓기우는 사람처럼 가자
백골 몰래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으로 가자.
-「또 다른 고향」
이 시는 두 자아의 분열로 인한 불안과 절망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고향에 돌아온 날 밤 내 백골은 한방에 누웠다. 이 백골은 현재의 절망적인 자아의 죽음 의식을 표하고 있는 것이다. 어두운 방은 곧 우주와 통하고 그 하늘의 어디선가 소리와 바람이 불어온다. 이 소리와 바람은 어둠 속에서 곱게 풍화 작용을 하는 자아를 들여다보며 자아가 겪는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는 것이다. 자아는 백골을 들여다보며 내가 우는 것인지, 백골이 우는 것인지,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인지를 혼란스러워하며 분열증상을 나타낸다. 어두운 시대를 겪는 현실적 자아는 자아가 추구하는 이상적 자아와의 갈등을 드러낸다. 두 자아의 갈등은 두 자아를 화합시킨다기보다는 현실의 자아를 피해 이상적 자아는 또 다른 고향으로 가고자 한다. 두 자아의 대립양상은 더해진다.
자아가 가야할 곳은 결국 ‘또 다른 고향’이다. 이 곳은 현실적 자아와 그리고 이상적 자아가 지향하는 이상향이며 기독교 사상으로의 낙원일 수도 있다. 그런데 자아는 쫓기는 사람처럼 백골 몰래 가고자 한다. 이 시는 자아가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갈등을 겪지만 결국은 새로운 삶에 대한 지향과 새로운 현실 공간으로 가고자 하는 의지를 동시에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윤동주의 시는 자아성찰을 통해 대립되어 있는 자아의 존재에 대해 부끄러워하면서 이상적 자아를 추구함으로 대립을 극복하고자 한다. 정원정. 앞의 논문. p.30.
Ⅳ. 갈등의 극복과 해결책 모색
1. 갈등의 극복과 응시 - 이상「명경」
이상의 시는 상상계에서의 자아가 내면의 갈등을 하면서, 두 자아는 불안의 관계에 놓이며 그로 인한 대립과 공격성은 두드러진다. 이러한 대립으로 인해 분열된 자아는 만남을 통한 통합을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자아가 또 다른 자아와 화해를 시도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만적만적하는대로 추만적 만적하는대로 愁心(수심)이 平行(평행)하는
부러 그러는 것 같은 拒絶(거절)
右(우)편으로 옮겨앉은 心臟(심장)일 망정 고동이
없으란 법 없으니
설마 그러랴? 어디 觸診(촉진)...... 하고 손이 갈 때
指紋(지문)이 指紋(지문)을 가로 막으며
선뜩하는 遮斷(차단)뿐이다.
위의 시 「명경」에서 대립 양상은 첨예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자아는 대립을 극복해 보고자 시도를 한다. 만지려 만지려 해도 두 자아는 평행선에 있다. 그래도 설마하는 생각에 손을 가져갔을 때 거울 속 자아의 지문이 거울 밖 자아의 지문을 가로막는다. 결국 자아는 선뜩한 차단을 느낀다. 결국 만날 수 없고 차단됨을 다시 한번 인식하여 좌절한다. 이상이 거울단계에서 보여주는 단절의 양상은 두드러진다. 정원정. 앞의 논문. p.21.
즉 이 시에서는 거울 세계에로의 불가입성, 거울 속의 분리된 세계에로 들어감에 대한 차단이 그려져 있다. 문영석. 앞의 논문. p.22.
앞에서 든 「거울」과 마찬가지로, 이상의 ‘거울’에는 자아의 이중성에 대한 강박관념이 내재한다. 반사된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란 두 개의 내가 대립해 있어서 자기 동일성의 혼란에 빠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중적인 자아대결의 공포에 빠져있다. 이런 공포는 거울을 거울의 미로나 거울의 감방으로까지 의식하게 한다. 이렇듯 이상의 경우에는 거울이 철저하게 정신분열의 이미지가 되는 정신 병리학적 성격을 띤다. 말하자면 이상의 거울은 자기 분열형의 거울이다. 이경선. 앞의 논문. pp.56-57.
이처럼 이상은 자아소외를 인식하고 자아분열을 극복하기 위해 상상계에서 상징계로의 진입을 거부한다. 상징계 질서에 대한 강한 반발과 거부감을 공격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드러내는 것이다. 정원정. 위의 논문. p.24.
2. 갈등의 해결책 모색 - 윤동주 -「懺悔錄」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
내 얼굴에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滿 二十四年 一個月을
무슨 기쁨으로 바라 살아 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그
추천자료
한부모 가정 아동의 건강한 자아성장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A+프로포절]청소년의 자아증진을 위한 자아증진 프로그램(I want, You want)
[유아사회교육 B형]자아개념과 성역할 발달에 대해 설명하시오(유아의 사회적 발달 중 자아 ...
에릭슨은 노년기에 이루어야 할 핵심적 발달과제로 자아통합을 지적했다. 자아통합욕구에 근...
개인행동의 학습(자아, 가치관과 윤리의식, 성격, 자아의 개념과 창의적 성격 및 전뇌이론)
[청소년기][청소년][자아발달][사회적 특성][2차성징]청소년기(청소년)의 자아발달, 청소년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레포트)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가지 차원을 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과제) 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에 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과제) 청소년기 발달과제의 주요개념인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자아정...
가족상담및치료- 주제 :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중 하나는 자아 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
[청소년복지]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이해 및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
청소년심리 공통) 1.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에 대하여 설명하고, 청소년들...
1 청소년기 중요한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 설명, 청소년들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하여 가정이...
[유아발달]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논하시오 (자아존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