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기압을 사용하고, 후자에는 유압을 사용한다. 피스턴의 밸브운동에 따라 펌프에서 가압되어온 기름은 한쪽 실린더중에 들어가고, 동시에 타실의 기름은 기름탱크로 들어가며 피스턴은 이동한다. 이 때 피스턴의 1단에 고정된 공구대가 운동한다.
6. 자동선반(automatic lathe)
(1) 자동선반의 분류
자동선반은 용도에 따라 센터 작업용(center work type), 척 작업용(chuck work type), 바아 작업용(bar work type)등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자동선반이라고 하는 것은 넓으 의미를 갖고 있어, 그 중에는 반자동선반(semi-automatic lathe)도 포함된다. 반자동식이라고 하는 것은 가공물을 작업자가 1개씩 고정, 또는 제거하는 것 외에 전체 동작은 기계 자체가 하는 것을 말하고, 자동선반 또는 전 자동선반(full automatic lathe)이라고 하는 것은 긴 봉재를 소재로 사용하든가, 또는 매거지인(magarzine)에 유압 장치를 사용하여 가공물의 고정 또는 제거 작용을 전부 기계로 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선반의 분류에는 주축의 수에 따라 단축식(single spindle type)과 다축식(multi spindle type)으로 구분하고, 공구대의 형식에 따라 보통 공구대(ordindle type tool post)와 터어릿식 공구대(turret type tool post)로 분류한다. 기타 실용적인 작용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도 있다.
(2) 센터작업용 자동선반
센터작업용 자동선반은 다인 공구를 설치하고, 긴 가공물을 짧은 행정으로 가공하는 기계로서, 성질상 다인 반자동 선반이 많다. 왕복대는 베드 위에 있고, 전후에 독립된 2개의 왕복대로 구성되어 있다. 앞에 있는 왕복대는 길이 방향, 즉 주축에 평행된 절삭에 사용되고, 뒤에 있는 왕복대는 횡단절삭, 즉 주축에 직각된 방향의 절삭에 사용된다. 또한 주축 상부에 보조 왕복대를 비치한 것도 있다.
(3) 척 작업용 자동선반(automatic chuking machine)
1) 척 작업용 단축 자동선반(single-spindle automatic chucking machine)
이것에 속하는 것에는 자동화된 터어릿선반이 많다. 가공물을 고정하고, 기계를 운전하면 왕복대 위에 있는 터어릿이 순차적으로 선회하여 예정된 작업을 한다. 끝난 후에는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작업 도중에 횡단피이드(cross feed)전요의 보조 왕복대가 적당한 시기에 기동하여, 터어릿공구에서는 가공이 곤란한 부분을 가공한다. 이와 같이 전체 가공 공정 중에는 여러 가지 조건이 개재하므로, 이것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터어릿을 선회시킬 때마다 회전 및 피이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어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터어릿에는 4각, 5각 6각 또는 8각 등이 사용된다.
2) 척 작업용 다축 자동선반(multi-spindle automatic chuking chucking machine)
보통 4~8개의 주축(spindle)과 이보다 1개 적은 공구대를 갖고 있다. 다축 자동선반(multi-spindle automatic lathe)의 구조는 단축 자동선반과는 전혀 다르다. 주축은 선회하는 캐리어에 장치되어 있다. 캐리어가 1구분씩 진행됨에 따라 가공물은 대응된 공구대에서 순차적으로 다른 작업을 한다. 주축의 배열에는 수평식과 수직식이 있다.
6. 선반용 부속품
(1) 센 터 (center)
주축과 심압대의 스핀들(spindle)에 고정하여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속품으로서, 센터가 가공하지 않을 때 이를 정지센터(dead center : 심압대측 센터) 가공할 때는 라이브 센터(live center : 주축대측 센터)라 하며 센터의 자루부(center shank)는 Morse taper로 되어 있고, 끝의 센터 각은 일반적으로 60°이며 큰 가공물에 대해서는 75°또는 90°이다. 가공물이 고속회전을 하거나 큰 경우에는 센터 끝은 초경합금을 붙여 만든다.
(2) 돌리개 (dog or carrier)
공작물의 양 센터에 걸고 공작물을 주축과 함께 회전시키는 부속품이다.
(3) 면 판 (face plate)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것, 원형이 아닌 불규칙한 형상의 것 등의 boring 가공과 내면 다듬즐에 많이 이용된다.
(4) 심 봉 (mandrel)
구멍과 외경을 동심으로, 또 단면을 구멍에 직각으로 완성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은 mandrel에 넣어서 다듬질 가공을 행한다. 물론 mandrel의 cinter 구명은 크고 훌륭하게 다듬해 놓는다. 즉, 기어(gear) 소재, 벨트풀리(belt pulley)의 소재가공에 사용한다.
(5) 척 (chuck)
공작기계의 주축단에 고정하고 수개의 조오(jaw)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붙잡는 장치이다.
a. 단독식 척 (independent chuck) : 4개의 jaw로 되어 있으며, 각 jaw가 각각 단독으로 움직여 불규칙한 공작물의 고정물에 적합하다.
b. 만능식 척 (universal chuck) : 3개의 jaw가 동시에 움직이며, 원형 단면봉 또는 육각 단면봉등의 물림에 적합한 scroll이 마멸되면 정밀도가 떨어진다.
c. 마그네틱 척 (magnetic chuck) : chuck 내부에 전자석이 있고 이에 직류를 통하면 척에 자성이 생겨 얇은 공작물을 흡착시킨다.
d. 콜릿 척 (collet chuck) : 공작물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 사용한다.
e. 압축공기 척 (compressed air chuck) : 압축 공기에 의하여 jaw를 움직이고 공작물에 대한 고정력은 압축공기에 의하여 조절한다. 이것의 특징은 운전 중 작동이 가능하며 공작물에 고정 자국을 남기지 않는다.
f. 드릴 척 (drill chuck) : 선반작업 중 구멍작을 할 때 드릴 척으로 드릴을 고정하고 드릴척의 자루를 심압대의 스핀들에 끼운다.
(6) 방진구 (work rest)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긴 공작물을 다듬질할 때는 이 장치를 사용하며, 공작물의 자체중량과 원심력으로 인한 휨, 그리고 진동을 방지한다. 정확한 다듬질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고정식과 이동식이 있다.
6. 자동선반(automatic lathe)
(1) 자동선반의 분류
자동선반은 용도에 따라 센터 작업용(center work type), 척 작업용(chuck work type), 바아 작업용(bar work type)등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자동선반이라고 하는 것은 넓으 의미를 갖고 있어, 그 중에는 반자동선반(semi-automatic lathe)도 포함된다. 반자동식이라고 하는 것은 가공물을 작업자가 1개씩 고정, 또는 제거하는 것 외에 전체 동작은 기계 자체가 하는 것을 말하고, 자동선반 또는 전 자동선반(full automatic lathe)이라고 하는 것은 긴 봉재를 소재로 사용하든가, 또는 매거지인(magarzine)에 유압 장치를 사용하여 가공물의 고정 또는 제거 작용을 전부 기계로 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선반의 분류에는 주축의 수에 따라 단축식(single spindle type)과 다축식(multi spindle type)으로 구분하고, 공구대의 형식에 따라 보통 공구대(ordindle type tool post)와 터어릿식 공구대(turret type tool post)로 분류한다. 기타 실용적인 작용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도 있다.
(2) 센터작업용 자동선반
센터작업용 자동선반은 다인 공구를 설치하고, 긴 가공물을 짧은 행정으로 가공하는 기계로서, 성질상 다인 반자동 선반이 많다. 왕복대는 베드 위에 있고, 전후에 독립된 2개의 왕복대로 구성되어 있다. 앞에 있는 왕복대는 길이 방향, 즉 주축에 평행된 절삭에 사용되고, 뒤에 있는 왕복대는 횡단절삭, 즉 주축에 직각된 방향의 절삭에 사용된다. 또한 주축 상부에 보조 왕복대를 비치한 것도 있다.
(3) 척 작업용 자동선반(automatic chuking machine)
1) 척 작업용 단축 자동선반(single-spindle automatic chucking machine)
이것에 속하는 것에는 자동화된 터어릿선반이 많다. 가공물을 고정하고, 기계를 운전하면 왕복대 위에 있는 터어릿이 순차적으로 선회하여 예정된 작업을 한다. 끝난 후에는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작업 도중에 횡단피이드(cross feed)전요의 보조 왕복대가 적당한 시기에 기동하여, 터어릿공구에서는 가공이 곤란한 부분을 가공한다. 이와 같이 전체 가공 공정 중에는 여러 가지 조건이 개재하므로, 이것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터어릿을 선회시킬 때마다 회전 및 피이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어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터어릿에는 4각, 5각 6각 또는 8각 등이 사용된다.
2) 척 작업용 다축 자동선반(multi-spindle automatic chuking chucking machine)
보통 4~8개의 주축(spindle)과 이보다 1개 적은 공구대를 갖고 있다. 다축 자동선반(multi-spindle automatic lathe)의 구조는 단축 자동선반과는 전혀 다르다. 주축은 선회하는 캐리어에 장치되어 있다. 캐리어가 1구분씩 진행됨에 따라 가공물은 대응된 공구대에서 순차적으로 다른 작업을 한다. 주축의 배열에는 수평식과 수직식이 있다.
6. 선반용 부속품
(1) 센 터 (center)
주축과 심압대의 스핀들(spindle)에 고정하여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속품으로서, 센터가 가공하지 않을 때 이를 정지센터(dead center : 심압대측 센터) 가공할 때는 라이브 센터(live center : 주축대측 센터)라 하며 센터의 자루부(center shank)는 Morse taper로 되어 있고, 끝의 센터 각은 일반적으로 60°이며 큰 가공물에 대해서는 75°또는 90°이다. 가공물이 고속회전을 하거나 큰 경우에는 센터 끝은 초경합금을 붙여 만든다.
(2) 돌리개 (dog or carrier)
공작물의 양 센터에 걸고 공작물을 주축과 함께 회전시키는 부속품이다.
(3) 면 판 (face plate)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것, 원형이 아닌 불규칙한 형상의 것 등의 boring 가공과 내면 다듬즐에 많이 이용된다.
(4) 심 봉 (mandrel)
구멍과 외경을 동심으로, 또 단면을 구멍에 직각으로 완성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은 mandrel에 넣어서 다듬질 가공을 행한다. 물론 mandrel의 cinter 구명은 크고 훌륭하게 다듬해 놓는다. 즉, 기어(gear) 소재, 벨트풀리(belt pulley)의 소재가공에 사용한다.
(5) 척 (chuck)
공작기계의 주축단에 고정하고 수개의 조오(jaw)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붙잡는 장치이다.
a. 단독식 척 (independent chuck) : 4개의 jaw로 되어 있으며, 각 jaw가 각각 단독으로 움직여 불규칙한 공작물의 고정물에 적합하다.
b. 만능식 척 (universal chuck) : 3개의 jaw가 동시에 움직이며, 원형 단면봉 또는 육각 단면봉등의 물림에 적합한 scroll이 마멸되면 정밀도가 떨어진다.
c. 마그네틱 척 (magnetic chuck) : chuck 내부에 전자석이 있고 이에 직류를 통하면 척에 자성이 생겨 얇은 공작물을 흡착시킨다.
d. 콜릿 척 (collet chuck) : 공작물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 사용한다.
e. 압축공기 척 (compressed air chuck) : 압축 공기에 의하여 jaw를 움직이고 공작물에 대한 고정력은 압축공기에 의하여 조절한다. 이것의 특징은 운전 중 작동이 가능하며 공작물에 고정 자국을 남기지 않는다.
f. 드릴 척 (drill chuck) : 선반작업 중 구멍작을 할 때 드릴 척으로 드릴을 고정하고 드릴척의 자루를 심압대의 스핀들에 끼운다.
(6) 방진구 (work rest)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긴 공작물을 다듬질할 때는 이 장치를 사용하며, 공작물의 자체중량과 원심력으로 인한 휨, 그리고 진동을 방지한다. 정확한 다듬질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고정식과 이동식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