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1. 서론
2. 본론
1) Don't cry Don't cry Don't cry - 마돈나의 일대기
2) 팝계의 트랜드 세터 마돈나
3) 포스트 모던 신화 마돈나
①마돈나의 이미지구축
ⓐ보이토이(boy toy)
ⓑ샤머니즘적 트릭스터(trickster)
ⓒ블론드 엠비션(Blonde Ambition)
②포스트페미니즘(Post-Femininism)
ⓐ처녀와 요부
ⓑ가면을 통한 포스트페미니즘
③시각적 활동의 포스트모던적 양상
ⓐ뮤직비디오
ⓑ사진
ⓒ지아니 베르사체의 모델
ⓓ누드집 “sex"
4) 가부장제의 억압적 성 분류를 위반하는 마돈나
①처녀(천사)와 매춘부(악마)
②패러디
③노래가사(말장난)
④게이문화
5) 마케팅의 귀재 마돈나
①변신에 능한 관능적소녀의 마케팅
②브라운 교수가 본 마돈나의 성공요인
③American Life 의 마케팅 전략
④브랜드로 보는 마돈나 - 브리트니 키스의 의미
6) 마돈나의 언론 플레이
7) 투어분석
①포스터 분석
②음악 분석
ⓐVogue/ⓑNobody knows me/ⓒFrozen/ⓓAmerican Life/ⓔExpress Yourself/ⓕBurning
up/ⓖMaterial Girl/ⓗHollywood/ⓘHanky Panky/ⓙDeeper and deeper/ⓚDie another day/
ⓛBedtime story/ⓜNothing Fails/ⓝDon't Tell Me/ⓞLike a prayer/ⓟMother And Father/
ⓠAmazing/ ⓡInto the groove/ⓢPapa Don't Preach/ⓣCrazy for You/ⓤMusic/ⓥHoliday
③의상 분석
ⓐThe virgin Show/ ⓑWho's that girl World Tour/ ⓒBlond Ambition World Tour
ⓓThe Girlie Show/ ⓔDrowned World Tour/ ⓕRe-invention World Tour
3. 결론
2. 본론
1) Don't cry Don't cry Don't cry - 마돈나의 일대기
2) 팝계의 트랜드 세터 마돈나
3) 포스트 모던 신화 마돈나
①마돈나의 이미지구축
ⓐ보이토이(boy toy)
ⓑ샤머니즘적 트릭스터(trickster)
ⓒ블론드 엠비션(Blonde Ambition)
②포스트페미니즘(Post-Femininism)
ⓐ처녀와 요부
ⓑ가면을 통한 포스트페미니즘
③시각적 활동의 포스트모던적 양상
ⓐ뮤직비디오
ⓑ사진
ⓒ지아니 베르사체의 모델
ⓓ누드집 “sex"
4) 가부장제의 억압적 성 분류를 위반하는 마돈나
①처녀(천사)와 매춘부(악마)
②패러디
③노래가사(말장난)
④게이문화
5) 마케팅의 귀재 마돈나
①변신에 능한 관능적소녀의 마케팅
②브라운 교수가 본 마돈나의 성공요인
③American Life 의 마케팅 전략
④브랜드로 보는 마돈나 - 브리트니 키스의 의미
6) 마돈나의 언론 플레이
7) 투어분석
①포스터 분석
②음악 분석
ⓐVogue/ⓑNobody knows me/ⓒFrozen/ⓓAmerican Life/ⓔExpress Yourself/ⓕBurning
up/ⓖMaterial Girl/ⓗHollywood/ⓘHanky Panky/ⓙDeeper and deeper/ⓚDie another day/
ⓛBedtime story/ⓜNothing Fails/ⓝDon't Tell Me/ⓞLike a prayer/ⓟMother And Father/
ⓠAmazing/ ⓡInto the groove/ⓢPapa Don't Preach/ⓣCrazy for You/ⓤMusic/ⓥHoliday
③의상 분석
ⓐThe virgin Show/ ⓑWho's that girl World Tour/ ⓒBlond Ambition World Tour
ⓓThe Girlie Show/ ⓔDrowned World Tour/ ⓕRe-invention World Tour
3. 결론
본문내용
1991, p7
③노래가사(말장난)
마돈나는 노래가사에서 말장난(puns)을 천사와 악마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말장난은 단어 하나가 두 가지 담론으로 사용될 때 발생한다.
「Material girl」의 경우에 이는 경제적인 것이기도 하고 성적인 것이기도 하다. Material이라는 단어는 물질적 부를 좋아한다는 의미의 ‘속물적인’과 육체적인 성적 매력을 지칭하는 ‘관능적인’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포함한다. 하나의 기표는 동일하지만 담론에 따라서 다른 기의를 지니게 된다.
가장 분명한 말장난은 “나에게 적당한 신뢰를 보여 달라” (Give me proper credit: 나에게 적당한 신용카드를 달라 라는 의미 포함) “나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라(Raise my increst : 나를 성적으로 자극하라 라는 의미 포함)” 경험은 나를 부유하게 만든다( Experience has made me rich : 성적 경험의 풍부 라는 의미 포함)에서 보여 진다.
조금 강도가 덜한 말장난은 “냉정하고 딱딱한 현금을 가진 남자들(The boy with the cold hard cash : 차갑고 딱딱한 성기 의 의미)” 혹은 “푼돈을 저축한 남성들은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Only boys that save their pennies make my rainy day: 우울하게 만든다는 페니스가 성적인 만족감을 주기 못한다의 의미) 등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말장난은 경제적인 성공을 성적인 성공과 동일시함으로써 전형적인 이데올로기적 작용을 수행하고 있고 지배적인 자본주의에서의 대중 문화의 일반적인 전략을 수행한다. 그러나 말장난은 능동적인 팬들을 요구하며 이러한 말장난은 이질적인 담론의 결합이 불러 일으키는 의미들을 완전히 통제할 수는 없다. 이 말장난들은 여성들의 경제적성적 종속을 보여주고 이 각각이 전형적으로 다른 것을 자연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방식을 드러내며 그 결과 이러한 방식을 거부할 수 있거나 적어도 이에 저항할 수 있게 한다.
즉, 말장난들은 여성들의 이중적인 종속을 자연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성적경제적 독립을 성취할 수 있는 여성들의 능력을 역설적으로 웅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육체만이 가부장제가 여성이 되기를 허용하는 모든 것이라면, 적어도 여성은 남성들의 관점이 아닌 ‘자신의’관점에서 육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말장난은 항상 최종적인 이데올로기적 결말을 거부한다. 서로 다른 담론의 융합에 의해서 촉진되는 잠재적인 의미들은 지배 이데올로기에 의새 제시되는 것보다 항상 위대하다. 그래서 마돈나가 자신의 상품들에 붙이고, 미디어가 마돈나에게 적용한 이름인 ‘보이 토이’(Boy Toy : 소년들의 장난감)는 「플레이보이」지가 그녀를 ‘세계 제일가는 보이 토이’ 또는 ‘완벽한 보이 토이’라고 부를 때처럼 읽혀 질 수 있다. 이러한 해독에서 마돈나는 남자들의 장난감이지만 이 말장난은 그녀가 「Material girl」에서 남자들을 데리고 놀던 것처럼 남자들이 그녀의 장난감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④ 게이문화
마돈나는 또한 게이 문화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마돈나; 시각적 환영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May, 1991
게이문화에서 마돈나는 다양성을 갈망하고 있는 세대를 대변하는 평등주의자로 불린다. 가부장제의 억압적인 성 분류를 위반하는 마돈나의 다양성은 호소력있고 급진적인 것이다. 그녀의 이미지에 대한 통제는 이성애 중심적 사회에서 생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신을 위장해야 하는 일부 게이들에 의해 경험되는 어떤 필요성에 소구했다는 분명한 증거는 없다. 오히려, 그녀의 소구력은 고정된 성을 거부하는 그녀의 정직성과 힘에 있다. 「Justify My Love」라는 뮤직비디오가 ‘신뢰 가능하고 정직한 우리의 파트너들’에 관한 것이라는 그녀의 강조는, 전통적인 성이 종종 부정직하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범주로 자신의 성 관념을 맞추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그 범주화에 내재된 통제데 대한 굴복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함축한다. Madonna, Speaking on Nightline, NBC, 3 December,1990
그것은 성의 향연이다. 그것은 성별 구분 없이 상대방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두 사람에 관한 것이고 거기에는 잘못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라며 말하며 자신의 뮤직 비디오를 정당화 한다. 마돈나는 그녀의 작품에서 그녀 자신과 여성의 품위를 떨어뜨린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몇 가지 놓치고 있다. 고 자신 있게 말한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한 책임자이며 관리자 이다. 나는 나 스스로를 이러한 상황에 놓는다. 내가 이런 일을 하도록 남자가 시키는 것은 아니다. 나는 내가 관리한다. Madonna, Speaking on Nightline, NBC, 3 December,1990
성관계에서 이러한 권력과 통제의 의미는 약간은 다르지만 젊은 두 여성에게 그리고 게이와 레즈비언 공동체에 동등하게 소구된다.
5)마케팅의 귀재 마돈나
마돈나에 대해 언급할 때는 마돈나의 성적 이미지에 대해 ‘섹시하다’, ‘관능적이다’등의 형용사가 사용된다. 하지만 그녀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재능은 마케팅 노하우일 것이다.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일관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전통적 마케팅 사고와는 반대로, 마돈나는 외모를 계속적으로 변화시키며 이미지 변신을 추구했다. 즉, 헤어스타일, 머리 빛깔, 의상, 음악적 테마 등을 끊임없이 변화시킴으로써 가수뿐 만 아니라 만능 엔터테인먼트로서의 재능을 유감없이 대중에게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대중들의 시선을 마돈나에게서 떨어질 수 없게 만들었다.
앞서 내용들에서 보다시피 20여 년 동안 대중문화를 선도해 나가고 있는 것은 그녀에게 마케팅 능력이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증거이다.
①변신에 능한 관능적소녀의 마케팅
이미지 리더로부터 인정받아라
데뷔 초기 마돈나의 이미지 리더(흑인 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고 깨달았다.
마돈나는 진지하게 흑인 음악을 다룬 최초의 팝가수 중 한사람입니다. 그녀가 초기에 흑인사회의 히트레코드 기록을
③노래가사(말장난)
마돈나는 노래가사에서 말장난(puns)을 천사와 악마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말장난은 단어 하나가 두 가지 담론으로 사용될 때 발생한다.
「Material girl」의 경우에 이는 경제적인 것이기도 하고 성적인 것이기도 하다. Material이라는 단어는 물질적 부를 좋아한다는 의미의 ‘속물적인’과 육체적인 성적 매력을 지칭하는 ‘관능적인’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포함한다. 하나의 기표는 동일하지만 담론에 따라서 다른 기의를 지니게 된다.
가장 분명한 말장난은 “나에게 적당한 신뢰를 보여 달라” (Give me proper credit: 나에게 적당한 신용카드를 달라 라는 의미 포함) “나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라(Raise my increst : 나를 성적으로 자극하라 라는 의미 포함)” 경험은 나를 부유하게 만든다( Experience has made me rich : 성적 경험의 풍부 라는 의미 포함)에서 보여 진다.
조금 강도가 덜한 말장난은 “냉정하고 딱딱한 현금을 가진 남자들(The boy with the cold hard cash : 차갑고 딱딱한 성기 의 의미)” 혹은 “푼돈을 저축한 남성들은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Only boys that save their pennies make my rainy day: 우울하게 만든다는 페니스가 성적인 만족감을 주기 못한다의 의미) 등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말장난은 경제적인 성공을 성적인 성공과 동일시함으로써 전형적인 이데올로기적 작용을 수행하고 있고 지배적인 자본주의에서의 대중 문화의 일반적인 전략을 수행한다. 그러나 말장난은 능동적인 팬들을 요구하며 이러한 말장난은 이질적인 담론의 결합이 불러 일으키는 의미들을 완전히 통제할 수는 없다. 이 말장난들은 여성들의 경제적성적 종속을 보여주고 이 각각이 전형적으로 다른 것을 자연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방식을 드러내며 그 결과 이러한 방식을 거부할 수 있거나 적어도 이에 저항할 수 있게 한다.
즉, 말장난들은 여성들의 이중적인 종속을 자연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성적경제적 독립을 성취할 수 있는 여성들의 능력을 역설적으로 웅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육체만이 가부장제가 여성이 되기를 허용하는 모든 것이라면, 적어도 여성은 남성들의 관점이 아닌 ‘자신의’관점에서 육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말장난은 항상 최종적인 이데올로기적 결말을 거부한다. 서로 다른 담론의 융합에 의해서 촉진되는 잠재적인 의미들은 지배 이데올로기에 의새 제시되는 것보다 항상 위대하다. 그래서 마돈나가 자신의 상품들에 붙이고, 미디어가 마돈나에게 적용한 이름인 ‘보이 토이’(Boy Toy : 소년들의 장난감)는 「플레이보이」지가 그녀를 ‘세계 제일가는 보이 토이’ 또는 ‘완벽한 보이 토이’라고 부를 때처럼 읽혀 질 수 있다. 이러한 해독에서 마돈나는 남자들의 장난감이지만 이 말장난은 그녀가 「Material girl」에서 남자들을 데리고 놀던 것처럼 남자들이 그녀의 장난감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④ 게이문화
마돈나는 또한 게이 문화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마돈나; 시각적 환영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May, 1991
게이문화에서 마돈나는 다양성을 갈망하고 있는 세대를 대변하는 평등주의자로 불린다. 가부장제의 억압적인 성 분류를 위반하는 마돈나의 다양성은 호소력있고 급진적인 것이다. 그녀의 이미지에 대한 통제는 이성애 중심적 사회에서 생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신을 위장해야 하는 일부 게이들에 의해 경험되는 어떤 필요성에 소구했다는 분명한 증거는 없다. 오히려, 그녀의 소구력은 고정된 성을 거부하는 그녀의 정직성과 힘에 있다. 「Justify My Love」라는 뮤직비디오가 ‘신뢰 가능하고 정직한 우리의 파트너들’에 관한 것이라는 그녀의 강조는, 전통적인 성이 종종 부정직하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범주로 자신의 성 관념을 맞추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그 범주화에 내재된 통제데 대한 굴복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함축한다. Madonna, Speaking on Nightline, NBC, 3 December,1990
그것은 성의 향연이다. 그것은 성별 구분 없이 상대방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두 사람에 관한 것이고 거기에는 잘못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라며 말하며 자신의 뮤직 비디오를 정당화 한다. 마돈나는 그녀의 작품에서 그녀 자신과 여성의 품위를 떨어뜨린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몇 가지 놓치고 있다. 고 자신 있게 말한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한 책임자이며 관리자 이다. 나는 나 스스로를 이러한 상황에 놓는다. 내가 이런 일을 하도록 남자가 시키는 것은 아니다. 나는 내가 관리한다. Madonna, Speaking on Nightline, NBC, 3 December,1990
성관계에서 이러한 권력과 통제의 의미는 약간은 다르지만 젊은 두 여성에게 그리고 게이와 레즈비언 공동체에 동등하게 소구된다.
5)마케팅의 귀재 마돈나
마돈나에 대해 언급할 때는 마돈나의 성적 이미지에 대해 ‘섹시하다’, ‘관능적이다’등의 형용사가 사용된다. 하지만 그녀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재능은 마케팅 노하우일 것이다.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일관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전통적 마케팅 사고와는 반대로, 마돈나는 외모를 계속적으로 변화시키며 이미지 변신을 추구했다. 즉, 헤어스타일, 머리 빛깔, 의상, 음악적 테마 등을 끊임없이 변화시킴으로써 가수뿐 만 아니라 만능 엔터테인먼트로서의 재능을 유감없이 대중에게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대중들의 시선을 마돈나에게서 떨어질 수 없게 만들었다.
앞서 내용들에서 보다시피 20여 년 동안 대중문화를 선도해 나가고 있는 것은 그녀에게 마케팅 능력이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증거이다.
①변신에 능한 관능적소녀의 마케팅
이미지 리더로부터 인정받아라
데뷔 초기 마돈나의 이미지 리더(흑인 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고 깨달았다.
마돈나는 진지하게 흑인 음악을 다룬 최초의 팝가수 중 한사람입니다. 그녀가 초기에 흑인사회의 히트레코드 기록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