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크의 환경론과 루소의 자연주의적 교육관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크의 환경론과 루소의 자연주의적 교육관 비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크의 환경론
아동의 정신이 원래 백지상태로서, 아동의 정신이 무엇이 될는지는 거의 전적으로 학습과 경험의 결과라고 본다.
철학-경험주의/ 심리학-학습이론의 시조
*발달에 관하 로크의 견해
\'..인간의 마음은 어떠한 관념도 가지고 있지 않는 즉, 아무런 특성이 없는 백지와 같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이 어떻게 채워지는가?.......그것이 어디서 모든 이성과 지식을 얻게 되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해 나는 경험이라고 한마디로 답할 수 있다. 경험 속에서 우리의 모든 지식은 다져지며, 경험으로부터 우리의 지식은 궁극적으로 그 자신을 이끌어낸다.\'
환경이 정신을 형성한다고 보며 특히 유아기 때 정신은 유연성이 많으므로 학습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정신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일단 이렇게 만들어 놓으면 정신의 기본적인 본성은 남은 일생동안 고정된다.
--------------
[논술] 인간 불평등 | 국정원 논술자료실
2008.03.26 17:51
2peas 카페 스탭
http://cafe.naver.com/jobjhyun/230
□ 논술 문제 : 다음은 장 자크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에서 발췌한 글이다. 이 글을 읽고 첫째, 루소는 인간 불평등의 기원을 무엇으로 보고 있는지를 밝히고, 둘째, 우리 사회에 내재된 불평등의 사례를 제시한 후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에 대해 논술하시오.

정치상의 차별은 필연적으로 시민들 사이에 차별을 가져 온다. 국민과 통치자들 사이에 증가되어 가는 불평등은 서서히 개개의 사람들 사이에서도 감지되며, 정념(情念)이나 재능에 따라 그리고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남용된다. 위정자는 비합법적으로 권력을 탈취할 경우에 그 일부를 양도해 주어야 하는 부하를 만들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시민들이 압제를 용납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다만 맹목적인 야심에 이끌려 자신의 위보다는 아래를 내려다보면서, 독립보다는 권위에 복종하기를 더 좋아하고, 그들이 타인을 쇠사슬에 묶기 위해 자진하여 쇠사슬에 묶이는 데 동의할 때 뿐이다.
인간을 부리려는 야심을 조금도 갖고 있지 않은 자에게 복종을 강요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아무리 교묘한 정치가라고 하더라도 자유롭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예속시키기란 대단히 어렵다. 그러나 언제나 운명의 위험을 무릅쓰는 야심가나 자기에게 유리하게 되느냐 불리하게 되느냐에 따라서 무작정 지배하기도 하고 봉사하기도 하는 비겁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불평등이 무한정 확대된다. 그리하여 국민들이 눈멀어 있을 때, 지도자들은 가장 열등한 자들을 향해 \"위대할지어다. 그대와 그대의 가문은!\" 하고 한마디만 던져도, 그는 곧 자기 눈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눈에도 위대해 보였을 것이다. 그의 자손들은 세월이 가면 갈수록 점점 더 지위가 올라갔고, 원인이 모호하고 불확실할수록 그 결과는 점점 위대해졌다. 그리고 일가 가운데 게으른 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가문은 점점 더 유명해졌다.
여기서 좀더 상세히 들어간다면, 나는 다음과 같은 것을 쉽사리 설명할 수 있다. 즉, 설사 정부가 간섭하지 않더라도 개개의 인간이 동일한 사회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차별을 고려하게 되면, 그들 사이에는 신용과 권위의 불평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별은 몇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산 부(富), 신분, 지위, 권력, 개인적인 능력이 주요한 구분이 되며, 이것들에 따라 사람들은 사회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차지하므로, 나는 이들 서로 다른 세력의 조화나 충동이 국가 구성에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가장 정확한 자료임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이 네 가지 불평등 속에서 개인적인 성질의 것이 다른 모든 것의 기원이므로, 나는 부(富)가 다른 불평등이 귀착되는 근원적인 불평등임을 보여 줄 수 있다. 왜냐 하면, 부(富)는 가장 직접적인 안락을 위해 유용하며 가장 쉽게 이전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인간은 그 밖의 모든 것을 사들이기 위해 부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암담함과 비참함 속에서 헤매고 있을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