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니다. -
(1) 안락사의 정의와 구분
역사적으로나 어원상으로 '안락사'라는 말은 "고통과 통증이 없는 편안한 죽음"을 또는 원래
선하고 공경할 만한 죽음을 의미합니다.
의학 용어로서의 이 단어는 항상 죽어가는 환자에게 의사가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해서 그리고 통증과 괴로움을 줄여 주기 위해서 행하는 친밀한 도움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오늘날에 와서는 그 말의 본래 의미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질병의 고통이나 단말마의 고통을 없애려는 어떤 의학적 개입을 생각하게 됩니다.
의사들은 대개 적극적인 안락사와 소극적인 안락사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소극적 안락사는 생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는 치료를 의도적으로 생략하는 것을 의미하고 적극적인 안락사는 더 이상의 다른 방법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 의도적으로 더 빨리 죽음을 초래하는 "치료"의 설정을 의미합니다.
적극적인 안락사는 충격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의사들이 사용하기를 꺼려하지만 종종 "안락사"(mercy kelling)라고도 일컬어집니다.
(2) 정당화될 수 없는 안락사
① 누군가의 생명을 죽이는 것이나 다른 생명이 '평안한' 종말을 맞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인간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때 남는 것은 그저 고통과 심각한 좌절뿐입니다. 이것은 사실 불합리하고 비인간적인 것입니다.
안락사는 살인 행위이며,어떤 목적으로든 정당화할 수 없는 것입니다.
② 말기 환자들, 이상 아동, 정신 질환자와 불치병으로 고생하는 이들의 고통과 고난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연민은,능동적이든 수동적이든 어떠한 형태의 직접적 안락사도 정당화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병으로 고생하는 이들을 돕는 문제라기보다는 오히려 한 사람을 의도적으로 살해하는 행위입니다.
③ 의사와 준의료인-"항상 생명에 봉사하고 이 생명을 임종에 이르기까지 돕는 사람" -은
관계 당사자의 요청과 더욱이 가족들의 요청이라 하더라도 안락사를 시도하는 행위에 협력할 수 없습니다.
④ "흔히 죽여 달라고 하는 중환자들의 간청이 안락사에 대한 진정한 원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됩니다.
사실 그것은 거의 언제나 도움과 사랑을 구하는 고뇌에 찬 간원의 경우입니다.
의학적인 가료 외에, 병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으로 부모, 자녀, 의사, 간호사 등 가까운 모든 사람들이 병자를 에워쌀 수 있고 또 감싸줘야 하는 인간적이고도 초자연적인 온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3) 암환자에게 "진실"을 알리는 것은 중요한가요 ?
죽음을 앞둔 사람, 혹은 불치병을 가진 사람은 누구나 진실을 알 권리가 있습니다.
어떠한 사람에게 있어서나 다가오는 죽음은 자기 가족에 대한 특정한 의무를 수행하고
사업을 정리하며 부채를 청산하는 등의 책임을 수반하게 됩니다.
어떻든 죽음에 대한 준비는 죽음이 다가오기 훨씬 전에 아직 건강이 좋은 때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누구든지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은 임종이 가까워옴을 환자에게 알려 주어야 합니다.
가족과 사목자, 의료인들은 이 의무에 참여해야 합니다.
관련된 사람의 감수성과 수용 능력에 따라, 또는 환자의 상태와 그의 대인 관계 능력에 따라
각기 경우가 다릅니다.
환자와 가까운 사람이 태연하게 행동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진실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나타낼지 예견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병원의 사목자는 계속적인 접촉을 통해서 환자들, 특히 믿지 않거나 무관심속에 있는 환자와 신뢰 관계를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사목자는 죽음이 임박했음을 너무 일찍 말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동시에 진실을 감추어서도 안됩니다.
출처 : 정토사관자재회 <글쓴이 :능행스님>
(1) 안락사의 정의와 구분
역사적으로나 어원상으로 '안락사'라는 말은 "고통과 통증이 없는 편안한 죽음"을 또는 원래
선하고 공경할 만한 죽음을 의미합니다.
의학 용어로서의 이 단어는 항상 죽어가는 환자에게 의사가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해서 그리고 통증과 괴로움을 줄여 주기 위해서 행하는 친밀한 도움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오늘날에 와서는 그 말의 본래 의미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질병의 고통이나 단말마의 고통을 없애려는 어떤 의학적 개입을 생각하게 됩니다.
의사들은 대개 적극적인 안락사와 소극적인 안락사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소극적 안락사는 생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는 치료를 의도적으로 생략하는 것을 의미하고 적극적인 안락사는 더 이상의 다른 방법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 의도적으로 더 빨리 죽음을 초래하는 "치료"의 설정을 의미합니다.
적극적인 안락사는 충격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의사들이 사용하기를 꺼려하지만 종종 "안락사"(mercy kelling)라고도 일컬어집니다.
(2) 정당화될 수 없는 안락사
① 누군가의 생명을 죽이는 것이나 다른 생명이 '평안한' 종말을 맞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인간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때 남는 것은 그저 고통과 심각한 좌절뿐입니다. 이것은 사실 불합리하고 비인간적인 것입니다.
안락사는 살인 행위이며,어떤 목적으로든 정당화할 수 없는 것입니다.
② 말기 환자들, 이상 아동, 정신 질환자와 불치병으로 고생하는 이들의 고통과 고난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연민은,능동적이든 수동적이든 어떠한 형태의 직접적 안락사도 정당화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병으로 고생하는 이들을 돕는 문제라기보다는 오히려 한 사람을 의도적으로 살해하는 행위입니다.
③ 의사와 준의료인-"항상 생명에 봉사하고 이 생명을 임종에 이르기까지 돕는 사람" -은
관계 당사자의 요청과 더욱이 가족들의 요청이라 하더라도 안락사를 시도하는 행위에 협력할 수 없습니다.
④ "흔히 죽여 달라고 하는 중환자들의 간청이 안락사에 대한 진정한 원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됩니다.
사실 그것은 거의 언제나 도움과 사랑을 구하는 고뇌에 찬 간원의 경우입니다.
의학적인 가료 외에, 병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으로 부모, 자녀, 의사, 간호사 등 가까운 모든 사람들이 병자를 에워쌀 수 있고 또 감싸줘야 하는 인간적이고도 초자연적인 온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3) 암환자에게 "진실"을 알리는 것은 중요한가요 ?
죽음을 앞둔 사람, 혹은 불치병을 가진 사람은 누구나 진실을 알 권리가 있습니다.
어떠한 사람에게 있어서나 다가오는 죽음은 자기 가족에 대한 특정한 의무를 수행하고
사업을 정리하며 부채를 청산하는 등의 책임을 수반하게 됩니다.
어떻든 죽음에 대한 준비는 죽음이 다가오기 훨씬 전에 아직 건강이 좋은 때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누구든지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은 임종이 가까워옴을 환자에게 알려 주어야 합니다.
가족과 사목자, 의료인들은 이 의무에 참여해야 합니다.
관련된 사람의 감수성과 수용 능력에 따라, 또는 환자의 상태와 그의 대인 관계 능력에 따라
각기 경우가 다릅니다.
환자와 가까운 사람이 태연하게 행동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진실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나타낼지 예견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병원의 사목자는 계속적인 접촉을 통해서 환자들, 특히 믿지 않거나 무관심속에 있는 환자와 신뢰 관계를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사목자는 죽음이 임박했음을 너무 일찍 말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동시에 진실을 감추어서도 안됩니다.
출처 : 정토사관자재회 <글쓴이 :능행스님>
추천자료
사회복지전문성의3요소(지식,가치,기술)과 비어스텍7대원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딜레...
가정폭력의 치료와 예방, 사례, 관련법률, 윤리적딜레마, 대안과 사회복지적 실천 보고서
사회복지 실천의 윤리적 딜레마사례(자신이 사회복지사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출.)
사회복지전문성의3요소(지식,가치,기술)과 비어스텍7대원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딜레...
사회복지사의 사례를 통해 본 윤리적딜레마와 대처방안-참고용
광고의 윤리적 딜레마-비교광고사례를 중심으로 한 코카콜라와 펩시의 비교광고
의사결정,의사결정의의의,합리적의사결정,윤리적의사결정,의사결정사례,의사결정의함정,실제...
[사회복지실천론_-과제]사회복지사의_윤리적_딜레마_사례와 해결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