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발달 이론적 관점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발달 이론적 관점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용할 수 있다.
③특정체계의 속성과 체계 간의 상호연관성을 평가함에 있어 각 체계들 간의 일관성, 상호성, 갈등 등의 정도와 상태를 규명할 수 있는 개념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④문제를 전체체계의 총체성 속에서 이해하여 개입할 때도 어느 한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 관련체계에 개입하여 체계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이론적 배경(p.90. <표 4-1>참고)
-심리사회적 관점이 정신분석 이론에 비중
-생태적 관점이 생물학, 생태학, 진화이론 등을 도입하여 활용
▷문제에 대한 정의 및 원천 비교(p.90. <표 4-2, 3>참고)
▷개입방법과 원조활동영역 비교(p.91. <표 4-4, 5, 6>참고)
①개입방법 ②개입양식 ③원조활동영역
▷환경개념의 정립상태 비교(p.92. <표 4-7>참고)
-생태학적 관점은 생태학을 빌려 환경개념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 사회복지실천에서 환경의 적절성과 반응성을 강조
-생태학적 관점은 환경을 중시
▷사회복지사 역할 비교(p.93. <표 4-8>참고)
▷실천과정의 비교(p.93. <표 4-9>참고)
▶생태체계적 관점은 사회사업이 오랫동안 기반으로 해온 것을 받아들이면서 그 위에 새로운 이론과 개념을 접목시킴으로, 보다 사회사업 목적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추구
▶주요개념 : 적응과 상호교류
3)Empowerment 이론
▶의미
-능력을 가지는 것,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11)
-“그들 자신의 삶에 대한 집단적 통제력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으로 사회복지사들이 사람들의 결여된 힘을 증대시키기 위해 추구하는 방법”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그들 환경에 대한 통제력을 얻고 그들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여 결과적으로 그들 자신과 다른 사람을 원조하여 삶의 질을 최대화시켜 나가는 수단
▶특성
-생태학적 관점을 통합함12)
-클라이언트의 결함보다는 강점 지향
-문제보다는 문제해결 추구
-처방에 따른 치료보다는 능력향상 추구
-전문가와 협력적 동반자 관계 강조
-클라이언트 자신을 자원으로 보고 그 잠재적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함
▶Empowerment의 사회복지실천 과정
①대화단계-ⓐ상호협력적 관계 형성 ⓑ도전내용 설명하기(‘문제’보다는 ‘도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 긍정적인 기대 갖게 함) ⓒ강점 확인하기 ⓓ방향 정하기
②발견단계-ⓐ자원체계조사하기(잠재적인 자원들 사정) ⓑ자원의 능력 분석하기 ⓒ해결책 고안하기(구체적인 목적 설정하고 행동계획 세우기)
③발달단계-ⓐ기존자원 활성화시키기 ⓑ기회 확장시키기(클라이언트가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대안 개발) ⓒ성공 인식하기 ⓓ결과들 통합하기(지속된 지지를 위한 사후계획 작성)
4)강점(strength) 이론
-Rapp, Weick 등이 개발
▶의미
-클라이언트의 잠재능력, 재능, 자질 등을 강화시켜 사회적 적응능력 강화 시키는 것
-총체적인 건강개념으로부터 발달, 중증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실천모델로 개발됨
-정신질환자도 학습, 성장, 변화 가능한 존재임을 고양시키는데 초점
▶특성
-문제가 아닌 도전 강조13)
-병리14)가 아닌 강점을 강조15)
-과거가 아닌 미래 중시16)
▶강점이론을 가진 사회복지사의 특성
-사람들을 성장과 변화를 위한 개별적, 본래적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인식
-클라이언트체계는 자원과 능력을 원천적으로 지니고 있음을 인식
-상호작용과 협력을 통해 기존의 자원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인식한다.
-긍정적인 변화는 희망과 미래의 가능성 위에 구축됨을 인식한다.
-클라이언트 체계는 그들 상황을 가장 잘 알며, 대안이 주어지면 가장 좋은 해결책을 결 정할 수 있음을 확신한다.
-무력감을 증대시키기보다 완수감과 능력을 증대시키는 과정을 지지한다.
-체계의 결함 안에서보다는 체계간의 상호교류 과정에서 도전과 관심을 제기한다.
5) 사회적 지지망(social support network) 이론
(1) 사회적 지지망의 의미와 필요성
▶의미
-사회적인 환경 내에서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컫는 것
-서로에게 정서적 격려, 충고, 정보, 구체적 원조 등의 다양한 도움을 제공해 주는 것
사회적 지지망(social support network)이란 지속적으로 상호보호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삶에 대한 대처능력을 강화시켜 주는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과 상호연관된 관계의 집합체
▶필요성
-재가복지에서 다차원적 서비스의 패키지(package) 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17)
-서비스 공급주체의 다원화에 수반되는 접근 서비스 보장의 필요 때문18)
-서비스 자원의 효과적 활용 및 경제적 효율성 차원에서 요청되기 때문19)
(2) 사회적 지지망의 유형
▶기능별 유형
정서적 지지 -존중, 좋아함, 신뢰, 관심의 표현 및 경청
정보적 지지 -충고, 제안, 지침, 관련자료 등 제공
도구적 지지 -돈, 시간, 다른 자원
평가적 지지 -피드백, 사회적 비교, 개인의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한 자기 평가
▶출처별 유형
*Golan의 네 가지 분류
①자연적 원조체계(가족, 친척, 친구, 이웃)
②상호원조체계(자조집단, 지지집단)
③다른 전문가 원조망(성직자, 교사, 변호사, 의사)
④전문가 원조체계(사회복지사, 정신분석가, 임상심리학자)
(3) 사회적 지지망 전략
개인적 네트워크 전략(personal networks strategy)20)
자원봉사자 연계전략(volunteer linking strategy)21)
상호원조 네트워크 전략(mutual aid network strategy)22)
인근지역 원조자 전략(neighborhood helpers strategy)23)
지역활성화 전략(community empowerment strategy)24)
참고
김융일 외, 「사회복지실천론」(서울: 나남출판, 2000)
김기태 외, 「사회복지실천론」(서울: 양서원, 2006)
전재일 외, 「사회복지실천론」(서울: 형설출판사, 2001)
http://cafe.naver.com/social86.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7997
삼겹줄(sm6011)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