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보육의 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람직한 보육의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식의 오류
1. 보육서비스는 공공재인가?
2. 민간 보육서비스 질이 낮은 것은 정부지원이 낮아서인가?
3.정부의 보육정책 방향과 평가
1. 시장경제 측면에서의 평가
2. 공공선택이론을 통한 평가
4. 보육정책의 방향모색: 시장과 정부의 역할분담
1. 정부개입의 필요성
2. 시장규제의 철폐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육재정의 확대는 재정의 낭비를 초래할 뿐이다. 보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은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을 통해서이다. 보육서비스의 외부 불경제 효과가 높은 만큼, 시장에서 충족시키지 못하는 일정소득 이하 계층에 대한 보육서비스는 정부에서 무상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일정소득 수준이상의 계층에게는 다양한 수요가 시장기능에 의해 해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영리법인의 시장진입을 허용하고, 가격규제를 철폐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종해, “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대방안”, 참여연대, 한국여성단체연합 주최, 보육재정의 공공성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발표자료, 2004.
여성부, 보육사업의 공공화 및 다양화 실행방안 연구, 2003.
유희정, 강정희, 민간보육시설의 공공성 강화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 구보고서 240-10, 2003.
현진권, “보육재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 재정논집 제19집 제2호,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5, p.179-204.
Heckman, James and Peter Klenow, "Human Capital Policy", mimeo, 1997.
Niskanen, W., Bureaucracy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Chicago: Aldine-Atherton, 1971.
Reishus, David, "Financing child care: who will pay for the kids?", National Tax Journal, September, 1989, pp. 249-259.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