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건강권
2). 보육권
3). 접근권
4). 거주권
5). 교육권
6). 노동권
7). 문화향수권
8). 이동권
9). 생존권
10). 생활권
2). 보육권
3). 접근권
4). 거주권
5). 교육권
6). 노동권
7). 문화향수권
8). 이동권
9). 생존권
10). 생활권
본문내용
장애인실태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장애인 가구 월 평균 소득이 40만원 미만이 46.5%로 절대 소득액이 극히 낮다. 이는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 평균 1백39만8천원과 비교해 보면 기본적인 삶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 정부가 직접 급부의 유일한 보장책은 생계보조수당이 유일하다. 그것도 일부 생활보호대상자 정도의 생활수준에 있는 중증장애인 약 4만여명만이 월4만5천원의 생계보조수당을 받는 것이 전부이다.
10). 생활권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지 방자치제가 가지고 있는 장점은 복지행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방정부가 사회적 서비스를 책임질 수 있는 유리한 위치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지방적 욕구와 조건에 따른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모든 지방정부는 시설에서 살지 않는 장애인과 노인들을 위해 조직된 가정보조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지방자치 체의 낮은 자립도 때문인지 장애인을 위한 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정신지체 장애인의 강제불임 등 우리나라에서 살아가고 있는 장애인들은 각종 인권 침해를 받고 있다.
우리 정부가 직접 급부의 유일한 보장책은 생계보조수당이 유일하다. 그것도 일부 생활보호대상자 정도의 생활수준에 있는 중증장애인 약 4만여명만이 월4만5천원의 생계보조수당을 받는 것이 전부이다.
10). 생활권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지 방자치제가 가지고 있는 장점은 복지행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방정부가 사회적 서비스를 책임질 수 있는 유리한 위치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지방적 욕구와 조건에 따른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모든 지방정부는 시설에서 살지 않는 장애인과 노인들을 위해 조직된 가정보조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지방자치 체의 낮은 자립도 때문인지 장애인을 위한 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정신지체 장애인의 강제불임 등 우리나라에서 살아가고 있는 장애인들은 각종 인권 침해를 받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