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선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시아선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A. 문제 제기
B. 연구범위및 방법

Ⅱ. 선교의 개념 정의

A. 선교 개념의 일반적 고찰
1.선교의 어의
2.선교의 동기
B. 성서의 선교 개념
1. 구약의 선교
2. 신약의 선교
C. 선교 개념에 대한 相異한 견해
1. 복음주의의 선교 개념
2. W.C.C의 선교 개념
3. 새로운 선교 개념

Ⅲ. 선교적 측면에서의 Asia의 상황

A. 아시아 문화의 특성
1. 문화이해
2. 종교의 다양성
3. 빈곤
B. 아시아 종교의 상황
1. 아시아 종교인 수
2. 아시아의 문화적 지역 분류
3. 아시아 종교 분포도
C. 토착화론의 강한 대두



Ⅳ. 종교 다원주의의 개념

A. 종교 다원주의(religious pluralism)의 배경
1. 다원주의의 개념
* 2. 종교 다원주의의 뿌리
3. 현대 종교 다원주의 발생의 배경
B. 종교 다원주의의 이론들
1. 신 중심적 접근 방법
a. 존 힉
b. 폴 니터
2. 그리스도 중심의 접근 방법
a. 칼 라너
b. 한스 큉
3. 대화를 통한 접근 방법
a. 스텐리 사마르타
b. 라이문도 파니카

Ⅴ.종교 다원주의와 혼합주의

A. W.C.C 의 종교간 대화(Dialogue-Program)
1. 발생 배경
2. 힌두교적 혼합주의
B. 아시아 종교의 범신론과 아시아 신학자들의 종교 다원주의
1. 범신론(汎神論)
2. 아시아 신학자들의 종교 다원주의
3. 한국에서의 종교 다원주의
C. 종교다원주의에 대항하는 선교 전략
1. 종교 다원주의가 선교에 미친 영향
2. 도전에 대한 응전 | 기독교의 절대성과 우위성
a.기독교와 타종교와의 관계
b.그리스도의 유일성과 절대성
c.그리스도 밖의 구원의 문제

Ⅵ. 결 론(結論)

A. 요약
B. 제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각하게 대두되고 전통적인 기독교 절대주의에 대한 강한 도전과 반대가 일어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 목창균 교수는 스미스(Wilfred Cantwell Smith)의 주장을 인용하여 \"종교적 다원주의의 문제는 교회가 다른 신앙과 정면으로 대결하고 있었던 선교지 최일선의 선교사들과 비교종교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고 주장한다. 18,19 세기의 기독교 선교 정책은 서구의 식민주의 정책과 발을 맞추어 이른바 \"식민주의 선교정책\",\"제국주의 선교정책\"을 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복민을 기독교도로 개종시키는 것이 전통적인 선교의 목적이었다. 그러나 2차 세계 대전을 전후하여 식민지 정책이 종식되고, 정복식의 선교정책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실제로 1954년 인도정부는 개종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선교사들을 철수하도록 명령했으며,중국,앙고라,아랍세계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렇게되자 타종교와 대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타종교를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일선의 선교사들 사이에서 일어나게 되었다.
한편, 과학의 발전으로 종교 다원주의의 태동을 촉진하였다. 16세기 이후 유럽에 발견과 탐험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기독교 세계밖의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게 되었으며, 동서양의 활발한 교류는 타종교에 관한 문헌을 쉽게 접하게 해주었고 이를 통해 기독교와 다른 종교와의 문제는 긴급한 것이 되었다.
특히 비교종교학의 발전과 함께 종교사 연구가와 비교종교학자들 사이에서 타종교에도 기독교와 동일한 요소가 많이 있다는 주장이 나오게 되었다.19세기 종교사학파의 대표자 트뢸치(Ernest Troeltsch,1865 -1923)가 그 좋은 예이다. 그는 기독교 절대주의를 거부하고 종교의 \'상대주의\'를 주장했다. \'종교적 상대주의\'라는 것은 기독교가 기독교인들에게 훌륭한 종교인것 처럼 힌두교가 힌두교인들에게 훌륭한 종교라는 것이다. 즉 모든 종교는 상대적이고, 제각기의 진리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독교를 절대적이고 우월한 종교하고 말할 수 없다고 보았다.
B. 종교다원주의의 이론들
1. 신중심적 접근 방법
a. 존 휙(John Hick)
존 휙은영국의 종교철학자 이자 신학자로서 본래 개혁교회의 복음주의적이고 그본주의 성향의 신학자였다. 그는 1973년에 {God and the Universe of Faith}를 발표하면서 종교적 사고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선언하기 시작했다. 그가말하는 혁명이란 기독교 혹은 예수 그리스도가 종교적 헌신의 중심이라는 전통적 견해로 부터 모든 종교적 신념과 실천의 중심에는 하나의 신적 실재(One Divine Reality)가 있으며, 모든 주요 종교들은 이 실재에 대해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제약된 인간의 반응이라는 다원론적 견해로의 변천을 말한다.
그는 {바가드-기타}의 \"인간이 어떠한 길을 택하든지 그것은 나에게로 이르는 길이다.\" 라는 구절을 그의 표제로 택한다. 또한 \"우리는 신앙의 우주가 신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지 기독교나 혹은 어떠한 다른 종교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아야만 한다. 그는 빛과 생명의 창조적 원천인 태양이며, 모든 종교는 그들 나름의 상이한 방식으로 그를 성찰한다.\"
힉은 자신의 신학에 칸트적 배경을 담고 있다. 하나님은 인간 경험에 의해 구조화된 선험적인(a priori) 관념으로 본다. 그러므로 힉은 야웨, 알라, 순야다, 브라만, 니르바나는 모두 \"실제의 원래적 현현\"이라고 한다.
b. 폴 니터(Paul Knitter)
폴 니터는 그의 신중심적 모델을 \"관계적 유일회성\"(Relational Uniqueness)이라는 용어로 설명한다. 특히 그는 과정적-관계적 실재관의 영향으로 세계내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진화적이고 과정적이라는 실재솬을 말하고 있다. 즉, 우리는 존재(being)의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고 생성(becoming)의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완결되지 않은 변화 과정속에서 종교를 보고 상대성을 허용한다. 특히 그는 생물의 진화를 말하는 다윈의 진화론과 아인쉬타인의 신물리학의 통찰을 가지고 실재는 완성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되는 과정으로 보았다. 이러한 영향으로 니터는 상호 관계성에 입각한 예수의 유일회성을 해석한다. 예수를 관계적 유일회성으로 해석한는 것은, 니터에 의하면, 예수를 \'유일회적 이다\'라고 기독교내에서 주장할 수 있지만 그 의미는 다른 종교적 인물들과 관계하는 경우에는 \'한정된 유일회성\'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신중심적 기독론을 예수에 대한 신약성서 복음의 본래적 의미에 대립되지 않는 비규범적 이해에서 전개려고 한다.
니터는 가다머의 해석학을 신약성서의 예수에 관한 교리적 본문들에 적용하면서 본문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그 본문의 역사적 상황에서 해석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 그는 가다머가 설명하고 있는것 처럼 본문과 그 내용은 경험과 의미의 지평안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한 지평이란 역사를 통해 확대되기 때문에 본문과 내용이 새로운 구조속에서 계속 들려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실로 본문의 의도하는 바를 듣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니터는 신약성서의 상황이나 예수에 관한 과거 교리적 진술과는 전혀 다른 인간경험의 \'구조\'(texture)에 있어서 새로운 진보가 있었음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러한 구조는 모든 문화 및 역사적 업적의 상대성에 대한 새로운 역사의식과 다원주의에 대한 새로운 의식 그리고 특별히 수 많은 사람 가운데서의 새로운 형태의 통일을 추구할 필요성에 대한 보다 분명한 인식등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2. 그리스도 중심의 접근 방법
a. 칼 라너(Karl Rahner)
칼라너(Karl Rahner)는 포괄적이면서 기도론적이 접근을 택하는 카톨릭 신학자이다. 그는 제 2바티칸공의회의 신학 자문위원이었으며, 교회밖에 구원이 없다는 전통적인 로마카톨릭 교리를 공식적으로 재해석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
제 2바티칸공의회(1962-1965)가 열리기 수개월전, 라너는 바바리아에서 \'가독교와 비기독교 종교\'라는 주제로 강의를 했다. 그의 강의는 종교 다원주의가 기독교에는 가장 큰 치욕거리이며골치거리임이 틀림없다는 주장으로 시작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