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절한 영양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적절한 영양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극적인 식품은 피함
예) 짠 김치나 찌개, 젓갈, 장아찌, 단과자, 아이스크림, 탄산음료
여섯째,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은 피함. 가공식품이나 외식보다는
집에서 조리해서 먹도록 하는 것이 영양이나 식품첨가물 등의
위생문제를 줄일 수 있음.
일곱째, 식중독에 주의함. 신선한 식품재료, 조리기구를 위생적으로 처리
하고 구입 후 즉시 사용하며 냉장고 보관
- 126 -
4. 수유기의 식단 구성
- 127 -
학습정리
선천적인 소식이나 운동 부족 및 불규칙적인 수유 등으로
식욕부진이 될 수 있으나 식욕이상으로 수유를 강조하면
조제유를 기피하는 현상
선천성 대사장애는 태어날 때부터 모유나 조제유의 정상적인
대사에 필요한 효소가 체내에 없는 것
수유부는 산욕기 회복이 빠를수록 좋은 모유가 분비되므로
안정된 환경에서 규칙적인 수면, 휴식, 운동 등이 필요
한국인 수유부 식습관의 문제점은 과잉의 당질섭취이며,
단백질이나 비타민, 무기질의 부족이 나타나 모자간의 비만을 초래
참고자료
건강길라잡이 → 영양 → 영양과 건강
http://www.hp.go.kr
- 128 -
수업개요 3교시
- 이유기의 식사관리
제6주 아동의 영양문제와 식생활관리
3교시 학습목표
[3교시] 이유기의 식사관리
- 129 -
생각해보기
01 이유란 무엇일까?
02 이유식의 식단 작성은 어떻게 해주어야 할까?
03 이유기의 구분은 어떻게 나눌까?
04 이유기의 식사관리는 어떻게 해줘야 할까?
학습내용
1. 이유기의 식사관리
이유란?
단순히 젖을 뗀다라기보다 유즙의 영양으로부터 반고형식 또는 고형식 등의
형태가 있는 음식으로 점차 바뀌어 가는 것
1) 이유의 필요성
- 모든 영양소를 유즙만으로는 충족시키기 어려워 영아에게 필요한
영양보충의 역할. 스스로 고형식을 씹어서 먹을 수 있도록 어른과
같은 형태의 식생활로 이끌어 주는 과정 필요
- 신체발달과 활발한 운동에 따라 영양요구량이 많아짐
2) 이유의 시기
- 출생시 체중의 약 2배에 가까워졌을 때 바람직
- 수유 횟수가 하루에 8회이상, 수유간격이 3시간 이내, 인공영양아의
경우 1,000ml/일 이상 조제유를 섭취하며 쉽게 배고픔 느낄 때
- 생후 5~6개월로서 체중이 6~7kg 정도 되었을 때 적당
- 130 -
1. 이유기의 식사관리(유의점)
3) 이유 진행시 유의점
첫째, 이유는 영아의 건강 상태가 양호할 때 시작
둘째, 이유 시작 1개월 전부터 수유의 시각과 간격이 규칙적
셋째, 이유식은 기분이 좋고 공복일 때 주며 오전 중에 주고 수유함
넷째, 단계적으로 하루에 한두 가지 식품을 한 숟가락 주고 양을 늘려감
다섯째, 이유식의 조리형태는 먹기 편리하고 소화가 잘 되는 것
여섯째, 진한 맛은 다른 미각 발달에 장애
일곱째, 조리과정이나 조리 후 보관까지 위생적이어야 함
2. 이유기의 진행방법(생후3~8개월)
(1) 이유 준비기 (생후 3~4개월)
- 수유의 횟수를 5~6회 정도로 조절하는 것을 원칙
- 이유식은 쌀을 갈아 아주 묽게 끓인 미음이나 배, 사과를 삶은 후
즙을 낸 것을 먹임
(2) 이유 전기 (생후 5~6개월)
- 이유식의 횟수는 1회로 하고, 수유횟수는 4회
- 곡류는 입자를 곱게 하면서 약간 농도가 있는 죽 상태가 적당
(3) 이유 중기 (생후 7~8개월)
- 이유식 횟수는 2회로 늘리며 수유 횟수는 3회
- 여러 가지 야채나 육류를 섞어 끓인 죽, 닭죽, 생선죽 등
- 131 -
2. 이유기의 진행방법(생후9~1년 전후)
(4) 이유 후기 (생후 9~10개월)
- 이유식 횟수는 3회로 하고 수유의 횟수는 2회
- 영양의 주체가 유즙에서 이유식으로 바뀌므로 우유로 바꿈
- 잇몸으로 씹어 넘기므로 죽과 진밥 정도의 상태로 조리
- 잘게 썬 음식이나 덩어리진 음식을 혼자 먹도록 습관
(5) 이유 완료기 (1년 전후)
- 3회 식사로 하고, 우유는 오전10시와 오후 3시에 2회 간식용으로 함
- 맺고, 뜨겁고, 짜고 신 것, 녹차, 커피 등 기호식품은 피함
- 곡류식품은 진밥, 국수, 삶은 감자 등이 좋음
- 생선이나 육류는 잘게 잘라서 조리. 생과일은 얇게 저미어서 줌
2. 이유기의 진행방법
- 132 -
3. 이유식 제품
1) 한국의 시판 이유식 제품
- 분말 형태와 반고형식의 두 가지 형태로서 통조림이나 병조림
- 한국산 이유식 제품은 분말 형태. 기본 재료는 분유와 곡분
- 여러 가지 과일이나 야채, 대두, 육류, 우유단백 등의 분말 혼합
- 식물성 유지와 무기질 및 비타민을 강화시켜 만든 것
- 수입제품의 반고형 이유식 → 액상, 고운 죽, 덩어리가 있는 죽
- 국내산의 분말 형태 이유식 제품은 월령이 낮은 영아에게는 적절
하지만 월령이 높은 경우에는 반고형식을 주로 먹기 때문에 부적절
3. 이유식 제품
3. 이유식 제품(이유식 개발)
2) 이유식의 개발
(1) 현재 먹이고 있는 이유식의 종류
- 야채, 고기죽의 형태가 가장 많음 → 과일 으깬 것 → 밥을 국에 말아서
급식하는 경우 → 곡분가루에 물을 가한 후 가열
- 수입품 이유식에 의존하는 경우도 5%
- 이유식의 개발을 원하는 것 : 입자가 고운 형태의 야채 고기국, 곡류
미음 형태, 야채죽, 야채나 고기를 넣은 죽 종류, 과일을 첨가한 죽
(2) 이유에 적합한 식품 선택 및 식품 배합
- 액체성분으로는 물, 우유, 야채즙, 과즙, 콩국을 사용
- 탄수화물 급원으로는 쌀전분, 쌀 갈은 것, 밤, 국수, 감자, 고구마
- 단백질 급원으로는 생선, 소고기, 두부, 두류, 달걀, 닭고기
- 비타민 및 무기질 : 채소와 과일, 멸치, 미역 등
4. 이유식의 식단 작성
- 이유식은 월령별로 소화가 가능하도록 3단계로 나누어 제조
1단계 :
한 가지 식품으로 구성하여 액체 식품만을 먹던 시기에서 고형물로의 진행 단계
로 씹히는 것이 없는 부드러운 질감으로 영아가 고형물을 섭취할 경우 잘 삼킬 수
있도록 함
2단계 :
여러 식품재료들의 혼합으로 생후 5~6개월부터 급식이 가능하도록 곡분에 과즙
과 야채즙을 첨가한 형태나 난황과 소고기를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0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