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의 현황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학대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아동학대의 정의
2.아동학대의 유형
1)신체학대
2)정서학대
3)성학대
4)방임
3.아동학대의 원인 및 후유증
1)아동학대의 원인
2)아동학대의 후유증
4.아동학대의 현황
5.아동학대 관련 개선방안

본문내용

반사회적 행동을 하게 된다.
(4)아동학대의 악순환의 원인이 된다.
-아동들은 자신의 아동기에 부모역할에 대한 대부분의 것을 배우게 된다. 따라서 학대받은 아동들은 그들이 자신의 아이를 가지게 되었을 때 학대를 되풀이 할 가능성이 높다.
(5)파괴적인 행동이나 몹시 소극적인 태도
-남들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몹시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행동을 계속하거나 극도의 수줍음을 타며 또래와의 관계형성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6)유형별 후유증
ㄱ.신체적 학대: 두개골 골절 및 복부, 흉부, 고막파열, 열창, 화상, 시력상실, 치아, 사지골절, 담뱃불로 지진 상처, 할퀴거나 깨문 상처 등 외상이 남는다. 심리적으로 집에 들어가기 싫어하고 살기가 싫다고 하며, 화가 나서 물건을 부수거나 누군가를 때려주고 싶다고 한다. 우울증, 자살행동, 공포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등교거부, 학습부진 등의 행동장애, 두통, 식욕부진, 호흡곤란, 말더듬, 빈뇨, 복통을 호소한다.
ㄴ.정서적 학대: 낮은 자존심, 발달지체, 자살행동, 도덕발달의 결함을 보이거나 수동적이면서도 공격적, 도전적인 행동을 보인다. 감정표현이 없고 불면증, 지나치게 성인의 관심을 유도하며, 항상 뭔가 더 필요하고 부족하다는 느낌을 보인다.
ㄷ.성학대: 복부통증, 구토, 요도관 감염, 외음부의 출혈 및 상처, 인두감염, 성병, 성도착증 등의 증세를 보인다. 갑작스런 체중 감소나 증가, 수면장애, 강박적인 자위행위, 조숙한 성적놀이 등을 한다. 퇴행, 배변훈련의 실패, 잦은 목욕, 이유 없는 울음이나 자폐적 행동을 한다. 우울증, 무단결석, 가출, 자기파괴적 행동 및 약물남용 증세를 보인다.
ㄹ.방임: 영양불량으로 늘 굶주려 있고, 신체가 허약하다. 몸이나 옷이 더럽고 머리 모양이 단정치 못하며 계절이나 날씨에 맞지 않는 옷을 입고 다닌다. 상처를 치료하지 않은 채 등교한다. 이유 없이 잦은 지각 및 결석을 하고, 준비물을 자주 가져오지 않으며 방과 후 집에 가지 않고 서성거린다.
4.아동학대의 현황
1)아동학대의 사례 유형(보건복지부 2002년도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학대유형
사례 수
신 체
1,309 (28.4)
정 서
961 (26.3)

119 (3.2)
방 임
1,329 (36.3)
유 기
212 (5.8)
누 계
3,660 (100.0)
2)신체학대의 유형
<표 1>은 신체학대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신체학대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외상없음이 501건(35.8%)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이는 현장조사 당시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 상처가 아물어 외견상으로는 상처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다음으로는 멍듦이 447건(32%)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긁힘126건(9.1%), 찢김66건(4.7%), 꼬집힘40건(2.9%), 골절37건(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신체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손상을 입도록 한 모든 행위를 뜻하며, 생후 12개월 이후의 영아에게 가해진 체벌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심각한 신체학대이다. 처음에는 체벌의 목적으로 혹은 부모의 일시적인 화풀이 대상으로 시작된 것이 나중에는 감정통제가 되지 않아 심한구타나 폭행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처가 경미하더라도 이런 행위를 간과해서는 안되며, 처음 시작되었을 때 방지할 수 있도록 조취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 1> 신체학대 유형
내용
외상
없음
멍듦
긁힘
꼬집힘
찢김
골절
찔림
물어
뜯김

조름

접질림
아동
던짐

501
(35.8)
447
(32.0)
126
(9.0)
40
(2.9)
66
(4.7)
37
(2.6)
11
(0.8)
8
(0.6)
16
(0.1)
12
(0.9)
19
(1.4)
(단위: 건,%)
고막파열
화상
복부출혈
호흡곤란
두개골골절
경뇌막혈종
뇌손상
기타
전체
6
(0.4)
23
(1.7)
0
(0.0)
3
(0.2)
8
(0.5)
4
(0.3)
11
(0.8)
60
(4.3)
1.398
(100.0)
이 밖의 화상 23건(1.7%), 아동 던짐 19건(1.4%), 목조름 16건(1.1%), 뇌손상 11건(0.8%), 두개골 골절 8건(0.5%), 경뇌막 혈종 4건(0.3%) 등은 아동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만큼 비록 미미한 수치이기는 하나 더욱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특히, 신체학대로 사망한 아동이 2명이나 되는데, 두 아동 모두 두개골 골절로 인해 사망한 것이어서 그 심각성이 어느 정도 인지 잘 알 수 있다. 이렇듯 직접적으로 아동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신체학대 유형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화상을 입은 아동은 주로 7~10세에 주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3세 이하의 어린 아동일 경우에는 정신지체나 신체발달지연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경뇌막 혈종과 뇌손상은 대부분 4세 이하의 어린 아동에게서 발생되었고, 아동의 대부분이 신체발달 지연, 급만성질병, 영양결핍 등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4세 이하 아동의 뇌는 신체의 다른 모든 부분과 마찬가지로 매우 약하고, 아직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주 작은 충격에도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즉, 심하게 아동을 때리거나 직접적으로 머리에 큰 충격을 가할 경우가 아니더라도, Shaken Baby Syndrome과 같이 아동을 격하게 흔들거나 다그치는 경우에도 아동의 뇌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요인들로 인해 4세 이하의 어린 아동에게서 뇌와 관련한 손상이 많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며 신체발달 지연, 급만성 질병 등 아동이 가지고 있던 특성들이 이러한 요인을 유발시킨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고도 추정해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이는 지체나 지연이 있는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과 부모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국가개입과 조기 개입이 우선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2) 정서 아동 학대
<표2>은 아동에게 가해진 정신적ㆍ언어적ㆍ심리적 위협 등의 정서학대유형을 분석한 결과이다. 정서학대의 유형 중 소리지름이 656건(35%)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심한 욕설이 482건(25.8%)이었고, 내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9.17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