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례소개
1. 무단 횡단하다가 일어난 사고
2. 횡단보도에서 일어난 사고
3. 놀다가 일어난 사고
4. 탈 것에 의한 사고
5. 하차중에 일어난 사고
6. 기타 개별 사례
Ⅱ. 문제점 파악
Ⅲ. 유아교육에서의 안전대책
1) 보행자 안전
(1) 길을 걸을 때의 안전규칙
(2) 길을 건널 때의 안전규칙
2) 승차안전
(1)버스를 탈 때의 안전규칙
(2) 승용차 탈 때의 안전규칙
3) 교통 안전 관리
참고 cite
1. 무단 횡단하다가 일어난 사고
2. 횡단보도에서 일어난 사고
3. 놀다가 일어난 사고
4. 탈 것에 의한 사고
5. 하차중에 일어난 사고
6. 기타 개별 사례
Ⅱ. 문제점 파악
Ⅲ. 유아교육에서의 안전대책
1) 보행자 안전
(1) 길을 걸을 때의 안전규칙
(2) 길을 건널 때의 안전규칙
2) 승차안전
(1)버스를 탈 때의 안전규칙
(2) 승용차 탈 때의 안전규칙
3) 교통 안전 관리
참고 cite
본문내용
다. 교통사고 사상자 중 취학전 유아 사상자가 점차 감소하고 있기는 하지만, 유아기에 사고가 치명적으로 증가하는 주된 요인은 유아가 주위 환경과 사고의 위험을 제대로 의식하지 못하고 또한 자신의 행동 결과에 대한 예측력이나 사고시의 대처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아 교통사고는 항상 뛰어다니려고 하는 유아의 특성과 함께 어린이의 3대 행동특성, 즉 조급성, 모방성, 단순성과 관련된다. 조급성이란 찻길이 위험하다는 생각에 무조건 찻길을 급하게 빨리 뛰어 건너려 하는 것인데, 실제로는 천천히 걷는 것보다 뛰어 다니는 것이 사고발생 위험이 7배나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모방성은 어른들이 무단횡단을 하는 것을 보고 따라하는 것인데, 따라하다가 갑자기 위기상황이 닥치면 대응능력이 없어서 사고를 당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순성은 유아들의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관련된 것으로, 녹색불이 들어오고 손만 들면 모든 차들이 멈출 것이라고 생각하고 건너다가 오는 차를 피하지 못해 사고를 당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아이들의 이러한 행동특성 외에도 교통사고의 원인은 성인들이 이러한 아이들의 행동특성을 파악하지 못한 부주의에서도 발생한다.
Ⅲ. 유아교육에서의 안전대책
우리나라에서 유아사망의 제 1원인이 교통사고라는 사실은 우리나라 유아들이 이러한 안전사고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있음을 입증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통계청,1997)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에게 자동차는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긴 하나 언제든지 우리를 다치게 할 수 있는 것임을 알려주고 따라서 길을 걷거나 건널 때, 차를 탈 때, 기타의 경우 필요한 교통 안전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하여 유아들이 자동차로부터 자신을 적극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유아 교통안전교육은 무엇보다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안전의식이 배양되고 행동양식이 변화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이며, 정기적, 반복적,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가능한 2~3세부터 조기교육을 실시하여 안전의식과 태도를 일찍부터 습관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사, 운전기사, 학부모 등 관련된 사람들에게도 유아들의 교통안전에 관한 교육이 정기적으로 제공되어 유아들의 안전을 위하여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여야 한다.
1) 보행자 안전
걸어서 유아교육기관을 다니는 유아들도 보행자로서 지켜야 할 여러 가지의 규칙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1) 길을 걸을 때의 안전규칙
① 반드시 인도위로 걸어야 한다. 만약 인도가 없는 길이라면 차도로 걷되, 차를 등지지 말고 차들 오는 것을 볼 수 있는 쪽으로 걷는다.
② 앞을 똑바로 보고 걸어야 하며 뒤돌아보거나 장난하지 않는다.
③ 밝은 색의 옷을 입도록 한다. 밝은 색의 옷을 입어야 운전자의 눈에 쉽게 뛴다. 특히 비가 올 때는 노란색 우의를 입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④ 어두워진 후 길을 걸을 때는 빛을 받으면 색이 밝아지는 옷을 입어야 안전하다.
⑤ 등원시에는 항상 다니던 길로 다니는 것이 좋으며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어 서두루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⑥ 길의 좁은 골목에서 차도로 나올 때나 주차장에서 차들 사이를 빠져나갈 때는 뛰어 나가지 말고 차들 사이를 천천히 걸어 나와서 좌우를 살핀 다음 나간다.
⑦ 길가에 세워둔 자동차 곁을 지날 때에는 그 차가 후진을 하지 않는지, 막 출발하려고 하지 않는지, 또 누가 차문을 열고 나오지 않는지를 살핀 다음 얼른 지나간다.
⑧ 길이 구부러지는 곳이나 길모퉁이 등에서는 인도 위라도 빠른 속도로 뛰지 않는다.
⑨ 신호만 믿지 말고 건너는 사람들의 흐름을 따르게 교육한다.
(2) 길을 건널 때의 안전규칙
① 길을 건널 때는 횡단보도나 지하도, 육교 등을 이용한다.
②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보행자 신호가 녹색일 때 왼쪽, 오른쪽, 왼쪽을 바라보아 차가 엇거나 멈춘 것을 확인한 다음 차가 오는 쪽을 바라보면서 건넌다.
③자동차는 금방 멈출 수 없으며 멀리 있는 것 같지만 금방 내 가까이 올 수 있으므로 항상 기다렸다가 길을 건넌다.
④ 급하게 길을 건너려고 길로 뛰어들지 않는다.
⑤ 신호만 믿지 말고 건너는 사람들의 흐름을 따르게 교육한다.
⑥ 신호등에 깜빡거리는 점멸등이 켜지면 정지하도록 가르친다. 특히 야간에 건널
목 중앙에 멈추어 서는 것은 엇갈리는 자동차의 불빛 때문에 순간적인 증발현
상으로 사고를 당할 수 있으니 특별히 교육한다.
⑦ 손만 든다고 자동차가 100% 서지 않는다는 현실을 가르친다.
2) 승차안전
집에서나 유아교육기관에서나 유아들이 자동차를 이용할 때 지켜야 할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1)버스를 탈 때의 안전규칙
① 버스는 인도 위 또는 정해진 안전한 곳에 서서 기다리고 탄다.
② 버스를 탈 때는 버스가 완전히 멈춘 후 앞사람을 밀거나 당기지 말고 천천히 탄다.
③ 버스 안에서는 왔다 갔다 하지말고 자리에 앉아 안전벨트를 맨다.
④ 유아들이 떨어뜨려서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도록 종이나 책은 책가방에 넣도록 한다.
⑤ 버스 안에서는 큰 소리로 떠들거나 장난치지 않는다.
⑥ 버스 창 밖으로 머리나 손을 내밀지 않으며 쓰레기를 창 밖으로 버리지 않는다.
⑦ 버스를 내릴 때는 버스가 완전히 멈춘 후 안전벨트를 풀고 차례 차례 내린다.
⑧ 버스를 내릴 때는 앞사람을 밀지 않으며 계단을 건너 뛰어 내리지 않는다.
⑨ 버스를 오르거나 내릴 때 긴 치마를 입었거나 긴 코트를 입은 유아는 앞, 뒤 친구에게 옷자락이 밟히거나 버스의 계단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⑩ 버스에서 내릴 때 운전 기사의 시야 안에 들도록 한다.
⑪ 버스에서 내린 후 길을 건널 때에는 버스가 지나가기를 기다린 후 좌우 양쪽에서 차가 오지 않는지를 확인하고 건넌다.
⑫ 버스가 정지할 때 모든 다른 차들이 정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게 한다.
(2) 승용차 탈 때의 안전규칙
① 가능한 한 유아들은 뒷자리에 앉아서 의자 등 받침에 등을 바짝 대고 앉아 안전벨트를 맨다. 혼자서 앞자리에 앉는 것도 피해야하며 어른과 함께 앞자리에
아이들의 이러한 행동특성 외에도 교통사고의 원인은 성인들이 이러한 아이들의 행동특성을 파악하지 못한 부주의에서도 발생한다.
Ⅲ. 유아교육에서의 안전대책
우리나라에서 유아사망의 제 1원인이 교통사고라는 사실은 우리나라 유아들이 이러한 안전사고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있음을 입증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통계청,1997)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에게 자동차는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긴 하나 언제든지 우리를 다치게 할 수 있는 것임을 알려주고 따라서 길을 걷거나 건널 때, 차를 탈 때, 기타의 경우 필요한 교통 안전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하여 유아들이 자동차로부터 자신을 적극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유아 교통안전교육은 무엇보다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안전의식이 배양되고 행동양식이 변화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이며, 정기적, 반복적,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가능한 2~3세부터 조기교육을 실시하여 안전의식과 태도를 일찍부터 습관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사, 운전기사, 학부모 등 관련된 사람들에게도 유아들의 교통안전에 관한 교육이 정기적으로 제공되어 유아들의 안전을 위하여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여야 한다.
1) 보행자 안전
걸어서 유아교육기관을 다니는 유아들도 보행자로서 지켜야 할 여러 가지의 규칙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1) 길을 걸을 때의 안전규칙
① 반드시 인도위로 걸어야 한다. 만약 인도가 없는 길이라면 차도로 걷되, 차를 등지지 말고 차들 오는 것을 볼 수 있는 쪽으로 걷는다.
② 앞을 똑바로 보고 걸어야 하며 뒤돌아보거나 장난하지 않는다.
③ 밝은 색의 옷을 입도록 한다. 밝은 색의 옷을 입어야 운전자의 눈에 쉽게 뛴다. 특히 비가 올 때는 노란색 우의를 입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④ 어두워진 후 길을 걸을 때는 빛을 받으면 색이 밝아지는 옷을 입어야 안전하다.
⑤ 등원시에는 항상 다니던 길로 다니는 것이 좋으며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어 서두루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⑥ 길의 좁은 골목에서 차도로 나올 때나 주차장에서 차들 사이를 빠져나갈 때는 뛰어 나가지 말고 차들 사이를 천천히 걸어 나와서 좌우를 살핀 다음 나간다.
⑦ 길가에 세워둔 자동차 곁을 지날 때에는 그 차가 후진을 하지 않는지, 막 출발하려고 하지 않는지, 또 누가 차문을 열고 나오지 않는지를 살핀 다음 얼른 지나간다.
⑧ 길이 구부러지는 곳이나 길모퉁이 등에서는 인도 위라도 빠른 속도로 뛰지 않는다.
⑨ 신호만 믿지 말고 건너는 사람들의 흐름을 따르게 교육한다.
(2) 길을 건널 때의 안전규칙
① 길을 건널 때는 횡단보도나 지하도, 육교 등을 이용한다.
②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보행자 신호가 녹색일 때 왼쪽, 오른쪽, 왼쪽을 바라보아 차가 엇거나 멈춘 것을 확인한 다음 차가 오는 쪽을 바라보면서 건넌다.
③자동차는 금방 멈출 수 없으며 멀리 있는 것 같지만 금방 내 가까이 올 수 있으므로 항상 기다렸다가 길을 건넌다.
④ 급하게 길을 건너려고 길로 뛰어들지 않는다.
⑤ 신호만 믿지 말고 건너는 사람들의 흐름을 따르게 교육한다.
⑥ 신호등에 깜빡거리는 점멸등이 켜지면 정지하도록 가르친다. 특히 야간에 건널
목 중앙에 멈추어 서는 것은 엇갈리는 자동차의 불빛 때문에 순간적인 증발현
상으로 사고를 당할 수 있으니 특별히 교육한다.
⑦ 손만 든다고 자동차가 100% 서지 않는다는 현실을 가르친다.
2) 승차안전
집에서나 유아교육기관에서나 유아들이 자동차를 이용할 때 지켜야 할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1)버스를 탈 때의 안전규칙
① 버스는 인도 위 또는 정해진 안전한 곳에 서서 기다리고 탄다.
② 버스를 탈 때는 버스가 완전히 멈춘 후 앞사람을 밀거나 당기지 말고 천천히 탄다.
③ 버스 안에서는 왔다 갔다 하지말고 자리에 앉아 안전벨트를 맨다.
④ 유아들이 떨어뜨려서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도록 종이나 책은 책가방에 넣도록 한다.
⑤ 버스 안에서는 큰 소리로 떠들거나 장난치지 않는다.
⑥ 버스 창 밖으로 머리나 손을 내밀지 않으며 쓰레기를 창 밖으로 버리지 않는다.
⑦ 버스를 내릴 때는 버스가 완전히 멈춘 후 안전벨트를 풀고 차례 차례 내린다.
⑧ 버스를 내릴 때는 앞사람을 밀지 않으며 계단을 건너 뛰어 내리지 않는다.
⑨ 버스를 오르거나 내릴 때 긴 치마를 입었거나 긴 코트를 입은 유아는 앞, 뒤 친구에게 옷자락이 밟히거나 버스의 계단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⑩ 버스에서 내릴 때 운전 기사의 시야 안에 들도록 한다.
⑪ 버스에서 내린 후 길을 건널 때에는 버스가 지나가기를 기다린 후 좌우 양쪽에서 차가 오지 않는지를 확인하고 건넌다.
⑫ 버스가 정지할 때 모든 다른 차들이 정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게 한다.
(2) 승용차 탈 때의 안전규칙
① 가능한 한 유아들은 뒷자리에 앉아서 의자 등 받침에 등을 바짝 대고 앉아 안전벨트를 맨다. 혼자서 앞자리에 앉는 것도 피해야하며 어른과 함께 앞자리에
추천자료
[유아 안전교육][유치원 안전지도][유아교육][유치원교육][안전교육][안전지도]유아 안전교육...
아동안전-유아교육기관의 설비와 안전, 현장학습'견학시 안전, 화재안전, 교통안전
유아의 교통안전교육에 관한 고찰
유아 교통안전교육의 개요와 유아 교통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 - 교육의 개념 및 목표, 기본...
[아동안전관리] 영국의 유아교육의 이념, 영국의 유아교육기관의 종류, 영국의 교통안전교육,...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할 때 30분 이하의 교수학습과정안을 작...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할 때 필요한 30분이하의 교수학습 과정...
(교통안전교육) 영유아기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영유아들과 함께...
[유아교육]어린이 교통안전 - 어린이 교통사고 현황과 특성(유형) 및 사례, 어린이 교통안전...
영유아 이용시설(유치원, 어린이집 등)에서의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과 영유아 대상교육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