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의 역사 논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ams, 1603경~1683)가 1639년 로드 아일랜드주의 프로비던스(Providence, Rhode Island)에 세운 침례교회와 잔 클락(John Clarke) 이 1644년에 뉴포트(Newport)에 세운 침례교회이다. 1707년에는 필라델피아 침례교 연합이 조직되었다. 초기 식민지 미국에서 영국과 마찬가지로 침례교회는 박해를 받으며 성장했다. 대표적 박해의 사례로, 하버드대학교 초대 총장인 헨리 둔스터는 유아세례를 거부한다는 이유만으로 총장직에서 면직되고 그 식민지에서 추방되기도 했다. 그러나 양심의 자유와 정교분리의 정신으로 제퍼슨의 초기 미국 헌법의 기초를 이루는데 지대한 영향을 준 침례교회는 미국의 건국과 더불어 박해에서 벗어나 무한성장 할 수 있었다. 현재 미국 남침례회는 단일교파로는 개신교 중 세계에서 제일 큰 교파이며 가장 많은 해외 선교사를 파송한 교단이 되었다. 침례교회의 시작, 총회안내, 기독교 한국침례회 홈페이지
2) 한국 침례교회「침례교의 특징과 전개」(논문), 네이버 지식 iN
① 펜윅(Mr. Malcolm C. Fenwick)
펜윅은 1889년 캐나다의 독립선교사로 내한하였다. 그는 1894년에 한국순회선교회를 조직하고 1896년에 원산을 중심으로 침례교 선교사업을 시작하였다. 펜윅은 재정적으로 선교지원을 받지 못하는 독립선교사로 활동하였으나 독자적이며 독창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당시에 만주와 간도(間道)까지 선교사업을 확장하였을 정도로 그의 선교에 대한 열정은 남다른 것이었다. 1905년 제1회 총회를 가지면서 보급되어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총회”와 “기독교대한침례회연맹총회”의 두 그룹이 있었다. 이후 이는 “동아기독교”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② 해방 이후
동아기독교는 1949년 제9회 총회에서 교명을 대한기독교침례회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이 총회를 계기로 대한기독교침례회는 미국남침례회와 손을 잡고 많은 변모를 겪었다. 1952년 42회 총회에서 대한기독교침례회는 다시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으로 교명을 바꾸었다. 문제는 미남침례회의 선교 지원을 받으면서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은 서서히 분열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결국 내분이 표면화 되어 새로운 교단 기독교한국침례회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 분열로 인해 특히 기독교한국침례회 측은 선교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였다. 그러나 1968년 4월 소장파(小壯派) 목사들의 추진에 의해 두 개의 교단이 통합되어 “한국침례회연맹”이라는 교단이 출현하였다. 1976년 교명을 다시 “기독교한국침례회”로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에는 이밖에도 대한기독교침례회, 한국성서침례회, 그리고 대한선교침례회연합회라는 침례교 교단이 있다. 지도자 양성기관으로는 침례교 신학대학이 있다.
3) 침례교의 교리
① 반(反)신조주의 - 인간이 제정한 어떤 신조에도 매이기를 거절한다.
② 직해(直解)주의와 율법주의 - 칼빈주의적 침례교회는 신약을 해석함에 여자적(如字的)이며, 신자의 생활이란 율법에 매인 생활이라고 본다.
③ 유아세례를 거부한다. 침수(浸水) 세례가 교회의 흥망에 관계되는 중요한 것이다.
④ 인간적인 지도적 지위는 없으며 모든 교제가 완전한 영적 민주주의이다.
⑤ 만인(萬人)제사장주의이다.
Ⅲ. 결 론
이상으로 교회사에 있어서 중요하게 회자(膾炙)되는 6개의 교단역사와 그들의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2000여년에 걸친 교회사의 이야기는 어쩌면 양극의 대립이었다고 볼 수 있다. 기존세력과 신진(新進)세력의 의견 차이는 갈등으로 이어졌고, 이는 곧 빛과 어둠, 하늘과 땅이라는 진리와 비(非)진리의 기준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기존세력은 항상 신진세력을 억압했고, 투쟁에서 이긴 측은 또 기성세력이 되어서 다른 신진세력을 억압하는 악순환이 계속 되었다. 이런 역사는 인간의 본성이 보일 수 있는 정욕과 약점들을 적나라하게 노출시켰다. 그러나 결국 전파되는 것은 오직 그리스도였다.
오늘날 우리도 교회사에서처럼 이상한 광경과, 복음을 거절하는 이교도(異敎徒)들과, 교회 내에 있는 주도권의 다툼에서 많은 슬픔과 기쁨의 원인을 본다. 그러나 교회가 주님의 재림의 때까지 그 정복의 역사를 땅위에서 계속하리라는 것을 우리는 확신하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는 그리스도의 군대인 때문이다. 인간들의 교회는 계속적인 분열과 다툼 속에 있다고 할지라도 “하나님의 교회”의 살아있는 머리로서의 위대한 왕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다.
< 참고 도서 >
1.「신학사전」, 신학사전 편집위원회, 개혁주의신행협회, 1988.
2.「복음과 역사」, 김의환,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975.
3.「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서원, 성경사전편찬위원회, 1998.
4.「교파의 유래」, 심재원, 대한기독교서회, 1984.
5.「신앙의 뿌리」, 총회역사, 대한예수교장로회 홈페이지
6.「존 웨슬리의 생애」, 박춘희, 감리교자료, 기독교대한감리회 홈페이지
「감리교회와 속회(요약본)」, 감리교자료, 기독교대한감리회 홈페이지
7.「차트로 본 조직신학」, 박해경, 아가페문화사, 2004.
8.「기독교 연감」, 한국기독교 교회협의회, 1976.
9.「성결교회 신학의 역사와 특징」, 이신건 엮음, 성결신학연구소, 2000.
10.「세계기독교회사」, B.K카이퍼 著, 김해연 譯, 성광문화사, 1993.
11.「윌리엄 부스의 생애」, 구세군 대한본영 홈페이지
「역사」, 세계구세군, 구세군 대한본영 홈페이지
「역사」, 한국구세군, 구세군 대한본영 홈페이지
12.「기독교회사」, 윌리스턴워커 著, 송인설 譯,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13.「구세군」, 네이버 백과사전
「기독교 대한 하나님의 성회 총회」, 네이버 백과사전
「침례교의 특징과 전개」(논문), 네이버 지식 iN
14.「기독교 대한 하나님의 성회」,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야후 블로그
「오순절 영성과 구별되는 복음주의 영성의 현대적 조명」(5),
기독교윤리학, HEALER, 야후 블로그
16.「하나님의 성회의 성립」, 교단연감신학편, 교단연감,
기독교 대한 하나님의 성회 홈페이지
17.「침례교회의 시작」, 총회안내, 기독교 한국침례회 홈페이지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5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