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업중단 청소년
서론
1. 학교중퇴의 개념
학교중퇴는 중도탈락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학생이 다른 학교로 전학하는 과정 없이 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학업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Mcmillen,Kaufman &Whirtner, 1996; Whirter et al., 1998, 유성경 재인용). 이와 비슷하게 한글학회(1992)에서도 중도퇴학을 학생이 일정한 과정을 끝내지 않고 학교를 그만두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2. 학교중퇴자의 유형과 특성
1) 중퇴 유형
(1) 능동형 : 재학생이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퇴하는 경우이다. (원인: 취업 및 기술 습득, 검정고시 등)
(2) 도피형 : 학교 상황에서 탈출하기 위하여 뚜렷한 대안 없이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로써 자신이 부딪힌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퇴한 것이 아니라 더 이상 학교에 다니기 싫어서, 학교를 빠져나가 흥미로운 생활을 하고 싶어서 막연히 학교를 중퇴하는 경우이다(원인: 학교기피, 교칙위반, 성적불량, 교사기피, 불량교우, 학업태만, 급우로부터의 소외 등)
(3) 불가피형 : 학교를 이탈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중퇴한 경우로 집안형편상 계속 학업에 전념할 수 없는 경우, 심각한 비행으로 학교에서 제적을 당한 경우이다.
(원인: 가정빈곤, 결손가정, 강제퇴학 등)
2) 중퇴자의 특징 -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고, 학업성적이 부진하며, 부모들도 교육을 많이 받지 못해 대개 비숙련직에 종사하고 있다고 보고한다(Finn, 1987; Rambom, 1986). 뿐만 아니라 중퇴자들은 편모가정을 포함한 결손가정의 자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한다. 또 다른 연구(Barrington and Hendricks, 1989)에서는 중퇴생 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관심이 적거나 교육에 대한 지원도 많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중퇴생들은 가난한 가정의 자녀일 가능성이 높고 결석을 자주하며, 학업성적과 지능이 낮은 학생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결국 중퇴생은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교육적으로 불리한 환경이 만든 결과라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저소득 계층의 특징을 보이는 중퇴생과는 다른 유형의 중퇴생도 최근에 많이 증가하고 있다. 소위 신세대 중퇴생들은 저소득 계층에 속하기보다는 차라리 중산층에 가깝고 이들의 특징은 다양한 스트레스적 사건에 대한 적응력이 약하고 행동장앵나 학교에서의 성공을 방해하는 가정적인 불화를 가진 청소년들로 알려져 있다(Franklin and Streeter, 1992:43)
3. 학교중퇴의 원인
1) 가정적 원인
가정적 원인에는 크게 가정불화, 결손, 가정빈곤, 취직문제, 질병 등이 있다. 학교 중퇴는 가정 불화가 중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정신적으로 매우 예민한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들에게 가정의 불화는 마음의 큰 상처로 남을 수 있다. 가정에서 평안과 안식을 얻을 때 학교생활도 보다 원만하고 충실하게 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구조적 측면에는 결손, 이혼, 별거, 재혼과 같은 가족의 형태가 지적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나 중퇴를 경험한 가족구성원 존재, 부모의 음주나 폭력 문제 등의 기능적 측면도 중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가정의 경제적인 측면도 중퇴와 연관될 수 있는데 집안이 어려운 학생이 부유한 학생에 비해 중퇴를 할 확률이 3~4배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2) 학교적 원인(학교교육의 부적응)
학교적 원인에는 학교 교육에 대한 부적응으로 인해 중퇴를 한다. 그 이유로는 학업에 관련된 문제(성적 불량, 공부에 대한 싫증, 교칙위반 등)와 친구간의 갈등이나 폭력문제, 자신의 생활태도를 지적하는 선생님과의 갈등이나 불만 등이 있다.
3) 사회적 원인
사회적 원인으로는 조기유학과 이민, 학벌 중심의 교육풍토로 인해 검정고시를 준비하여 더 좋은 학교를 가려고 중퇴를 결심한다. 그 밖에도 취직이나 기술 습득을 위해 중퇴를 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입시위주 교육풍토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면서 부유층을 중심으로 조기 유학에 대한 열풍이 점점 거세지면서 중퇴가 늘고 있다. 2001년도에 유학이나 이민을 위해서 중퇴한 중학생 수는 2000년도에 비해 37%늘어났다.
<표1〉중고등학생의 유학생수 현황 (2001년도)
(단위 : 명)
연도 급별
중학생
고등학생
2000
3707
1906
2001
4376
1908
자료 : 문화일보 2002년 1월 18일자 보도
이상의 다양한 중퇴 원인들을 정리해 보면 〈표4〉과 같다. 중고등학교 공히 우리나라의 교육풍토와 학교에 대한 부적응이 중퇴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진로문제로 인해 더 큰 고민을 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표2〉중고교의 중퇴원인
중학교
일반계고교
실업계고교
공통요인
- 입시 위주의 교육
- 통제적억압적 교육풍토
- 가정문제 및 학교부적응
특수요인
- 사춘기의 심리적 방황
- 조기유학
- 입시에 대한 부담감
- 조기유학
- 진로에 대한 불안감
4. 법령과 경과
1) 초중등교육법(대안학교)
제76조 (특성화중학교)
①교육감은 교육과정의 운영 등을 특성화하기 위한 중학교(이하 \"특성화중학교\"라 한다)를 지정
서론
1. 학교중퇴의 개념
학교중퇴는 중도탈락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학생이 다른 학교로 전학하는 과정 없이 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학업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Mcmillen,Kaufman &Whirtner, 1996; Whirter et al., 1998, 유성경 재인용). 이와 비슷하게 한글학회(1992)에서도 중도퇴학을 학생이 일정한 과정을 끝내지 않고 학교를 그만두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2. 학교중퇴자의 유형과 특성
1) 중퇴 유형
(1) 능동형 : 재학생이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퇴하는 경우이다. (원인: 취업 및 기술 습득, 검정고시 등)
(2) 도피형 : 학교 상황에서 탈출하기 위하여 뚜렷한 대안 없이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로써 자신이 부딪힌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퇴한 것이 아니라 더 이상 학교에 다니기 싫어서, 학교를 빠져나가 흥미로운 생활을 하고 싶어서 막연히 학교를 중퇴하는 경우이다(원인: 학교기피, 교칙위반, 성적불량, 교사기피, 불량교우, 학업태만, 급우로부터의 소외 등)
(3) 불가피형 : 학교를 이탈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중퇴한 경우로 집안형편상 계속 학업에 전념할 수 없는 경우, 심각한 비행으로 학교에서 제적을 당한 경우이다.
(원인: 가정빈곤, 결손가정, 강제퇴학 등)
2) 중퇴자의 특징 -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고, 학업성적이 부진하며, 부모들도 교육을 많이 받지 못해 대개 비숙련직에 종사하고 있다고 보고한다(Finn, 1987; Rambom, 1986). 뿐만 아니라 중퇴자들은 편모가정을 포함한 결손가정의 자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한다. 또 다른 연구(Barrington and Hendricks, 1989)에서는 중퇴생 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관심이 적거나 교육에 대한 지원도 많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중퇴생들은 가난한 가정의 자녀일 가능성이 높고 결석을 자주하며, 학업성적과 지능이 낮은 학생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결국 중퇴생은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교육적으로 불리한 환경이 만든 결과라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저소득 계층의 특징을 보이는 중퇴생과는 다른 유형의 중퇴생도 최근에 많이 증가하고 있다. 소위 신세대 중퇴생들은 저소득 계층에 속하기보다는 차라리 중산층에 가깝고 이들의 특징은 다양한 스트레스적 사건에 대한 적응력이 약하고 행동장앵나 학교에서의 성공을 방해하는 가정적인 불화를 가진 청소년들로 알려져 있다(Franklin and Streeter, 1992:43)
3. 학교중퇴의 원인
1) 가정적 원인
가정적 원인에는 크게 가정불화, 결손, 가정빈곤, 취직문제, 질병 등이 있다. 학교 중퇴는 가정 불화가 중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정신적으로 매우 예민한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들에게 가정의 불화는 마음의 큰 상처로 남을 수 있다. 가정에서 평안과 안식을 얻을 때 학교생활도 보다 원만하고 충실하게 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구조적 측면에는 결손, 이혼, 별거, 재혼과 같은 가족의 형태가 지적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나 중퇴를 경험한 가족구성원 존재, 부모의 음주나 폭력 문제 등의 기능적 측면도 중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가정의 경제적인 측면도 중퇴와 연관될 수 있는데 집안이 어려운 학생이 부유한 학생에 비해 중퇴를 할 확률이 3~4배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2) 학교적 원인(학교교육의 부적응)
학교적 원인에는 학교 교육에 대한 부적응으로 인해 중퇴를 한다. 그 이유로는 학업에 관련된 문제(성적 불량, 공부에 대한 싫증, 교칙위반 등)와 친구간의 갈등이나 폭력문제, 자신의 생활태도를 지적하는 선생님과의 갈등이나 불만 등이 있다.
3) 사회적 원인
사회적 원인으로는 조기유학과 이민, 학벌 중심의 교육풍토로 인해 검정고시를 준비하여 더 좋은 학교를 가려고 중퇴를 결심한다. 그 밖에도 취직이나 기술 습득을 위해 중퇴를 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입시위주 교육풍토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면서 부유층을 중심으로 조기 유학에 대한 열풍이 점점 거세지면서 중퇴가 늘고 있다. 2001년도에 유학이나 이민을 위해서 중퇴한 중학생 수는 2000년도에 비해 37%늘어났다.
<표1〉중고등학생의 유학생수 현황 (2001년도)
(단위 : 명)
연도 급별
중학생
고등학생
2000
3707
1906
2001
4376
1908
자료 : 문화일보 2002년 1월 18일자 보도
이상의 다양한 중퇴 원인들을 정리해 보면 〈표4〉과 같다. 중고등학교 공히 우리나라의 교육풍토와 학교에 대한 부적응이 중퇴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진로문제로 인해 더 큰 고민을 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표2〉중고교의 중퇴원인
중학교
일반계고교
실업계고교
공통요인
- 입시 위주의 교육
- 통제적억압적 교육풍토
- 가정문제 및 학교부적응
특수요인
- 사춘기의 심리적 방황
- 조기유학
- 입시에 대한 부담감
- 조기유학
- 진로에 대한 불안감
4. 법령과 경과
1) 초중등교육법(대안학교)
제76조 (특성화중학교)
①교육감은 교육과정의 운영 등을 특성화하기 위한 중학교(이하 \"특성화중학교\"라 한다)를 지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