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역사적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해 역사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르는 '부처'란 범어(梵語)의 불타(佛陀 Buddha)를 우리 식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이를 줄여서 그냥 불(佛)이라고 하거나 여래(如來)라고 달리 표현하기도 하는데, '진리를 깨달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처음에는 석가여래라고도 하는 석가모니불만 있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처의 품격과 역할이 세분되면서 위와 같은 다섯 부처가 생겼다고 합니다. 이들 부처들은 자신의 깨달음과 바램을 손과 손가락 모양으로 나타내어 대중에게 알렸는데, 이를 수인(手印)이라고 합니다.
불상을 통해 표현된 수인은 그 종류가 꽤 많은 편이지만, 대표적인 수인 몇 개만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여원인(與願印) : 중생의 소원을 모두 이루어지게 한다는 뜻으로, 시원인(施願印) 혹은 여인(與印)이라고도 합니다. 손바닥을 내보이며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서 손끝이 땅바닥을 향하게 하는 모습이 보통이지만, 약지와 소지를 살짝 구부린 것도 많습니다. 삼국시대의 불상 중에는 오른 손으로 다른 수인을 나타내고, 왼 손으로는 여원인을 나타낸 불상이 많습니다.
② 시무외인(施無畏印) : 중생들이 두려움을 모두 떨쳐버리게 한다는 뜻으로, 손바닥을 내보이며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서 위로 어깨 높이까지 올린 모습입니다. 시무외인 역시 다른 수인과 함께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선정인(禪定印) : 무념무상(無念無想)의 참선(參禪)에 들어갔다는 뜻으로, 결가부좌한 채 왼손과 오른손의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부근에서 손가락을 살짝 겹쳐놓은 모습입니다.
④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석가모니가 고행 끝에 악마의 온갖 훼방을 물리치고 진리를 깨닫게 되는 순간을 표현한 것으로, 살짝 말아 쥔 오른손의 검지만 펴서 땅에 댄 모습입니다. 항마촉지인은 석가모니불의 독특한 수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⑤ 전법륜인(轉法輪印) : 부처가 설법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양손을 모두 편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의 끝을 서로 맞댄 뒤 가슴 가까이까지 들어올려 오른손 바닥은 밖을 향하게 하고, 왼손 바닥은 위를 향하게 한 형태입니다.
⑥ 지권인(智拳印) : 모든 번뇌에서 벗어나 부처의 지혜를 얻는다는 뜻으로, 주먹을 쥔 왼손을 검지만 곧게 편 채 가슴까지 들어올려 세운 뒤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려 왼손의 검지를 살짝 감싸 쥔 모습입니다. 지권인은 비로자나불의 대표적 수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⑦ 아미타정인(阿彌陀定印) : 서방정토(西方淨土), 곧 서쪽 극락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불이 사람들에게 그의 행실과 업을 알려준다는 뜻으로, 선정인에서 엄지와 검지, 혹은 엄지와 중지의 손끝을 맞대어 동그랗게 만든 모양입니다. 이때 양손의 검지 혹은 중지의 등이 서로 닿게 됩니다.
- 부처의 품격과 역할
위의 수인 가운데 ①·②·③·④·⑤는 보통 석가모니불상을 통해 자주 볼 수 있는 수인입니다. 석가모니불상(석가여래상)은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를 형상화한 것으로서,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불상입니다. 석가모니불이 있는 법당을 보통 대웅전(大雄殿)이라고 하는데, 석가모니불의 양옆에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 또는 관음보살(觀音菩薩)과 미륵보살(彌勒菩薩)을 둔 예가 많습니다. 보살은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하였으나, 깨달음을 추구하는 동시에 자비를 베푸는 일에도 열심인 일종의 수행자를 가리킵니다. 보살은 그 귀하고 자비로운 성격 때문에 화려한 모자[冠]를 쓰고 몸에 장식을 한 여성으로 표현되는 게 보통입니다. 부처는 원래 인간 세상에 나타나지 않는 법이기 때문에 인간을 접할 때에는 대개 보살을 시킨다고 합니다.
비로자나불(비로자나여래)은 부처가 설법한 진리가 우주에 가득 차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라고 합니다. 대일여래(大日如來)라고도 하는데, 통일신라시대에 크게 유행하였습니다. 비로자나불상은 보통 지권인을 하지만, 선정인을 한 것도 있습니다. 보통은 단독으로 봉안되며, 협시보살을 두는 경우에는 문수·보현보살을 대동한다고 합니다. 비로자나불상이 있는 법당을 흔히 대적광전(大寂光殿) 혹은 비로전(毘盧殿)이라고 합니다.
아미타불은 모든 중생을 구제하여 서방정토로 왕생케 하는 부처를 가리키는데, 무량광불(無量光佛)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고도 합니다. 아미타불상은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습니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아미타불상은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한 예가 많아서 석가모니불상과 구별하기 어려우며, 협시보살을 두는 경우에는 관음보살과 대세지(大勢至)보살을 대동한다고 합니다. 아미타불이 이른바 아미타정인을 취하게 된 것은 고려시대 이후의 일입니다. 아미타불이 있는 법당을 흔히 무량수전(無量壽殿) 또는 극락전(極樂殿)이라고 합니다.
약사불은 모든 질병과 무지(無知)까지 고쳐주는 부처로서,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도 합니다. 흔히 손에 둥근 약단지나 약병을 들고 있는데, 통일신라시대의 약사불은 항마촉지인을 한 것이 특징입니다. 약사불이 있는 법당을 약사전(藥師殿)이라고 합니다.
미륵불은 현재 도솔천(兜率天)에서 보살로 있지만, 56억 7천만년 뒤에는 이 세상에 나타나 구제되지 못한 중생을 다 구제한다는 미래의 부처를 말합니다. 삼국시대 말기부터 유행한 이른바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은 보통 미륵보살로 간주되는데, 이 미륵보살이 있는 법당을 미륵전(彌勒殿)이라고 합니다.
이밖에, 부처의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 가운데 관음보살상의 경우에도 단독으로 봉안되어 사람들의 예배를 받은 예가 많습니다. 중생들의 바램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 구제한다는 관음보살은 처음에는 큰 구슬을 든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나, 삼국시대 말기부터는 흔히 부처의 얼굴을 새긴 보관을 쓰고 정병(淨甁)을 든 모습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석가모니불이나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도 등장하지만, 혼자서 하나의 불전을 차지한 경우도 많은데, 이를 관음전(觀音殿) 또는 원통전(圓通殿)이라고 합니다.
발해에서는 특히 상경지역에서 관음상이 많이 발견되어 관음신앙이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발해의 관음보살상 중에는 생각에 잠긴 이른바 사유상(思惟像)이 적지 않은데, 모두 서있는 모습이라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5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