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의 이스라엘역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의 이스라엘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요단 계곡은 지구 표면에 거대한 단층을 구성하고 있는데 이 또한 지진의 조건으로 보인다.
제4장 이삭, 야곱, 요셉
1. 이삭(창25:9-26:35)
- 그에게는 용감한 행적이나 특이한 공로가 주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성경 전체에서 아브라함이나 야곱과 동등하게 평가 되고 있다.
(1) 야곱과 에서가 태어남(창25:21-34)
(2) 블레셋과의 관계(창26:1-33)
(3) 도적질한 축복
- 이삭은 장자 축복의 예식을 에성에게 행하기로 결정 하였다.
그러나 리브가는 야곱이 축복 받기를 원했다.
(4) 이삭의 인간성
- 이삭은 20년을 기다려 아이를 가질때까지 하나님을 계속 믿었다.
2. 야곱(창28:1-36:43)
- 그는 아브라함과 같이 행동의 인간 이었다.
(1) 하란으로의 탈출(창28:1-29:13)
- 야곱이 리브가의 고향으로 떠나기 전에 이삭은 야곱을 불러 그에게 더한 축복을 내렸다.
(2) 하란에서의 20년(창29:14-31:20)
① 야곱의 두 아내
- 야곱은 다시 라헬을 얻는 조건으로 7년을 더 일해야 했다.
② 야곱의 자녀
- 레아를 통해 낳은 자녀 :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스불론, 디나(딸)
- 빌하를 통해 낳은 자녀 : 단, 납달리
- 실바를 통해 낳은 자녀 : 갓, 아셀
- 라헬를 통해 낳은 자녀 : 요셉, 베냐민
③ 마지막 6년
- 야곱은 자신의 새 품삯으로 전부 희거나 전부 검은것을 제외한 나머지를 달라고 제안 하였다.
(3) 가나안으로 돌아옴(창31:21-33:20)
① 라반의 추적
- 라반은 야곱이 몰래 떠났음을 알고 몹시 분노 하였다.
그는 하란에서 적어도 275마일 떨어진 길르앗 산에 이르러서야 만날 수 있었다.
- 사건은 라반과 야곱 그 어느 누구도 서로 다시 해하지 않겠다는 언약으로 끝을 맺었다.
② 씨름의 상대
- 야곱은 하나님의 사자와 씨름을 하는동안 그의 적수가 인간이 아님을 깨닫고 따라서 그는 축복을 요청 하였다.
- 야곱은 하나님께서 계속 그와 함께 하신다는 보장을 받고 싶었고 사자는 이러한 보장을 약속 하였다.
③ 에서와의 만남
(4) 가나안으로 복귀(창34-36장)
(5) 변화된 인간 야곱
3. 요셉(창37-50장)
다.
(4) 성경 외의 사항들
- 애굽에도 기근이 알려져있고 이 기근 동안 양식 분배의 임무를 맡은 사람의 내용이 무덤 비문에 새겨져 있다.
(5) 야곱이 애굽으로 건너 가다(창42:1-47:11)
- 하나님께서는 그의 계획을 이루시기 위하여 이 사건들을 한데로 모아 역사 하셨다.
제5장 애굽에서의 체류와 출애굽 연대기
1. 애굽에서의 체류기간
(1) 430년을 뒷받침 히는 증거
① 출애굽기 12:40
- 히브리어 맛소라 사본에서 출애굽기 12:40 에 430년으로 기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② 창세기 15:13
-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예언 하신 것을 보면 그의 후손은 「이방나라」에서 「객」이 될 것이며 그 나라는 “400년동안 그들을 괴롭힐 것이라”고 되어 있다.
- 성경의 400이라는 숫자는 대략의 숫자이다.
(2) 215년을 뒷받침하는 증거
① 4 대
- 215년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모세의 계보가 적혀있는 출애굽기 6:16-20 에서 모세가 레위 증손자임을 지적 한다.
- 여기에 나열된 이름은 레위, 고핫, 아므람, 모세 이다.
② 교부들
- 터툴리안(Tertullian)같은 초기 교부들은 가끔 215년의 견해를 주장 하는 사람으로 인용된다.
2. 출애굽 연대
(1) 직접적인 성경의 증거
① 열왕기상 6:1
- 초기 연대에 대한 첫번째 이유는 솔로몬이 성전을 짓기 시작한 때보다 480년 앞서서 출애굽이 일어 났다는 왕상 6:1의 진술이다.
② 입다의 진술
- 두번째 이유로는 입다의 진술을 들수 있는데 그는 그 날 까지 이스라엘이 블레셋 땅에 300년간 거했다고 말 하고 있다.
(2) 성경외적인 고찰
① 비돔과 라암셋
- 13세기의 애굽역사와 성경 기록을 조화 시키는데에는 연대적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후기 연대 주장자들은 출 1:11의 건축 명령으로 부터 그들의 증거를 찾고 있다.
- 출1:11에서, 왕이 건축 하라고 명한 도시 이름을 라암셋이라 한것을 보면 이 사람은 분명 라암세스2세일 것이다.
- 제 19왕조 훨씬 전에 라암셋이라는 이름이 힉소스 왕들에 의해 이미 사용되었다는것이다
제6장 애굽에서의 생활
1. 애굽 통치의 4기간
⇒1. 주전 1991 - 주전 1786 : 제 12 왕조 ; 나라가 안정되고 왕은 최고의 권력으로 통치함
⇒2. 외국 백성이 애굽에 들어와 왕권을 잡았던 힉소스 왕조기간 ; 아바리스를 수도로 정함
⇒3. 제 18 왕조기간 ; 가장강한 시기 였음
⇒4. 제 19 왕조 기간 ; 전 팔레스틴과 남방 수리아를 총 지휘함
2. 애굽 사람의 생활
- 애굽 사람들은 나일강에 크게 의존 하여 이곳에 모여 살았다.
- 백성들은 많은 신을 섬겼는데 가끔 새나 동물들도 섬겼다.
- 국가신은 지방신만큼 개인 생활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3. 애굽에서의 야곱의 후손
- 야곱과 그의 가족들은 제 12왕조때 애굽에 도착 했다.
- 비옥한 고센땅을 받은 야곱의 후손 들은 하나님의 특별한 축복을 받아 번성 하였다.
- 대부분의 야곱의 아들들은 모여 살았으므로 고센땅을 완전히 채우도록 그들의 소유가 증대되었다.
4. 압박(출1:8-22)
(1) 노예화됨(출1:8-14)
- 고센땅 거주자에게 속박이 주어진 이유
1) 새 통치자는 “요셉”을 알지 못하였다.
2) 이스라엘은 힉소스 왕 보다 “수도많고 힘도 강하게”나타났다.
3) 전 왕조와 군사적 동맹을 일으킬것으로 보였다.
(2) 남자아기를 죽이라는 명령(출1:15-22)
- 빠른 증가를 제지 하려는 또다른 방법이 바로 모든 남자 아이를 죽이라는 명령이었다.
- 이 명령은 첫번째 단계인 히브리 산파들에게 모든 히브리 남자아이들이 출생 하는 즉시 죽이라는 명령이었고 두번째 단계로 모든 히브리 남자 아이들을 나일강에 던지라는 것이었다
5. 모세(출2:1-10)
(1) 초기의 가정(출2;1-10)
- 모세는 레위 자손인 아므람과 요게벳에게서 태어났다.
- 모세는 하나님의 아이로 표현된다.(출2:2-10)
(2) 바로의 딸 핫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5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