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미술치료-위축아동의 사회성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미술치료-위축아동의 사회성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함으로써 자기의 주체성을 찾고 자신을 통합해나가도록 돕고자 인간중심 미술치료를 기반으로 본 사례를 실행해 나가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사례는 경기도 과천의 일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부모들에게 가정통신문을 보내 아동의 대인관계향상을 희망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정서적사회적 고립척도, 학교 적응유연성을 측정한 후 점수가 낮은 아동들 중 8명을 선택하였다.
2. 치료기간
2005년 5월 12일~8월 30일 매주 목요일 오후 1시 ~ 2시 30분
총 17회기
3. 측정도구
투사검사로 동적 가족화(KFD), 동적 학교그림검사(KSD), 풍경구성법(LMT)을 사전사후검사로 비교하고, 부모를 통한 아동의 행동평가(도구 : K-CBCL)를 사전사후검사로 비교한다.
4. 미술치료프로그램 및 절차
본 프로그램은 단기 집단프로그램이므로 주제와 재료를 제시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매주 1회 총 18회에 걸쳐 실시하며 각 회기 당 진행예정시간은 60-90분이다.
운영방법은 사전준비단계, 초기단계, 중기단계, 종결단계로 구성하며, 매 회기마다 도입, 활동, 발표의 순서로 진행한다.
(1) 사전준비단계
프로그램의 진행계획, 기대효과 및 매체의 준비에 대한 사전 협의를 하였다.
먼저 2학년 학부모에게 가정통신문을 보내 집단미술치료의 목적을 알리고 신청을 받은 후 해당아동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척도, 정서적사회적 고립척도, 학교 적응유연성 척도 도구를 이용해 측정한 후 점수가 낮은 아동들 중 8명을 선택하였다.
(2) 프로그램 초기단계
집단구성원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에 익숙해 지는 것을 목표로 하여, 개인작업을 통해 자신을 탐색하고, 자신감과 자기 표현력을 향 상시키며, 타인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방법
먼저 개인작품을 만들고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고, 전지를 벽에 붙여 각각의 작품들을 붙이게 한 후 전체 작품의 제목과 느낌을 표현하게 하였다.
(3) 중기단계
공동작업을 통해 대인관계에 필요한 감정조망능력과 자기 조절력을 증진시켜 대인관 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협동심을 키우기 위하여 집단이 한 작품을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주로 구성하였다.

(4) 종결
긍정적인 자아상을 정립하고, 미래에 대한 준비를 위해 미래의 모습, 자신에게 주는 상장, 메달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회기
프로그램
목표
준비물
사전준비
초기
1
사전검사
( KFD, KSD)
행동관찰
사전진단
연필, 지우개, A4용지,
검사지
캠코더
2
규칙정하기
LMT
친밀감형성
자기소개
목걸이용 끈, 두꺼운 도화지
크레파스, 도화지
음악
3
점토로 마음대로 만들기
(개인 및 협동작업)
촉각을 통한 정서표현
자기표현력 향상
도화지, 크레파스, 색연필, 싸인펜
찰흙, 기타 꾸미기재료, 요지, 나무젓가락

4
집단 핑거페인팅
긴장이완
친밀감형성
도화지, 전지, 밀가루, 물감, 물통, 약간 넓고 움푹한 그릇
음악
5
습자지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