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언어 능력이 발달되면 의사소통이 가능하듯이 그림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어느 누구에게나 통하는 공동의 기호가 정해집니다. 그러므로 유아들이 그린 집, 사람, 태양 등을 언어로도 인식하여야 한다.
(1)기저선-도화지 아랫부분에 선을 긋는 것으로 땅 아래와 위, 공간을 나타낸다.
(2)사람-대인 관계, 자기 자신, 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3)집-간단한 집 그림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동을 표현한다.
(4)나무-바깥이라는 장소를 표현한다.
(5)꽃-꽃을 그림으로써 자신의 그림이 아름다워졌다고 생각한다.
(6)태양-그림의 위아래, 낮, 좋은 날씨 등을 나타낸다.
3)자기중심적 확대 표현
(1)미분화 표현-집보다 더 큰 꽃을 그리며 친구보다 꽃을 더 크게 그리기도 하고, 말 탄 사람을 그릴 때는 말 위에 붕 떠 있는 것같이 그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각각의 물건은 잘 알고 있으나 물건과 물건 간의 구성력이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자기중심적 표현
유아는 자신의 생활경험 속에서 가장 존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강하고 인상 깊게 느껴진 것, 자극적인 것, 자신의 욕구 등을 자신의 지각에 의해서 느낀 대로 솔직하게 그려서 표현한다.
(3)투시화표현
유아들을 자기중심적인 관찰에서 비롯된 비논리적인 표현을 하므로 그림을 그릴 때 객관적시각적인 사실을 표현하지 못한다. 관적이고 지각적인 측면에서 표현하기 때문에 원근법, 시각적인 통일성이 있는 현이 불가능 하다.그래서 크기의 비례는 상대적이며 물체와 물체와의 관계도 결여되어 있고 보이지 않는 부분도 모두 표현하는 X선식 그림이 나타난다.
(4)시점 이동 표현
시점 이동 표현은 실제 대상의 입체성을 무시하고, 그 기능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여 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물체의 실체나 입체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없는 대상들의 배경까지도 표현하는 것으로 시각의 위치를 바꾸면서도 아는 부분을 모두 표현하는 형식이다. 예를 들면 연못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를 그릴 때 처음에는 둥근 연못을 그린다. 이것은 위에서 본 연못 모양이다 .그러나 물속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는 거의가 옆면에서 본 곳을 그린다.
(5)동시표현
유아는 시간의 흐름을 동시에 표현하기 때문에 과거,현재,미래의 사건을 한 정의 도화지에 그린다. 예를 들면 아침에 일어나서 소풍가는 준비, 버스 타고 가는 것, 도착하여 노는 것 등을 모두 한 장의 그림으로 표현한다.
(6)지적도식표현
유아는 자신이 그리기 쉬운 방법으로 알고 있는 것을 모두 표현 한다. 만일 책상을 그린다면 책상을 네모로 그리고 다리는 책상모서리에서 사방에 뻗은 것 같이,또는 책상 아래쪽에 다리 4개 전부를 나란히 그린다. 즉 유나는 ‘책상은 네모이다’는 지각적인형태 파악이 주가 되며 책상 모서리에서 4개의 다리가 나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 형태를 기억해 버린다.
3.유아조형표현의 학자별 분류
1)Lowenfeld
①난화기(2~4세)
긁적거리는 신체 운동의 일부이며 자기표현의 첫단계이다.
초기에는
(1)기저선-도화지 아랫부분에 선을 긋는 것으로 땅 아래와 위, 공간을 나타낸다.
(2)사람-대인 관계, 자기 자신, 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3)집-간단한 집 그림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동을 표현한다.
(4)나무-바깥이라는 장소를 표현한다.
(5)꽃-꽃을 그림으로써 자신의 그림이 아름다워졌다고 생각한다.
(6)태양-그림의 위아래, 낮, 좋은 날씨 등을 나타낸다.
3)자기중심적 확대 표현
(1)미분화 표현-집보다 더 큰 꽃을 그리며 친구보다 꽃을 더 크게 그리기도 하고, 말 탄 사람을 그릴 때는 말 위에 붕 떠 있는 것같이 그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각각의 물건은 잘 알고 있으나 물건과 물건 간의 구성력이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자기중심적 표현
유아는 자신의 생활경험 속에서 가장 존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강하고 인상 깊게 느껴진 것, 자극적인 것, 자신의 욕구 등을 자신의 지각에 의해서 느낀 대로 솔직하게 그려서 표현한다.
(3)투시화표현
유아들을 자기중심적인 관찰에서 비롯된 비논리적인 표현을 하므로 그림을 그릴 때 객관적시각적인 사실을 표현하지 못한다. 관적이고 지각적인 측면에서 표현하기 때문에 원근법, 시각적인 통일성이 있는 현이 불가능 하다.그래서 크기의 비례는 상대적이며 물체와 물체와의 관계도 결여되어 있고 보이지 않는 부분도 모두 표현하는 X선식 그림이 나타난다.
(4)시점 이동 표현
시점 이동 표현은 실제 대상의 입체성을 무시하고, 그 기능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여 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물체의 실체나 입체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없는 대상들의 배경까지도 표현하는 것으로 시각의 위치를 바꾸면서도 아는 부분을 모두 표현하는 형식이다. 예를 들면 연못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를 그릴 때 처음에는 둥근 연못을 그린다. 이것은 위에서 본 연못 모양이다 .그러나 물속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는 거의가 옆면에서 본 곳을 그린다.
(5)동시표현
유아는 시간의 흐름을 동시에 표현하기 때문에 과거,현재,미래의 사건을 한 정의 도화지에 그린다. 예를 들면 아침에 일어나서 소풍가는 준비, 버스 타고 가는 것, 도착하여 노는 것 등을 모두 한 장의 그림으로 표현한다.
(6)지적도식표현
유아는 자신이 그리기 쉬운 방법으로 알고 있는 것을 모두 표현 한다. 만일 책상을 그린다면 책상을 네모로 그리고 다리는 책상모서리에서 사방에 뻗은 것 같이,또는 책상 아래쪽에 다리 4개 전부를 나란히 그린다. 즉 유나는 ‘책상은 네모이다’는 지각적인형태 파악이 주가 되며 책상 모서리에서 4개의 다리가 나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 형태를 기억해 버린다.
3.유아조형표현의 학자별 분류
1)Lowenfeld
①난화기(2~4세)
긁적거리는 신체 운동의 일부이며 자기표현의 첫단계이다.
초기에는
키워드
추천자료
그림책 동화책 읽어주기 유아3인이상 유아문학 활동계획안
유아의 미술발달 단계에서 켈로그(R,kellog)의 발달단계와 로웬펠드의 그림 발달단계에 대해...
영유아의 읽기와 쓰기 발달단계를 그림예시를 들어 설명하시오.
유아 문학활동을 통한 수학 교육과(의의, 필요성, 적용 방법, 효과) 그림책의 의의 필요성
판타지 그림책과 사실주의 그림책 중 유아들의 상상력을 더 자극시킬 수 있는 그림책은 어느 ...
유아가 볼 수 있는 성역할, 성평등에 관련된 그림책 혹은 동화책을 2권 찾아 내용을 요약한 ...
[정신건강]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정신장애(선택적 함구증)의 특징과 지도...
그림책을 활용하여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활동계획안을 작성
[아동문학] 연령별 특성(0-2세, 2-4세, 4-6세)에 맞는 그림책 1권씩 내용 정리 및 영유아들에...
[방통대 A+] 1학년 2학기 유아교육학과 정신건강 중간과제 공통형 :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
지능검사의 종류(분류) - 그림지능검사(PTI), 한국판 그림지능검사(KPTI), Fagan영아지능검사...
아동문학_​전래동화, 사실동화(생활동화), 정보그림책을 각각 한 권씩을 골라 소개...
도덕성 이론과 공정성 이론을 살펴 본 후 아동문학 교육이 유아의 도덕성과 공정성발달에 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