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분석의 틀 및 가설
Ⅳ. 연구결과의 분석
Ⅴ. 결 론

본문내용

영주체면에서는 비영리법인단체에서 설치하는 것을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외부환경과의 관계가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직 효과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행정관청의 지도감독과 지도 공무원의 전문성 및 시설운영위원회 설치운영과 타 복지시설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이 이용노인의 의뢰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직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도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강화와 타 복지시설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인력과 관련해서는 사회복지사생활지도원의 수가 많을수록 외부자원의 확보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전문인력을 확충하여 외부자원의 확보도 높이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운영과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서적
박차상 외, 『한국노인복지론』서울:학지사, 2002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 국고보조사업안내』, 2003년
성규탁,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 법문사, 1993
양창삼,『조직이론』서울:박영사, 1992
이창원ㆍ최창현, 『새조직론』대영문화사, 1996
장인협ㆍ이정호, 『사회복지행정론』이론과 실무,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한국노인복지회, 『재가노인복지사업 - 이론과 실제-』서울: 홍법제, 1997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편), 『재가노인복지서비스』,1999,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재가노인복지사업 메뉴얼』서울:재가노인복지협회, 2000
황진수, 현대복지행정론, 서울:대영문화사, 2003
황진수외, 고령화사회의 위기와 도전, 서울:나남, 1999
Smith, Gilbert., 『Social Work and Sociology of Organization』,장인협 역,
『사회복지조직론』, 서울:집문당, 1983
加藤博史外, 『高齡者福祉總論』, 京都:晃洋書房, 2003
福田志津枝, “高齡者をめぐゐ 諸問題”, 『これからの高齡者福祉』, 京都 :ミネルヴァ書房, 2002
加藤 美技,『老人福祉施設と 地域』, 東京 : 一橋出版, 2000
小國英夫, 『老人福祉槪論』, 東京 : 全國社會福祉協議會, 1998
長壽社會開發センタ, 『老人福祉のてびき』, 2000
小野瀨由外, 『介護 ビジネス』, 東京:同友館, 2001
Barnard, Chester I., The function of the Executive, Cambridge, Mass: Harvard
Univ.Press, 1983.
Ehler, W., Austin. M., & Prothero, J., Adminstration for the Human Service,
New York : Haper & Row Pub., 1976
Etzioni, A., Morgern Organiz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1964
Georgopoulos, B. S. and A. Matejko., \"The american general hospital as a complex social system,\" Health Service Research, 2, 1967
Hasenfeld, Y., Human Services as Complex Organization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Inc. 1992.
Hasenfeld, Y. Human Service Organiz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1983.
Mifingoff, M. L., Managemen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New Yor: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80.
Mohr, L.B, \"The concept of organization goal\"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7, 1973
NASW, Social Welfare Dictionary, 1987
Price, J.L.,Organiztional Effectiveness, Homewood: Richard D.IrWin, 1968
Robbins, Stephen P. Organization Theory: The structure and Design of Organizations,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1983.
2. 논문
권선진, “사회복지관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서울: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남기민,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쉽에 관한 연구”-중간관리층의 리더쉽 행동ㆍ상황 및 리더쉽 효과성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서울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논문, 1989
남기민, “한국사회복지조직의 분석:상황적합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제 17호, 1991
라운환, “한국장애인복지기관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광운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8
변영순, “보건소 가족계획실의 조직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박사학위논문, 1984
보건복지부,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추진, 2003
서상길, “재가노인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0
성규탁, “인간봉사조직체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 8호, 1986
여윤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이상윤, “행정조직문화 인식양태와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8
전채근, “재가노인복지 서비스 발전방안” 『노인복지연구』2002 여름호, 한국노인복지학회, 2002
정진영, “사회복지조직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서울: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최일섭 외 3인, “장애인복지관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서울:장애인재활협회, 1994
함철호, \"보건복지사무소의 조직효과성 평가연구\", 서울: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3. 기타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1. 12
통계청, 2000 인구주택총조사최종집계결과(여성ㆍ아동ㆍ고령자ㆍ1인가구부문), 2002.7
http://www.mohw.go.kr
  • 가격3,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0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