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성선설(性善說)
II. 성악설(性惡說)
III. 백지설(白紙說)
II. 성악설(性惡說)
III. 백지설(白紙說)
본문내용
고자 모두가 후천적인 환경에 의해 인간형성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고, 선천적인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대해 회의하였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고자의 이론은 인간의 본성이 여타의 다른 동물들의 본성과 특별히 다를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다만 인간이 인간다워지는 까닭은 성장과정을 통해 인간의 문화 전반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추천자료
- 존 로크의 생애와 교육사상, 현대적의의 및 비판, 주요저서
- [교수학습이론]유화이론과 헤르바르트
- 로크의 모든 것
- 로크의 교육관 및 루소와의 비교 ,대조
- 로크(John Locke)의 생애와 유아교육론
- 존 로크(1632~1704)
- 아동발달 연구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로크와 루소에 대해 이들의 철학 및 교육사상 그리고 ...
- 로크의 이론에 입각하여 유아기 습관형성을 위한 철저한 훈육에 대한 장단점에 대해서 논하시오.
- 보육사상가의 이론들을 간단히 비교하여 보고 토론하여 본인의 철학을 세워봅니다.
- 실학주의 교육 [서양교육사] 실학주의 교육의 발달과 특징, 실학주의의 유형, 코메니우스의 ...
- ★ 아동간호학 - 아동학대와 방임 ( 아동학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 (로크와 루소) 아동발달 연구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로크와 루소에 대해 이들의 철학 및 교...
- 천성 대 양육논쟁에 대해 로크와 루소 사이의 논쟁을 상상해보시오. 각 역사적 인물이 발표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