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해 정리해 보자.
- 첫째, 가족의 안녕을 먼저 생각하는 가장이 되었다. 예전에는 가족보다는 나라를 위해서 살아왔다면 이제는 가족의 안부와 생계를 책임져야할 입장이 되었다. 둘째, 노래를 부를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예전에는 누가 듣지 않더라도 옳다고 여기는 바를 떠들어댔으나 이제는 목소리를 낮추고 이야기를 주고받아야 하는 사회가 되었다. 좀더 이기적이고 현실적인 인간으로 변한 셈이다.
(2) 이 작품에서 ‘4.19가 나던 해 우리’를 검사측, ‘그로부터 18년 뒤의 우리’를 피고측으로 해서 재판 활동을 해 보자.
(3) 20년 후의 자기 모습을 상상하여, 친구들에게 그 미래의 모습을 발표해 보자.
2. 소설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갈래 : 단편 소설, 연작 소설, 사실주의 소설
- 성격 사회 고발적
- 시점 - 외부 이야기 : 작가 관찰자 시점, 내부 이야기 : 전지적 작가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1, 2, 3부가 각각 영수, 영호, 영희의 시점에서 서술됨.)
- 배경 시간적 - 1970년대 공간적 - 도시 외곽에 자리잡은 철거민촌
- 주제 : 도시 빈민이 겪는 삶의 고통과 좌절,
도시 변두리 빈민층과 부도덕한 부자들의 대립
- 갈등 못 가진 자(빈민층)와 가진 자(부도덕한 부자)의 대립
- 작품 해제 : 이 작품은 도시 빈민의 궁핍과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그리고 있는 작품으로서, 특히 노동자의 현실 패배가 우리 사회의 어떤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되고 있는가를 추적하고 있다. 사실 이 작품에 담겨 있는 소외된 도시 근로자의 여러 문제는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의 문제이다. 즉, 생존에 필요한 최저 수준에도 못 미치는 저임금, 열악한 작업 환경, 고용자로부터 강요되는 부당한 노동 행위, 노동 조합에의 탄압, 폭력으로 저항할 수밖에 없는 그들의 극한적 심리 상태, 그리고 가진 자들의 위선과 사치, 그들의 교묘한 억압 방법 등 산업 사회의 부정적 측면들이 제시되어 있다.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이러한 사회적 문제점을 불러일으키는 데에만 호소력을 지닌 게 아니라 문학만이 가능한 정서적인 면을 강하게 갖고 있다. 이를 통해 현실 제시라는 반영적(反映的) 기능과 암시와 함축이라는 정서적(情緖的) 기능을 모두 만족시킨다.
작가는 난쟁이 일가로 대변되는 가난한 소외 계층과 공장 근로자들의 삶의 조건과 모습을 파헤침으로써 70년대 이 사회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였던 우리의 노동 현실을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있다. 여기에 과거와 현재의 중첩, 환상적인 분위기의 조성, 시점의 잦은 이동 등의 기법적 새로움과 함께 서정적인 아름다움까지 보여 준다.
이 작품이 속한 연작 12편의 제목은, ‘뫼비우스의 띠’, ‘칼날’, ‘우주 여행’,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육교 위에서’, ‘궤도 회전’, ‘기계 도시’, ‘은강 노동 가족의 생계비’,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 ‘클라인씨의 병’,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에필로그’ 등이다.
(1) 이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난쟁이’의 상징적 의미를 정리해 보자.
-난쟁이는 197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 생산, 소비 및 분배 구조 속에서 억압, 소외 받는 계층의 ‘작아진 삶’을 신체적 불구성으로 보여 주는 상징적 기호다. 이 ‘난쟁이’는 당시 사회에서 소외 받던 민중을 대표하고 있다.
(2) 이 작품에서 ‘천국에 사는 사람들은 지옥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 표현의 의미를 우리의 일상 생활 주변에서 찾아보자.
□ 깊이 보기
1. [가]와 [나]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가] 릴케 ‘말테의 수기’
-작품 해제 : 1910년에 발표된 릴케의 소설.
덴마크 귀족의 후손인 고아 말테가 시인이 되려고 파리에 가서 고립된 생활 속에서 쓰는 수기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일관된 줄거리는 없고, 관찰,성찰,기억에 의한 산문시와 비슷한 단편이 몇 가지 주제로 엮어져 있다. <파리의 인상> <죽음> <시와 고독> <소년시절의 추억> <사랑> <신(神)> <베네치아 여행> <탕아(蕩兒)의 전설>과 같은 주제에 관해 주인공 말테의 감상이 서술되어 있다.
제1부에는 릴케 자신의 파리 경험이 강하게 반영되어, 대도시의 현실에 노출된 인간의 고독하고 불안한 생의 실상이 죽음에 대한 공포감, 유,소년기의 불안하고 불가사의한 생의 체험과 어우러져 있으며, 현상(現象)세계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이 추구되어 있다.
제2부에서는 역사,전설상의 인물이 거론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상대를 소유하지 않는 사랑을 하며 살아 위대하게 된 여성을 찬양하고 있다. 결말에서는 성서의 <탕아>가 <사랑받는 것을 거부한 자>로 해석되어 생과 사랑의 양상의 개변(改變)을 암시하는데, 말테의 운명이 불확실한 상태로 수기가 끝난다. 즉물적(卽物的)이고 딱딱한 문장에 의한 단창(斷章)으로써 모티브를 음악적으로 엮어 나가면서, 통일적인 상(像)을 상실하고 해체되고 있는 현실의 깊숙한 곳에 별개의 현실을 추구하여 세계상(世界像)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이 소설은, 19세기의 사실주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현실성을 추구하는 20세기 소설의 선구가 되었다.
[나] 김만수 ‘1950년대 귀향소설 연구’
(1) [가]에서 ‘사람들은 살기 위해 이 도시로 온다. 그런데 ... 죽어 가고 있는 것 같다.’의 의미를 설명해 보자.
- 사람들이 살기 위해 도시로 온다고 했을 때, 산다는 의미는 생계 유지의 의미가 강하다. 농촌에서는 일자리가 부족하고 사람답게 살만한 문화적 여건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에 사람들은 일자리와 생활의 편의를 위해서 도시로 몰려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죽어가고 있다는 의미는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자 못한다는 의미이다. 비록 생계의 문제는 해결 되었다 하더라도 사람은 밥으로만 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도시에서 맛볼 수 없는 인간다운 삶을 도시화와 현대 문명이 점점 파괴하고 있기 때문에 농촌 공동체에서 누릴 수 있었던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정과 삶의 의미들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2) [나]의 관점에서 대도시의 삶을 묘사하고 있는 작품을 찾아 읽고, ‘도시와 인간’을 주제로 토론해 보자.
- 첫째, 가족의 안녕을 먼저 생각하는 가장이 되었다. 예전에는 가족보다는 나라를 위해서 살아왔다면 이제는 가족의 안부와 생계를 책임져야할 입장이 되었다. 둘째, 노래를 부를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예전에는 누가 듣지 않더라도 옳다고 여기는 바를 떠들어댔으나 이제는 목소리를 낮추고 이야기를 주고받아야 하는 사회가 되었다. 좀더 이기적이고 현실적인 인간으로 변한 셈이다.
(2) 이 작품에서 ‘4.19가 나던 해 우리’를 검사측, ‘그로부터 18년 뒤의 우리’를 피고측으로 해서 재판 활동을 해 보자.
(3) 20년 후의 자기 모습을 상상하여, 친구들에게 그 미래의 모습을 발표해 보자.
2. 소설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갈래 : 단편 소설, 연작 소설, 사실주의 소설
- 성격 사회 고발적
- 시점 - 외부 이야기 : 작가 관찰자 시점, 내부 이야기 : 전지적 작가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1, 2, 3부가 각각 영수, 영호, 영희의 시점에서 서술됨.)
- 배경 시간적 - 1970년대 공간적 - 도시 외곽에 자리잡은 철거민촌
- 주제 : 도시 빈민이 겪는 삶의 고통과 좌절,
도시 변두리 빈민층과 부도덕한 부자들의 대립
- 갈등 못 가진 자(빈민층)와 가진 자(부도덕한 부자)의 대립
- 작품 해제 : 이 작품은 도시 빈민의 궁핍과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그리고 있는 작품으로서, 특히 노동자의 현실 패배가 우리 사회의 어떤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되고 있는가를 추적하고 있다. 사실 이 작품에 담겨 있는 소외된 도시 근로자의 여러 문제는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의 문제이다. 즉, 생존에 필요한 최저 수준에도 못 미치는 저임금, 열악한 작업 환경, 고용자로부터 강요되는 부당한 노동 행위, 노동 조합에의 탄압, 폭력으로 저항할 수밖에 없는 그들의 극한적 심리 상태, 그리고 가진 자들의 위선과 사치, 그들의 교묘한 억압 방법 등 산업 사회의 부정적 측면들이 제시되어 있다.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이러한 사회적 문제점을 불러일으키는 데에만 호소력을 지닌 게 아니라 문학만이 가능한 정서적인 면을 강하게 갖고 있다. 이를 통해 현실 제시라는 반영적(反映的) 기능과 암시와 함축이라는 정서적(情緖的) 기능을 모두 만족시킨다.
작가는 난쟁이 일가로 대변되는 가난한 소외 계층과 공장 근로자들의 삶의 조건과 모습을 파헤침으로써 70년대 이 사회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였던 우리의 노동 현실을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있다. 여기에 과거와 현재의 중첩, 환상적인 분위기의 조성, 시점의 잦은 이동 등의 기법적 새로움과 함께 서정적인 아름다움까지 보여 준다.
이 작품이 속한 연작 12편의 제목은, ‘뫼비우스의 띠’, ‘칼날’, ‘우주 여행’,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육교 위에서’, ‘궤도 회전’, ‘기계 도시’, ‘은강 노동 가족의 생계비’,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 ‘클라인씨의 병’,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에필로그’ 등이다.
(1) 이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난쟁이’의 상징적 의미를 정리해 보자.
-난쟁이는 197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 생산, 소비 및 분배 구조 속에서 억압, 소외 받는 계층의 ‘작아진 삶’을 신체적 불구성으로 보여 주는 상징적 기호다. 이 ‘난쟁이’는 당시 사회에서 소외 받던 민중을 대표하고 있다.
(2) 이 작품에서 ‘천국에 사는 사람들은 지옥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 표현의 의미를 우리의 일상 생활 주변에서 찾아보자.
□ 깊이 보기
1. [가]와 [나]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가] 릴케 ‘말테의 수기’
-작품 해제 : 1910년에 발표된 릴케의 소설.
덴마크 귀족의 후손인 고아 말테가 시인이 되려고 파리에 가서 고립된 생활 속에서 쓰는 수기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일관된 줄거리는 없고, 관찰,성찰,기억에 의한 산문시와 비슷한 단편이 몇 가지 주제로 엮어져 있다. <파리의 인상> <죽음> <시와 고독> <소년시절의 추억> <사랑> <신(神)> <베네치아 여행> <탕아(蕩兒)의 전설>과 같은 주제에 관해 주인공 말테의 감상이 서술되어 있다.
제1부에는 릴케 자신의 파리 경험이 강하게 반영되어, 대도시의 현실에 노출된 인간의 고독하고 불안한 생의 실상이 죽음에 대한 공포감, 유,소년기의 불안하고 불가사의한 생의 체험과 어우러져 있으며, 현상(現象)세계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이 추구되어 있다.
제2부에서는 역사,전설상의 인물이 거론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상대를 소유하지 않는 사랑을 하며 살아 위대하게 된 여성을 찬양하고 있다. 결말에서는 성서의 <탕아>가 <사랑받는 것을 거부한 자>로 해석되어 생과 사랑의 양상의 개변(改變)을 암시하는데, 말테의 운명이 불확실한 상태로 수기가 끝난다. 즉물적(卽物的)이고 딱딱한 문장에 의한 단창(斷章)으로써 모티브를 음악적으로 엮어 나가면서, 통일적인 상(像)을 상실하고 해체되고 있는 현실의 깊숙한 곳에 별개의 현실을 추구하여 세계상(世界像)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이 소설은, 19세기의 사실주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현실성을 추구하는 20세기 소설의 선구가 되었다.
[나] 김만수 ‘1950년대 귀향소설 연구’
(1) [가]에서 ‘사람들은 살기 위해 이 도시로 온다. 그런데 ... 죽어 가고 있는 것 같다.’의 의미를 설명해 보자.
- 사람들이 살기 위해 도시로 온다고 했을 때, 산다는 의미는 생계 유지의 의미가 강하다. 농촌에서는 일자리가 부족하고 사람답게 살만한 문화적 여건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에 사람들은 일자리와 생활의 편의를 위해서 도시로 몰려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죽어가고 있다는 의미는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자 못한다는 의미이다. 비록 생계의 문제는 해결 되었다 하더라도 사람은 밥으로만 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도시에서 맛볼 수 없는 인간다운 삶을 도시화와 현대 문명이 점점 파괴하고 있기 때문에 농촌 공동체에서 누릴 수 있었던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정과 삶의 의미들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2) [나]의 관점에서 대도시의 삶을 묘사하고 있는 작품을 찾아 읽고, ‘도시와 인간’을 주제로 토론해 보자.
추천자료
쿠바 문화의 기원과 쿠바 문학
『사이버 문화, 하이퍼텍스트 문학』이론편을 읽고 감상문을 쓰시오.
[문학과 여성상 ]문화 작품 속에서 여성상에 대한 분석과 비평 및 우리의 견해
[독일, 독일정치, 독일경제, 문화, 예술, 정치, 경제, 문화, 예술] 독일 분석 고찰 - 개관, ...
[루마니아][루마니아문화][루마니아의 문화][차우세스코 무덤][경제]루마니아의 역사, 루마니...
[스페인][스페인문화][스페인의 문화][스페인 수도][문학][바르셀로나]스페인의 역사, 스페인...
[북한][북한문화][북한의 문화]북한의 관혼상제와 북한의 의례생활, 북한의 여가생활 및 북한...
[외국문학의이해A+] 중국시와 성문화
[상상력과 문학 A공통] 일원론/이원론과 다문화주의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시오
[1960년대, 연극, 문학, 미술, 한국화, 팝음악, 패션]1960년대의 연극, 1960년대의 문학, 196...
왕멍의 단편 문학 1980년대의 중국 문학견고한 죽 , 밤의 눈, 나비 ,반우파 투쟁, 문화대혁...
고대 그리스 문화 (신화, 문학, 예술, 철학, 역사)
김동인의 생애와 자연주의적 문화관-감자 [성장환경이 문학관에 미친 영향]
[문학교육론] 홍길동전에 담긴 전통문화 - 조선시대의 신분제도, 한국의 영웅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