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찰의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는 등 여타 사회생활과 마찬가지 로 조직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시민들은 막상 경찰조직을 상호의존이나 협동의 개 념을 넘어 경찰관들끼리 뭉치는 폐쇄적 조직으로 볼 수 있다. 민주사회가 경찰에 요구하는 것은 고유한 직분에 대한 충성이지 동료에 대한 충성은 아니지만, 시민사회가 동료들간의 충성과 의리를 허용하는 이유는 경찰의 고유한 직 분을 더 잘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경찰조직 내에서의 충성의 가치는 공공의 자유와 안전을 보호하는 경찰기능에 있다. 경찰조직에 대한 충성이나 상사나 동료에 대한 충성은 모든 공동체가 부여한 경찰직 분에 맞고 궁극적으로 시민을 위한 것일 때 허용되는 것이다. 수사권 독립논쟁에서 경찰관들은 대동 단결하여 조직에 충성을 보였다. 이러한 조직에 대한 충성이 빛나고 바람직하려면 수사권독립이 경찰직분의 충실을 통해서 시민사회에 대한 봉사로 나타 나야 한다. 상사나 동료에 대한 충성도 경찰 본연의 직분에의 충실로 진행될 때 의미 가 있고 가치가 있는 것이다. 경찰조직 내에 바람직하지 않은 충성의 예가 많다. 자기는 비리에 가담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동료의 비리를 묵인하는 경우나 공적 근무시간에 상사의 개인적 일을 돌봐 주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경찰조직이 부정행위를 내부적으로 보호해 주는 폐쇄적 조 직으로 변할 때, 즉 충성이 사기적 덕목으로 변할 때 경찰조직은 시민사회로부터 외 면당하게 될 것이다. 상사의 명령에 무조건 따르는 것이 충성이 아니라 대의를 위해 반대를 할 때 그것은 충성스런 반대가 된다. 경찰의 충성은 개인보다는 조국에, 조직보다는 국민에 이루어져야 한다. 조직이나 개 인에 대한 충성은 미시적 충성이고, 국가와 국민에 대한 충성은 거시적 충성이므로 양자가 충돌할 경우 거시적 충성이 앞서야 한다.
4. 경찰의 냉소주의 (1) 냉소주의의 의의 냉소주의는 대개 도덕적 의심에 근거한 불신을 반영한 것으로 대상이 특정되어 있지 않고 정치 일반, 경찰제도 전반에 대하여 아무런 근거 없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서 대상을 개선시키겠다는 의지가 없다.
(2) 냉소주의와 회의주의 미국의 니더호퍼는 냉소주의가 자신의 신념체제가 붕괴되었지만 새로운 것에 의해 대체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아노미(anomie)현상이라고 보았다. 회의주의는 냉소주의와 마찬가지로 불신을 내용으로 하지만 대상이 특정화되어 있 고, 특정 대상을 합리적으로 의심하는 것이다. 그러나 냉소주의와 달리 건전한 회의주 의는 대상을 개선시키겠다는 의지가 있다. 냉소주의는 회의주의와 차이가 있는 바, 회의주의(skepticism)는 개별적 사안에서 합 리적 의심을 하여 비판을 하는 것이고, 냉소주의(cynicism)는 합리적 근거없이 사회에 대한 신념의 결여로 인해 생겨난다.
(3) 냉소주의의 원인 조직적 냉소주의는 공중의 생활이 위선으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할 때, 그리고 경찰 조직이 하급직원에 대하여 무리한 요구를 할 때 나타난다. 냉소주의는 경찰관이 공중이 도덕적으로 타락하였다고 생각하거나 상부의 지시가 부 당하다고 생각될 때 나타난다.
(4) 냉소주의의 병폐 냉소주의는 극단적이고 객관성이 결여되어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문화를 주장한다. 냉소주의는 경찰관의 충성을 도덕적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조직에 대한 반발과 일 탈현상을 초래한다. 냉소주의는 경찰의 전문직업화를 저해할 수 있다. 냉소주의의 가장 심각한 병폐는 그것이 우리들이 냉소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사용하 는 수단 자체를 감염시켜 버린다는 사실이다.
(5) 냉소주의의 극복방안 상사와 부하의 신뢰회복 의사소통(communication)과정의 개선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 Y이론에 입각한 행정관리
Ⅲ. 結 1. 경찰문화의 발전 방향 새로운 역사의 패러다임에 걸맞게 경찰문화도 부정적인 경찰관료문화의 구태를 벗고 민주시민사회에 맞게 전환되어야 한다. 즉, 치안서비스의 지향가치가 시민에게로 향 하면서 시민의 치안서비스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직무의 기술과 방법의 부단한 개발, 조직 내 인간의 창의력과 자발성이 존중되어 근무의욕이 솟는 조직, 봉사함으로써 직무만족이 커지고 자아실현이 가능한 집단으로서의 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주창되는 참여·책임·자율 등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경찰문화를 확립하는 것은 개개인경찰 인의 노력에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해 조직 내에 상호간에 대한 인간존중, 상하간의 격 이 없는 토론, 자기 직업에 대한 명확한 위치설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7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