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영적인 사람으로 만든다.
그리스교의 영성의 원천은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과 신학과 설교이다. 성령은 바로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을 통해 역사 하신다.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을 떠나서 얻어지는 영성은 그리스도교의 바른 영성이 아니다. 깊은 영성과 바른 영성을 갖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과 깊이 접맥되어야 한다. 또한 영성 훈련을 지도하는 지도자들 역시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바른 영성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교의 영성의 원천이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과 신학과 설교라고 할 때 오늘날 한국교회의 큰 약점은 위의 것들이 영성의 결정적인 원천이라는 점을 잘 알지 못하는 것과 위의 것들 중 신학의 중요성을 거의 모르는데 있다. 영성신학의 결여는 바른 영성 계발의 실패로 나타난다.
2) 주님의 몸된 교회
그리스도의 영성은 일반적으로 교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얻어진다. 교회 공동체가 그리스도교 영성의 원천이다. 복음주의적 교회는 선교적 영성을 성도들에게 심어주고 사회봉사적 교회는 섬김의 영성을 성도들에게 심어준다. 또한 오순절적인 교회는 오순절적 영성을 성도들에게 심어준다. 교회는 그리스도인을 양육하는 성령의 도구이고, 이런 까닭에 교회는 성도들의 어머니인 동시에 성도들의 영성의 원천이다.
교회의 설교와 예배와 교육은 성도들의 영성을 직접적으로 형성시키는 성령의 도구이다. 설교가 성도들의 영성의 중요한 원천이라는 것은 이미 언급했지만 설교뿐만 아니라 예배 때의 찬양을 포함한 모든 것이 성도들의 영성의 원천이다. 성도들은 찬양을 통해 영성이 깊어지고 영적인 사람으로 거듭난다.
교회의 교육과 친교 역시 성도들의 영성을 형성시키는 결정적인 중요한 성령의 도구들이다. 교회의 바른 교육은 바른 영성을 심어주고 거룩한 성도들과의 사귐은 거룩한 꿈을 갖게 하고 거룩한 삶을 사랑하게 만든다. 그리스도인의 영성이 어느 날 갑자기 산 속에서 불을 받아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산상집회 같은 것이 영성 형성에 어떤 계기를 마련해 줄 수는 있어도 성숙한 신앙인의 길은 교회의 바른 설교에서 시작되고 바른 교육에서 체계화 된다. 그리고 거룩한 성도들과의 사귐이 영성이 활성화 되고 깊어지는 통로라는 점 역시 깊이 인식해야 한다. 순교자들의 공동체는 그리스도를 위해 죽을 수 있는 영성이 살아 움직였던 공동체였다.
3) 영적 호흡인 기도
그리스도인의 영성은 성서라는 객관적 표준에 대한 깊은 이해와 교회라는 공동체의 도움과 개인의 기도생활이라는 개인적 경험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스도인들은 기도생활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과 영혼을 정화하고 거룩한 마음을 품고 하나님의 일을 할 만 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성장되는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인들은 기도생활을 통해서 성령의 능력을 얻고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하는 하나님의 능력과 도움에 대한 깊은 확신에 이르게 된다.
명상은 기도생활의 한 부분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명상하면서 그리스도의 은혜의 깊이를 깨닫게 되고 그리스도의 온전함에 이르기 위한 영적인 노력을 경주하게 된다. 또한 그리스도인들은 깊은 고난 속에서 구원을 기다리는 오늘의 세계와 역사적 현실을 깊이 명상하면서 자신을 찾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게 된다. 그러므로 명상은 영적인 깊이를 더하게 하는 중요한 영성생활의 일부이다.
영성신학은 듣는 것(명상)과 요구하는 것(얻으려는 것)의 균형을 영성의 중요한 두 개의 기둥으로 생각했다. 기도생활에는 듣는 것과 요구하는 것의 균형이 중요하다 기도는 근본적으로 하나님과의 만남이고 이 하나님과의 만남 속에서 그리스도인은 참으로 영적인 사람으로 성숙하게 되는데, 만남은 언제나 상호간의 대화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먼저 들어야 하고 동시에 자신의 원하는 바를 하나님께 전해야 한다.
3. 영성의 특징
그리스도교의 영성의 구체적 모습이 무엇일까? 영성이란 대단히 막연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 막연한 영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엇일까? 그리스도교의 영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의 두 가지가 그 핵심이다.
1) 믿음의 영성
믿음은 그리스도교의 영성의 핵이다. \"할 수 있거든 이 무슨 말이냐 믿는 자에게는 능치 못할 일이 없느니라\"(막 9:23) \"믿음으로 저희가 홍해를 육지같이 건넜으나 애굽사람들은 이것을 시험하다 빠져 죽었으며 믿음으로 칠일동안 여리고를 두루 다니매 성이 무너졌으며\"(히 11:29-30). 믿음은 홍해를 가르고 마귀를
그리스교의 영성의 원천은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과 신학과 설교이다. 성령은 바로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을 통해 역사 하신다.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을 떠나서 얻어지는 영성은 그리스도교의 바른 영성이 아니다. 깊은 영성과 바른 영성을 갖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과 깊이 접맥되어야 한다. 또한 영성 훈련을 지도하는 지도자들 역시 이 하나님의 말씀의 방편들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바른 영성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교의 영성의 원천이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과 신학과 설교라고 할 때 오늘날 한국교회의 큰 약점은 위의 것들이 영성의 결정적인 원천이라는 점을 잘 알지 못하는 것과 위의 것들 중 신학의 중요성을 거의 모르는데 있다. 영성신학의 결여는 바른 영성 계발의 실패로 나타난다.
2) 주님의 몸된 교회
그리스도의 영성은 일반적으로 교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얻어진다. 교회 공동체가 그리스도교 영성의 원천이다. 복음주의적 교회는 선교적 영성을 성도들에게 심어주고 사회봉사적 교회는 섬김의 영성을 성도들에게 심어준다. 또한 오순절적인 교회는 오순절적 영성을 성도들에게 심어준다. 교회는 그리스도인을 양육하는 성령의 도구이고, 이런 까닭에 교회는 성도들의 어머니인 동시에 성도들의 영성의 원천이다.
교회의 설교와 예배와 교육은 성도들의 영성을 직접적으로 형성시키는 성령의 도구이다. 설교가 성도들의 영성의 중요한 원천이라는 것은 이미 언급했지만 설교뿐만 아니라 예배 때의 찬양을 포함한 모든 것이 성도들의 영성의 원천이다. 성도들은 찬양을 통해 영성이 깊어지고 영적인 사람으로 거듭난다.
교회의 교육과 친교 역시 성도들의 영성을 형성시키는 결정적인 중요한 성령의 도구들이다. 교회의 바른 교육은 바른 영성을 심어주고 거룩한 성도들과의 사귐은 거룩한 꿈을 갖게 하고 거룩한 삶을 사랑하게 만든다. 그리스도인의 영성이 어느 날 갑자기 산 속에서 불을 받아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산상집회 같은 것이 영성 형성에 어떤 계기를 마련해 줄 수는 있어도 성숙한 신앙인의 길은 교회의 바른 설교에서 시작되고 바른 교육에서 체계화 된다. 그리고 거룩한 성도들과의 사귐이 영성이 활성화 되고 깊어지는 통로라는 점 역시 깊이 인식해야 한다. 순교자들의 공동체는 그리스도를 위해 죽을 수 있는 영성이 살아 움직였던 공동체였다.
3) 영적 호흡인 기도
그리스도인의 영성은 성서라는 객관적 표준에 대한 깊은 이해와 교회라는 공동체의 도움과 개인의 기도생활이라는 개인적 경험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스도인들은 기도생활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과 영혼을 정화하고 거룩한 마음을 품고 하나님의 일을 할 만 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성장되는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인들은 기도생활을 통해서 성령의 능력을 얻고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하는 하나님의 능력과 도움에 대한 깊은 확신에 이르게 된다.
명상은 기도생활의 한 부분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명상하면서 그리스도의 은혜의 깊이를 깨닫게 되고 그리스도의 온전함에 이르기 위한 영적인 노력을 경주하게 된다. 또한 그리스도인들은 깊은 고난 속에서 구원을 기다리는 오늘의 세계와 역사적 현실을 깊이 명상하면서 자신을 찾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게 된다. 그러므로 명상은 영적인 깊이를 더하게 하는 중요한 영성생활의 일부이다.
영성신학은 듣는 것(명상)과 요구하는 것(얻으려는 것)의 균형을 영성의 중요한 두 개의 기둥으로 생각했다. 기도생활에는 듣는 것과 요구하는 것의 균형이 중요하다 기도는 근본적으로 하나님과의 만남이고 이 하나님과의 만남 속에서 그리스도인은 참으로 영적인 사람으로 성숙하게 되는데, 만남은 언제나 상호간의 대화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먼저 들어야 하고 동시에 자신의 원하는 바를 하나님께 전해야 한다.
3. 영성의 특징
그리스도교의 영성의 구체적 모습이 무엇일까? 영성이란 대단히 막연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 막연한 영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엇일까? 그리스도교의 영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의 두 가지가 그 핵심이다.
1) 믿음의 영성
믿음은 그리스도교의 영성의 핵이다. \"할 수 있거든 이 무슨 말이냐 믿는 자에게는 능치 못할 일이 없느니라\"(막 9:23) \"믿음으로 저희가 홍해를 육지같이 건넜으나 애굽사람들은 이것을 시험하다 빠져 죽었으며 믿음으로 칠일동안 여리고를 두루 다니매 성이 무너졌으며\"(히 11:29-30). 믿음은 홍해를 가르고 마귀를
추천자료
한국관료제의 발전방향
교회음악이 신앙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기업의 미래( 외국 기업과 한국기업을 비교분석하여 한국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우리나라 장애인 사회통합의 저해요인과 지도자 역할 및 방향
한국 기독교 교회사 요약
교회 성장에 대한 고찰
패럴림픽의 기원과 발전과정 및 현실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활성화방안을 현 시대의 흐름에 맞...
식민지 문화 청산과 자기비판 (한국문학과 8. 15 해방, 민족문학의 건설방향, 문제점 비판)
사회복지실천론_ 한국사회복지실천의 특징과 발달과정 및 한국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와 방향
[기독교 리더십] 영적 리더십의 특징들 _ 하나님의 리더십, 깊은 영성 요구, 관계성에서 발휘...
칼빈과 어거스틴 교회를 위한신학 안인섭 요약 및 적용 A+ 자료
영성형성을위한 영적독서와 묵상
탐방 교회 ‘행복이 가득한 교회’ - 영성이 대안이다
가부장제 사회의 문제점과 가톨릭 혼인의 영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