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의 과제
본문내용
등장한 그들의 부적응과 학습능력 부족이라는 결핍을 채우기에 급급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결핍을 채우고자 노력했던 그간의 결과들을 냉정히 평가하며 그 과정에서 우리가 잃어버리고 있었던 것은 무엇인지 되돌아 볼 때이다. 다름이 있는 그대로 다름으로 나타나고 고유의 색깔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추천자료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새터민 센터 설립 및 새터민 청소년들의 사회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작성
북한이탈주민 가족과 가족복지
우리나라 각 부처별 청소년관련 정책에 대해 조사하시오
교육복지 결론..
[북한이탈주민과 가족문제 / 적응상의 어려움]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입국과정에서 체험하게 되는&...
북한이탈주민가족 가족복지실천
북한이주민 특성 및 주요 이슈
[교육사회학 공통] ‘교육복지우선사업’의 정책 취지를 제시하고, 이러한 정책은 교육적으로 ...
청소년과학교교육1공통)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학교의 운영계획서 2개를 수집한 ...
사회복지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청소년과학교교육2017/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서를 각각 1개씩 수집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