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운동과사회복지정책형성및사회복지정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운동과사회복지정책형성및사회복지정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복지운동과사회복지정책형성및사회복지정치

본문내용

않아 정치 후보자를 지지하는 때가 되었다고 본다. 중요한 점은 정치와 사회복지의 연계가 긍정적인 관계성을 갖지 못하고 음지에서 움직이고 있고, 정치적 보복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두려워하는 관계 집단, 그리고 과거의 좋지 못한 전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회복지 분야에서 특정의 정치 후보자나 정당을 지원하고 제휴하는 일이 표면화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정치가 일상적인 생활문제와 복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일반 중산층 역시 정치를 삶의 한 영역으로서 선택하고 즐기는 새로운 흐름이 우리들 곁에 이미 와 있다. 과거의 정치불신 그래서 정치적 무관심보다는 깨어 있는 국민들이 늘어나면서 희망의 정치, 미래를 열어 나가는 개척의 정치를 바라는 국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특정 정치가를 지원하는 시민들의 모임이 생기고 있으며, 사회복지계 역시 이러한 모임의 하나로서 지원과 함께 정책을 제안하고 함께 성장하는 상생적 운동으로서 사회복지 정치운동은 당연한 오늘의 사회현상인 것이다.
다섯째, 대중매체의 활용을 통한 사회복지운동이다. 사회복지정책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신문, TV, 잡지, 라디오 등의 대중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자나 혹은 편집자에게 편지를 보내거나 토론회, 토크쇼 등에 출연하거나 방청객으로 참여하는 일, 관련 세미나에 참여하는 일, 필요에 따라 기자회견을 하는 일 등이다(Ezell, 2001 : 122-134). 대중매체는 사회복지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사회복지정책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여론을 불러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이는 결과적으로 정책수정과 문제해결에로 연결된다.
특별히 사회복지 실천가와 전문가는 자신이 맡고 있는 분야의 실상을 일반대중에게 알려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사례기록에서부터 사례연구 및 이론적 제안, 그리고 정책적 대안의 제시에 이르기까지 생각하면서 현실적인 보고서를 남기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하여야 한다. 그래서 자신의 글을 일반 신문이나 관련 전문잡지에 게재하고 많은 대중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시켜 문제해결에 동참하거나 문제해결에 요청되는 정책대안이 필요함을 여론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가져야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여론조사를 통해서도 정책을 개선하고 수립하도록 하는 압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치가는 여론에 민감하므로 일반 대중들이 가지는 사회복지 문제에 대하여 적절하게 요약하여, 정치가의 손에 들어갈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사회복지 전문가는 지역사회 내에서 평소에 주요 여론형성자들이 누구이며 그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잇는지도 잘 이해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들과의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는 일도 중요하다.
여섯째, 시민교육을 통한 사회복지운동이다. 시민교육은 일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방법이지만, 보다 궁극적인 사회복지운동방법이기도 하다. 사실 시민들 스스로가 사회복지에 관한 인식과 의식을 개선한다면, 사회복지정책을 새롭게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지도 않을지 모른다. 여기서 말하는 시민교육은 사회복지의식의 개선과 함께 잘못된 제도와 정책을 개선하고 새롭게 하기 위해서,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어떤 행동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과 관련된 운동이다. 때로는 시민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삶의 방식과 태도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교육과 연관된 운동이다.
이 경우에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사회복지문제와 관련된 고통 당하고 있는 사례를 발굴하여, 구체화시키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주민이나 시민들의 의식수준이 변화되어야 할 부분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도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변화사례와 관련하여 외국의 사례나 혹은 변화되어야 하는 모범적인 준거집단을 제시하는 방안이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지역주민 전체가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운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또 다른 방향으로 정책적 제도적 장치의 변경을 통하여, 의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지역주민들이 사회복지운동에 참여하게 하는 전략이다.
이상과 같은 사회복지운동은 결국 사회복지 전문가들과 기관 및 시설이 힘을 합쳐야 되고 더 나아가 시민단체, 노동단체와 필요에 따라 연계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사회복지 분야에서도 앞으로 지속적인 사회복지운동을 위해 연구활동은 물론 사회복지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조직을 정비하고 지역적, 분야별로 대응할 수 있는 노력을 체계적으로 갖추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번 정치의 해에 사회복지운동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현외성, “아사히소송의 사회정책적 의미 일고”, 사회복지연구, 1989.
-----,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유풍출판사, 1994.
-----, 사회복지정책 강론, 양서원, 2000.
Bruce Jansson, Becoming an Effective Police Advocate, Washington :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9.
Maria Roberts-DeGennaro, "Building Coalitions for Political Advocacy", Social
Work, July-August, 1986.
Mark Ezell, Advocacy in the Human Services, US. :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2001.
Neil Bateman, Advocacy Skills : A Handbook for Human Service Professionals,
England: Arena, 1995.
Raymond Albert, Social Work Advocacy in the Regulatory Process, Social
Casework, Oct., 1983.
Robert L. Shneider & Lori Lester, Social Work Advocacy, US. :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2000.
http://peoplepower21.org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