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개 요
1. 사업의 목적
2. 사업의 기대효과
3. 사업계획서의 개요
II. 외부환경 분석 및 시장전망
1. 일반 환경 분석
2. 제품시장 현황
3. 경쟁업체 현황
4. 시장전망
III. SWOT 분석
IV. 사업추진계획
1. 사업의 방향 및 전개방안
2. 초기 점포입지
3. 조직. 인원계획
4. Marketing strategy
가. STP 도출
나. Place strategy
다. Promotion strategy
Ⅴ. 자금조달 및 차입금상환계획
1. 추정 소요자금
2. 자금조달계획
3. 담보제공계획
Ⅵ. 추정재무제표 수립
1. 추정 대차대조표
2. 추정 손익계산서
3. 부속 명세서
가. 제조원가명세서
나. 판매 및 일반관리비명세서
다. 인건비명세서
라. 감가상각비명세서
1. 사업의 목적
2. 사업의 기대효과
3. 사업계획서의 개요
II. 외부환경 분석 및 시장전망
1. 일반 환경 분석
2. 제품시장 현황
3. 경쟁업체 현황
4. 시장전망
III. SWOT 분석
IV. 사업추진계획
1. 사업의 방향 및 전개방안
2. 초기 점포입지
3. 조직. 인원계획
4. Marketing strategy
가. STP 도출
나. Place strategy
다. Promotion strategy
Ⅴ. 자금조달 및 차입금상환계획
1. 추정 소요자금
2. 자금조달계획
3. 담보제공계획
Ⅵ. 추정재무제표 수립
1. 추정 대차대조표
2. 추정 손익계산서
3. 부속 명세서
가. 제조원가명세서
나. 판매 및 일반관리비명세서
다. 인건비명세서
라. 감가상각비명세서
본문내용
주력 상품은 <전통 음료를 개발하여 Take out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통 음료란 전통차와 곡물 음료를 포함한다. 한 전통음료 제조 업체의 조사에 따르면 쌀음료, 식혜, 수정과, 수박화채, 오미자차, 인삼차, 이슬차, 매실차, 녹차, 홍차, 보이차, 산딸기차, 호박차, 구기자차, 칡차, 홍화차 등이 한국인에게 인기 있는 차 메뉴라고 한다. 일단 사람들에게 먼저 가장 호응도가 높은 제품 몇 가지와 그 응용 제품 만을 집중적으로 마케팅 한 후에 제품 라인을 넓혀 갈 것이다. 사시사철 먹을 수 있는 제품, 계절에 맞춘 one shot 제품을 선별해서 구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건강 컨셉을 어필할 수 있도록 하지만 너무 강조하지는 않는다. 건강 컨셉을 어필하는 것은 원료상 티백 제품은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순수 국내산 원료를 써서 품질과 맛으로 승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원료는 주로 농협과 제휴하는 방안을 생각했으며, 중장기적으로 해외에 진출할 시에는 웅진과 손을 잡기로 했다. 이것에는 2차년도에 얼마나 튼튼히 성장하느냐, 기업의 value가 높아지느냐가 관건이다. 메뉴는 전통차, 곡물 음료, 선식&생식, 기타 로 분류하며, 초기에 런칭할 메뉴는 다음과 같다.
전통차
곡물 음료
생식 & 선식
기타
1.녹차
2.이슬차
3.박하차
4.복분자차
5.모과차
6.오미자차
7.율무차
8.유자차
9.꿀차
10.매실차
1.식혜
2.수정과
3.쑥음료
4.쌀음료
5.콩음료
6.팥음료
7.매실음료
8.대추음료
1.미숫가루
2.생식
3.선식
1.화채
2.떡
3.한과
4.견과류
5.차 원료&관련용품
다음으로 우리가 중요하게 개발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전통 음료에 맞는 용기이다. 처음에 용기는 우리나라보다 서양에서 먼저 발명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용기 안에는 서양 사람들이 즐겨 먹던 소재로 만든 음료가 담겼다. 오렌지, 포도, 커피 등이다.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마셔오던 음료보다는 대부분이 외국 브랜드들로, 음료를 수입하면서 용기와 함께 그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까지 함께 수입하다보니 \'음료의 용기는 당연히 저런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그러나 만일 우리나라에서 용기가 발명되었어도 그 안에 오렌지, 커피, 포도 등을 원료로 한 내용물에 적합한 용기가 탄생했을까? 물론 그렇지 않을 것이다. 당연히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와 문화에 맞는 소재로, 우리의 마실거리와 궁합이 잘 맞는 용기가 탄생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가장 잘 맞는 소재와 맛을 찾아 음료를 만들고 우리 마실거리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한다면, 우리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소재를 담은 용기 역시 다시 창조되어야 한다. 기존의 테이크아웃 점에서 쓰던 용기와는 다른 디자인을 만들어 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동기 부여가 된 것과는 달리 아직 구체적인 디자인 방안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2. 제품 가격
제품의 가격은 2000-4500원으로 중고가를 지향한다. 녹차, 보리차, 둥글레 차 등의 보편적인 차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쑥 음료, 쌀 음료 등의 곡물 음료나 생식, 이후의 신상품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위치시킨다. 음료의 크기에 따라서(tall or small)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다. 떡이나 한과 등의 side menu의 가격은 1000-3000원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테이크 아웃 점은 평균적으로 월 매출의 70~80%정도가 마진으로 남는다고 한다. 보통 실평수 10평의 점포를 기준으로 할 때, 월 매출은 2천 만원 선, 각종 비용을 뺀 순수익은 60여 만원 정도가 평균적인 실적으로 나타났다. (http://www.jumpoline.com)
IV. SWOT 분석
1.외부환경분석
가. Opportunity
① 전통음료 전통차를 테이크 아웃으로 판매하는 이 사업의 가장 큰 기회요소는 아직까지 그러한 업체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 전통의 것과 서양의 테이크 아웃 문화를 접목시킨 부문에서는 선두주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그것 자체만으로도 이 사업은 거대한 음료시장 속의 틈새를 매꿔줄만한 큰 성장기회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②세계가 글로벌화 되어감에 따라 지금 한국은 우리의 것에 경쟁력을 더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시대적 흐름 속에 있다. 세계 시장에서 더욱 성장한 나라로서의 면모를 보이기 위해서는 우리 전통의 것에 대한 자부심과 차별성, 그리고 고유성을 스스로 만들어나가고 새워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기본적인 토양을 다진 후에야 진정한 선진국으로서 글로벌화에 동참할 수 있다. 젊은 층에서 일고 있는 이러한 의식의 전환과 최근 고조된 반미감정은 우리 고유의 것을 내세우는 사업으로서는 큰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③근래에는 젊은 여성들의 체형과 몸매에 대한 관심 고조는 물론이고 중년층뿐만 아니라 젊은 층까지도 건강에 대한 생각이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사업계에서도 특정 영양소의 함유를 마케팅 전략으로 이용하는 등의 흐름을 쉽게 볼 수 있다. 하루 이화여대 앞 상권의 유동인구가 10만 명이며 그 중의 80%가 10~20대, 그리고 전체의 70%가 여성비율이라는 통계적 자료로 보았을 때 이 사업의 주 타겟인 미용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20대 초반~30대 초중반 층의 여성들을 끌어들이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으로 예측된다.
④요즘 바쁘게 움직이는 대학생이나 직장인들이 많이 모여드는 지역이라면 테이크 아웃 음료 전문점을 찾는 일이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테이크 아웃 시장에 뛰어든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을 줄 모르는 열기 속에 있는 이유는 그만큼 수요가 공급을 따라준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스탠딩족(standing 族)의 증가와 바쁘게 움직이는 모빌문화의 정착 속에서 테이크아웃 형식으로 전통음료와 전통차를 판매하면 타겟 고객을 이러한 문화적 분위기에 발맞추어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 Threats
① 가장 큰 위협은 소비자들의 발길을 끌어들이는 데에 이미 어마어마하게 성공한 커피테이크 아웃 시장이다. 소비자들은 새로운 것을 찾아 전통음료나 차를 테이크아웃 할 수도 있지만 커피의 중독성
전통차
곡물 음료
생식 & 선식
기타
1.녹차
2.이슬차
3.박하차
4.복분자차
5.모과차
6.오미자차
7.율무차
8.유자차
9.꿀차
10.매실차
1.식혜
2.수정과
3.쑥음료
4.쌀음료
5.콩음료
6.팥음료
7.매실음료
8.대추음료
1.미숫가루
2.생식
3.선식
1.화채
2.떡
3.한과
4.견과류
5.차 원료&관련용품
다음으로 우리가 중요하게 개발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전통 음료에 맞는 용기이다. 처음에 용기는 우리나라보다 서양에서 먼저 발명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용기 안에는 서양 사람들이 즐겨 먹던 소재로 만든 음료가 담겼다. 오렌지, 포도, 커피 등이다.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마셔오던 음료보다는 대부분이 외국 브랜드들로, 음료를 수입하면서 용기와 함께 그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까지 함께 수입하다보니 \'음료의 용기는 당연히 저런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그러나 만일 우리나라에서 용기가 발명되었어도 그 안에 오렌지, 커피, 포도 등을 원료로 한 내용물에 적합한 용기가 탄생했을까? 물론 그렇지 않을 것이다. 당연히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와 문화에 맞는 소재로, 우리의 마실거리와 궁합이 잘 맞는 용기가 탄생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가장 잘 맞는 소재와 맛을 찾아 음료를 만들고 우리 마실거리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한다면, 우리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소재를 담은 용기 역시 다시 창조되어야 한다. 기존의 테이크아웃 점에서 쓰던 용기와는 다른 디자인을 만들어 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동기 부여가 된 것과는 달리 아직 구체적인 디자인 방안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2. 제품 가격
제품의 가격은 2000-4500원으로 중고가를 지향한다. 녹차, 보리차, 둥글레 차 등의 보편적인 차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쑥 음료, 쌀 음료 등의 곡물 음료나 생식, 이후의 신상품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위치시킨다. 음료의 크기에 따라서(tall or small)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다. 떡이나 한과 등의 side menu의 가격은 1000-3000원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테이크 아웃 점은 평균적으로 월 매출의 70~80%정도가 마진으로 남는다고 한다. 보통 실평수 10평의 점포를 기준으로 할 때, 월 매출은 2천 만원 선, 각종 비용을 뺀 순수익은 60여 만원 정도가 평균적인 실적으로 나타났다. (http://www.jumpoline.com)
IV. SWOT 분석
1.외부환경분석
가. Opportunity
① 전통음료 전통차를 테이크 아웃으로 판매하는 이 사업의 가장 큰 기회요소는 아직까지 그러한 업체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 전통의 것과 서양의 테이크 아웃 문화를 접목시킨 부문에서는 선두주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그것 자체만으로도 이 사업은 거대한 음료시장 속의 틈새를 매꿔줄만한 큰 성장기회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②세계가 글로벌화 되어감에 따라 지금 한국은 우리의 것에 경쟁력을 더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시대적 흐름 속에 있다. 세계 시장에서 더욱 성장한 나라로서의 면모를 보이기 위해서는 우리 전통의 것에 대한 자부심과 차별성, 그리고 고유성을 스스로 만들어나가고 새워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기본적인 토양을 다진 후에야 진정한 선진국으로서 글로벌화에 동참할 수 있다. 젊은 층에서 일고 있는 이러한 의식의 전환과 최근 고조된 반미감정은 우리 고유의 것을 내세우는 사업으로서는 큰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③근래에는 젊은 여성들의 체형과 몸매에 대한 관심 고조는 물론이고 중년층뿐만 아니라 젊은 층까지도 건강에 대한 생각이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사업계에서도 특정 영양소의 함유를 마케팅 전략으로 이용하는 등의 흐름을 쉽게 볼 수 있다. 하루 이화여대 앞 상권의 유동인구가 10만 명이며 그 중의 80%가 10~20대, 그리고 전체의 70%가 여성비율이라는 통계적 자료로 보았을 때 이 사업의 주 타겟인 미용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20대 초반~30대 초중반 층의 여성들을 끌어들이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으로 예측된다.
④요즘 바쁘게 움직이는 대학생이나 직장인들이 많이 모여드는 지역이라면 테이크 아웃 음료 전문점을 찾는 일이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테이크 아웃 시장에 뛰어든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을 줄 모르는 열기 속에 있는 이유는 그만큼 수요가 공급을 따라준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스탠딩족(standing 族)의 증가와 바쁘게 움직이는 모빌문화의 정착 속에서 테이크아웃 형식으로 전통음료와 전통차를 판매하면 타겟 고객을 이러한 문화적 분위기에 발맞추어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 Threats
① 가장 큰 위협은 소비자들의 발길을 끌어들이는 데에 이미 어마어마하게 성공한 커피테이크 아웃 시장이다. 소비자들은 새로운 것을 찾아 전통음료나 차를 테이크아웃 할 수도 있지만 커피의 중독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