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학의 연구방법론 소고 (A Study on Methodological Approach to Spiritualit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성학의 연구방법론 소고 (A Study on Methodological Approach to Spiritualit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e Cloud of Unknowing, James Walsh 번역 (New York: Paulist Press, 1981) 참고: 이 책은 14세기의 시토회(Cistercian) 혹은 카르수스회(Carthusian)에 소속한 영국의 한 익명의 은둔자에 의해서 쓰여졌다.29) 그의 저서 [깔멜의 산길](The Ascent of Mount Carmel), [어둔 밤](The Dark Night)등이 이 영성을 대표하고 있다.30) 그의 저서 [칠층산](The Seven Story Mountain), [관상의 새 씨앗](New Seeds of Contemplation)등이 이 영성을 대표하고 있다.31) 이 영성을 대표하는 그의 저서는 [영신수련](The Spiritual Exercises)이다.32) 토마스 아 켐피스, [그리스도를 본받아], 제 2 권. 제 1 장.33) 이 노래는 1225-6년에 걸쳐 완성된 것으로서 프란시스 자신이 직접 만든 작품이다; Francis and Clare: The Complete Works, "The Classics of Western Spirituality" (New York: Paulist Press, 1982), p. 37-39 참고.;....................................................찬양을 받으소서, 나의 주님.당신의 모든 피조물들, 특히 태양형제를 인하여!그를 통하여 당신께서는 저희에게 하루의 빛을 주셨으니....................................................찬양을 받으소서, 나의 주님, 달과 별 자매들을 인하여! 당신께서 지으신 그들은 하늘에서 밝고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빛나고 있나이다.찬양을 받으소서, 나의 주님, 바람 형제를 인하여!또한 대기와 구름과 모든 날씨를 인하여!이들에 의하여 당신께서는 피조물들에게 음식물을 주시나이다.....................................................나의 주님께 감사하고 찬양과 축복을 돌릴지어다. 또한 거룩한 순종과 겸손으로 그를 섬길지어다.34)십자가의 성요한, [깔멜의 산길], 제 2 권, 4, 7장.35) Daniel A. Helminiak, The Human Core of Spirituality: Mind as Psyche and Spirit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36-37쪽.36) Sandra M. Schneiders, 위의 책, 267-269쪽.37) Sandra Schneiders, 위의 책, 264쪽.38) 위의 책, 269쪽을 Paul Ricoeur, Interpretation Theory: Discourse and the Surplus of Meaning (Fort Worth: Texas Christian University Press, 1976), 76쪽에서 인용함.39) 위의 책, 269쪽; 영성을 연구하는 이러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다루어 할 영성신학의 주요한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신비주의, 기도, 영성식별, 영성지도, 사회정의와 기도와의 관계, 영성의 학파들, 영성가들의 독특한 영성연구, 유비적인 영적현상들에 대한 관계성 연구, 고백적이고 문화적인 차원을 뛰어넘는 실천의 문제, 영적인 삶에 있어서의 육과 영의 변증법, 영적성장의 패턴과 역동성, 영적개발에 있어서의 문화와 믿음의 상호작용, 성화의 의미, 심리학적인 성숙과 영적인 발달의 관계, 성서적 영성, 예전적인 영성 등이다. 40) Robert Paul Hale, "Religious Symbols as Evocative of Insight: The Model Method of Ewert Cousins," Sacramentum 2, Symbolisme et Theologie (Rome: EditriceAnselmiana, 1974), 72쪽.41) Ewert Cousins, "Models and The Future of Theology," Continuum VII (1969), 81쪽.42) 위의 책, 82쪽; Ian Ramsey, Mosels and Mystery (London, 1964) 1-21쪽 참고.43) 위의 책.44) Ewert Cousins, 위의 책, 82쪽.45) 위의 책, 83쪽.46) 위의 책, 84쪽은 Rudolf Otto, The Idea of the Hol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8), 53쪽, 각주 1에서 인용함. 47) 안셀름의 영성적 경험으로부터 비롯된 또 다른 탁월한 신학적 논제중의 하나가 ‘신존재 증명’이다. 이 논제를 다루고 있는 그의 저서 제일원리(Proslogium)의 제 1 장에서 하나님을 향한 그의 열렬한 기도경험을 말하고 있다. 그는 이렇게 그 경험의 결론을 맺는다. “나는 믿기 위해서 이해를 구하지 않고, 이해하기 위해서 믿는다. 그러므로 내가 믿지 않는다면, 당연히 이해할 수 없음도 나는 믿는다.”(St. Anselm Basic Writings, Proslogium, S. N. Deane 번역 (La Salle, IL: Open Court Publishing Co., 1988, 53쪽) 제 1 장, 53쪽). 이러한 경험 뒤에 나타난 것이 제 2 장 이후부터 시작되는 ‘신존재 증명’이라면 그의 영성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고 결코 안셀름의 신학적 논제의 중심에 이를 수 없다. 48) Ewert Cousins, 위의 책, 85쪽.49) 위의 책.50) Ewert H. Cousins, Christ of the 21st Century(Rockport, Massachusetts, 1992), 70쪽.51) Ewert H. Cousins, "Mandala Symbolism in the Theology of Bonaventure," University of Toronto Quarterly, 40 (Spring, 1971), 187쪽.52) Bonaventure, 위의 책, prologue, no. 3, 54-55쪽.53) 위의 책, 72쪽.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3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