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견론
본론
견론
본문내용
것, 성도는 다 하나님 앞에서 제사장이라는 것, 신앙생활의 최고 권위는 성서라는 것 등을 세가지 기둥으로 진전되어 왔다.11) 따라서 독일의 초기 찬송가는 이 신학을 직접, 간접으로 강조하고 부연한 것이다. 문학이나 음악의 소양이 많았던 루터 자신도 당시의 우수한 작곡가들의 협력을 얻어 새로운 개신교의 코랄 (Chorale)을 탄생시켰다. 이 때에 만든 찬송 중 \'Gin Feste Burg (내 주는 강한 성이요)\'는 유명하다.
스위스의 제네바를 중심한 칼빈은 성서 존중으로 인해서 예배에 창작 찬송가의 사용을 금하였다. 반면 그는 시편가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그가 얼마나 성서 중심적이었는가에 대한 다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12) 그 사실은 칼빈이 하나님 말씀으로서의 시편을 존중하고, 시편이 교회 음악에 빠뜨릴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한 것을 뜻한다. 그는 신학이 중심을 하나님의 주권에다 두고 모든 것을 하나님 중심적으로 생각하였다. 거기에서 인생의 목적은 예배에 있고, 올바른 예배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행해져야 한다는 그의 독특한 예배관이 생긴 것이다.13)
초기에는 칼빈 자신이 루터파의 코랄 영향을 받아 직접 시편을 번역하였으나, 훗날에는 시인이나 제자 등에게 시편 전체의 번역을 의뢰해서 시편가를 완성하였다.이것을 \'제네바 시편가\'라고 부른다.
그렇지만 칼빈의 시편가는 루터의 찬송이나 종교시보다 회중 찬송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었다.
영국에서 종교개혁이 일어난 것은 헨리 8세 (Henry Ⅷ. 1495-1547)의 이혼 문제이기 때문이었고 정치적인 요소가 강했기 때문에 종교개혁의 결과로 갱겨난 독자적인 신학이 별로 없었다. 오히려 초기에는 루터파, 뒤에는 칼빈파의 영향이 컸다.14) 16세기 영국 개신교의 가장 의의가 깊은 공헌은 라틴어의 모테트에서 시작된 것으로 영어권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의 모테트라 할 수 있다. 영국 교회음악 전체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로마의 미사보다는 그 비중이 훨씬 적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로마 카톨릭에서는 1564년에서 1565년에 북이탈리아의 트렌트에서 회의를 열어 예배 의식 악용을 모의하였다. 그 회의에서는 하나님의 집이 기도의 집이 되기 위해서는 유혹적인 멜로디, 세상적인 가사 혹은 울부짖음을 금지키로 결의하였으며, 결정적인 공로자는 팔레스트리나 (Palestrina)였다. 그 뒤 팔레스트리나 양식은 의식적으로 보존되고 구분되는 새 모델로서 모방하게 하는 서양 음악사의 첫 경위가 되었다. 그래서 종교 개혁기의 카톨릭 음악은 팔레스트리나에 의해서 다시금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종교 개혁시대의 산물은 무엇보다도 코랄로, 이 코랄은 신자들에게도 생동감을 주어 찬송에 등장하는 일을 하게 한 것이다. 그러면서 음악이 유혹적인 멜로디로 변한 것은 유감이나 팔레스트리나의 음악같은 것이 그것을 막는데 큰 공헌을 한 것이다.
4.종교개혁기 이후
종교개혁으로 17세기에는 유럽의 음악이 독일로 옮겨졌다. 특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의 창작작품 중에서 절정을 이루게 된 음악의 성장은 루터의 종교개혁과 그 전철을 밟은 여러가지 종교의 결과이다. 그러기에 음악의 성장은 독일인의 정치적 역사나 또는 그들이 철학으로 설명될 수 없다. 바흐는 칸타타와 코랄로서 교회음악에 크게 공헌하였는데 그 후의 어떤 종교음악에서도 볼 수 없는 정열과 설득력, 투철한 의지, 풍부한 상상력으로써 성서와 기독교 신조를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바흐의 음악은 위대한 설교자의 설교와 매우 닮았다고 많은 사람들이 평가한다.15)
헨델(George Fridercick Handel,1685-1759)오라토리오로써 교회에 공헌하였는데, 오라토리오는 칸타타와 같은 내용의 것이었다. 그러나 교회안에서 예배때 보다는 교회 밖에서 주로 연주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특출한 찬송 작가들이 나올 수 있는 기틀도 마련하였다.
특히 18세기에 들어서자 오랫동안 시의 시편가에 독점되어온 영국의 찬송가에도 창작의 기운이 움트기 시작했다.영국찬송가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왓츠는 영국 교회음악이 시편가에서 찬송가로 전환하는데 중대한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는 시편을 문자 그데로 부르는 것은 그 당시의 환경이나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현시대의 상황에서 표현된 노래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모든기독교인들이 공감할수 있는 경험과 감정에 기초한 찬송으로 전환함을 말한다.
영국의 찬송가에 나타난 신학은 국교회(Anglican Church)보다 구교회에 반항한 청교도 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종교개혁시 국교회에서는 송영과 성가가 있었으나 좁은 의미의 시편가나 찬송가는 그때까지 없었고 찬송가를 최초로 사용한것은 청교도였가 때문이다. 이 운동의 창시자인 존 웨슬레가 선교사의 감화로 결정적인 회심을 경험하고, 마침내 독일 경건파의 한 본부인 헤른후트까지 방문하였다.16) 18세기 영어 찬송가의 주도권은 비 국교도에 의해 장학되어 있었으나 19세기에는 국교도의 손에 넘겨지게 되었다. 1830년대에는 옥스퍼드 운동이 일어나서 국교회의 각성을 촉진시켰기 때문이다. 앞 세기의 감리파 운동이 대중적이었음에 비해 이 운동은 지식층이었으나 그 영향은 감리파등보다 한층 심각하였다.17)
감리교 창설자 존 웨슬레(John Wesley.1703-1791)의 동생인 찰스 웨슬레는 유럽 경건파의 하나인 모리비아파의 영향을 받아서 체험적이고 열렬한 신앙 부흥운동을 전개하고, 찬송가를 작사 작곡하여 형의 전도를 도왔다.
18세기 후반은 교회음악이 쇠퇴기에 접어드는 느낌을 주었는데 그것은 예술,철학,문학에 있어서 활기가 넘치는 시기에 비해 유럽은 하나님을 경배하는 일로부터 지적,정서적,육체적인 존제로써 인간의 내면을 철저히 연구하는 방향으로 기울어 졌기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다시 말하면 교회음악은 교회의 일반적인 쇠퇴와 그 운명을 같이 했다는 것이다. 아플레비(David D.Appleby)는 말하기를 \"예배의식의 결핍,신학적,철학적 신념의 확증이 있는 전통의 고수등은 개신교 음악으로 부터 완전한 분리를 가져왔다. 나는 음악이 교회에서 없어
스위스의 제네바를 중심한 칼빈은 성서 존중으로 인해서 예배에 창작 찬송가의 사용을 금하였다. 반면 그는 시편가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그가 얼마나 성서 중심적이었는가에 대한 다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12) 그 사실은 칼빈이 하나님 말씀으로서의 시편을 존중하고, 시편이 교회 음악에 빠뜨릴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한 것을 뜻한다. 그는 신학이 중심을 하나님의 주권에다 두고 모든 것을 하나님 중심적으로 생각하였다. 거기에서 인생의 목적은 예배에 있고, 올바른 예배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행해져야 한다는 그의 독특한 예배관이 생긴 것이다.13)
초기에는 칼빈 자신이 루터파의 코랄 영향을 받아 직접 시편을 번역하였으나, 훗날에는 시인이나 제자 등에게 시편 전체의 번역을 의뢰해서 시편가를 완성하였다.이것을 \'제네바 시편가\'라고 부른다.
그렇지만 칼빈의 시편가는 루터의 찬송이나 종교시보다 회중 찬송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었다.
영국에서 종교개혁이 일어난 것은 헨리 8세 (Henry Ⅷ. 1495-1547)의 이혼 문제이기 때문이었고 정치적인 요소가 강했기 때문에 종교개혁의 결과로 갱겨난 독자적인 신학이 별로 없었다. 오히려 초기에는 루터파, 뒤에는 칼빈파의 영향이 컸다.14) 16세기 영국 개신교의 가장 의의가 깊은 공헌은 라틴어의 모테트에서 시작된 것으로 영어권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의 모테트라 할 수 있다. 영국 교회음악 전체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로마의 미사보다는 그 비중이 훨씬 적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로마 카톨릭에서는 1564년에서 1565년에 북이탈리아의 트렌트에서 회의를 열어 예배 의식 악용을 모의하였다. 그 회의에서는 하나님의 집이 기도의 집이 되기 위해서는 유혹적인 멜로디, 세상적인 가사 혹은 울부짖음을 금지키로 결의하였으며, 결정적인 공로자는 팔레스트리나 (Palestrina)였다. 그 뒤 팔레스트리나 양식은 의식적으로 보존되고 구분되는 새 모델로서 모방하게 하는 서양 음악사의 첫 경위가 되었다. 그래서 종교 개혁기의 카톨릭 음악은 팔레스트리나에 의해서 다시금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종교 개혁시대의 산물은 무엇보다도 코랄로, 이 코랄은 신자들에게도 생동감을 주어 찬송에 등장하는 일을 하게 한 것이다. 그러면서 음악이 유혹적인 멜로디로 변한 것은 유감이나 팔레스트리나의 음악같은 것이 그것을 막는데 큰 공헌을 한 것이다.
4.종교개혁기 이후
종교개혁으로 17세기에는 유럽의 음악이 독일로 옮겨졌다. 특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의 창작작품 중에서 절정을 이루게 된 음악의 성장은 루터의 종교개혁과 그 전철을 밟은 여러가지 종교의 결과이다. 그러기에 음악의 성장은 독일인의 정치적 역사나 또는 그들이 철학으로 설명될 수 없다. 바흐는 칸타타와 코랄로서 교회음악에 크게 공헌하였는데 그 후의 어떤 종교음악에서도 볼 수 없는 정열과 설득력, 투철한 의지, 풍부한 상상력으로써 성서와 기독교 신조를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바흐의 음악은 위대한 설교자의 설교와 매우 닮았다고 많은 사람들이 평가한다.15)
헨델(George Fridercick Handel,1685-1759)오라토리오로써 교회에 공헌하였는데, 오라토리오는 칸타타와 같은 내용의 것이었다. 그러나 교회안에서 예배때 보다는 교회 밖에서 주로 연주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특출한 찬송 작가들이 나올 수 있는 기틀도 마련하였다.
특히 18세기에 들어서자 오랫동안 시의 시편가에 독점되어온 영국의 찬송가에도 창작의 기운이 움트기 시작했다.영국찬송가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왓츠는 영국 교회음악이 시편가에서 찬송가로 전환하는데 중대한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는 시편을 문자 그데로 부르는 것은 그 당시의 환경이나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현시대의 상황에서 표현된 노래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모든기독교인들이 공감할수 있는 경험과 감정에 기초한 찬송으로 전환함을 말한다.
영국의 찬송가에 나타난 신학은 국교회(Anglican Church)보다 구교회에 반항한 청교도 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종교개혁시 국교회에서는 송영과 성가가 있었으나 좁은 의미의 시편가나 찬송가는 그때까지 없었고 찬송가를 최초로 사용한것은 청교도였가 때문이다. 이 운동의 창시자인 존 웨슬레가 선교사의 감화로 결정적인 회심을 경험하고, 마침내 독일 경건파의 한 본부인 헤른후트까지 방문하였다.16) 18세기 영어 찬송가의 주도권은 비 국교도에 의해 장학되어 있었으나 19세기에는 국교도의 손에 넘겨지게 되었다. 1830년대에는 옥스퍼드 운동이 일어나서 국교회의 각성을 촉진시켰기 때문이다. 앞 세기의 감리파 운동이 대중적이었음에 비해 이 운동은 지식층이었으나 그 영향은 감리파등보다 한층 심각하였다.17)
감리교 창설자 존 웨슬레(John Wesley.1703-1791)의 동생인 찰스 웨슬레는 유럽 경건파의 하나인 모리비아파의 영향을 받아서 체험적이고 열렬한 신앙 부흥운동을 전개하고, 찬송가를 작사 작곡하여 형의 전도를 도왔다.
18세기 후반은 교회음악이 쇠퇴기에 접어드는 느낌을 주었는데 그것은 예술,철학,문학에 있어서 활기가 넘치는 시기에 비해 유럽은 하나님을 경배하는 일로부터 지적,정서적,육체적인 존제로써 인간의 내면을 철저히 연구하는 방향으로 기울어 졌기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다시 말하면 교회음악은 교회의 일반적인 쇠퇴와 그 운명을 같이 했다는 것이다. 아플레비(David D.Appleby)는 말하기를 \"예배의식의 결핍,신학적,철학적 신념의 확증이 있는 전통의 고수등은 개신교 음악으로 부터 완전한 분리를 가져왔다. 나는 음악이 교회에서 없어
추천자료
경건의 시간
[구원][칭의][성화]구원과 칭의 및 성화(구원의 개관, 구원의 조건, 칭의 개관, 칭의의 요소,...
레비나스의 시간론
마틴 루터의 사상과 종교개혁 - 교육과정과 영적인 고민, 복음의 재발견, 신학 논쟁들, 기독...
요한복음 요약
성경해석학(마가복음 15장 33~39절 주해).
설교문(말씀의 시간) - 2주 Identity : ‘감사왕’인 나 (시편 50편 23절)
요한복음 11장에서 나타난 나사로의 죽음과 배경이해
[요약, 분석] <복음주의 조직신학> (하) - 제9부 성령, 제10부 구원, 제11부 교회, 제12부 마...
변화산 사건 [막 9장 2-7] (마가복음 9장 설교말씀, 베드로 신앙고백 말씀)
[성경말씀]설교말씀본문-사도행전 20장 17-38절_ 복음을 위하여 부르심을 받은 자
[성경말씀]설교말씀본문-빌립보서 1장 20-21절_ 무엇을 기대하고 소망하느냐 (새벽예배)
복음서이해_복음서 연구 방법론 중 역사적-비평적 방법론에 대하여 요약하고 비평하라.
[마가복음과 공관서] 바울의 설교 - 바울의 비시디아 안디옥에서의 설교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