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모금의 정의와 단계
3. 모금의 원칙
4. 기부자 시장
5. 비영리조직에 있어서 Marketing Concept 도입
6. Marketing Plan 구성요소
7. 후원신청서 제작
8. 카 피
9. 고객(후원자)관리와 서비스
10. 효과적인 PR활동
11.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서는?
참고문헌
2. 모금의 정의와 단계
3. 모금의 원칙
4. 기부자 시장
5. 비영리조직에 있어서 Marketing Concept 도입
6. Marketing Plan 구성요소
7. 후원신청서 제작
8. 카 피
9. 고객(후원자)관리와 서비스
10. 효과적인 PR활동
11.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서는?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진한 어린이들을 이용하거나 고통스런 표정을 지어 보이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 단계는 수금(collection) 단계이다. 이 경우는 교회, 클럽, 및 그 밖의 조직들이 기꺼이 후원자집단이 된 사람들로부터 정기적으로 수금하는 형태이다. 근래에는 캠페인(campaign)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여 조직들은 체계적인 모금 캠페인을 통하여 가능한 한 모든 원천으로부터 자금을 끌어들이는 업무를 맡은 책임자를 두고 모금업무를 전문화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모금이 개발(development)로써 재해석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개발을 통해서 비영리조직은 기부과정에서 끊임없이 혜택을 주고받는 상이한 열심기부자 계층을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상품과 마케팅 전략으로 서로 필요한 가치(value)를 교환하는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네 가지 단계는 오늘날 비영리조직 모금행위에 있어 상이한 견해를 보이고 있으며 모금기관의 전문성에 따라 다르다.
모금을 해야하는 비영리기관들이 효과적으로 모금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단계를 거쳐야 한다.
① 제품단계 (Product Stage)
이 단계에서 갖는 보편적인 태도는 “우리는 도와줘야만 할 충분한 이유를 ??/SPAN>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우리를 지원해야 한다”는 식이 다. 교회나 동창회에서 주로 이용하는 개념이며 모금을 위해 자원 봉사자를 이용한다.
② 판매단계 (Sales Stage)
이 단계에서 보편적인 태도는 “돈을 기부할 만한 사람이 많으므로 우리는 그들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식이다. 많은 수의 비영리기관들이 이 단계에 속해 있으며 모금을 위한 직원을 고용하여 가능한 한 모든 원천으로부터 모금을 한다.
③ 마케팅 단계 (Marketing Stage)
이 단계에서 보편적인 태도는 “우리는 시장에서 우리의 위치를 분석하여 우리 의 관심과 잘 조화되는 기부자 그룹을 선정하여 그 그룹이 만족할 만한 권유 프로그램을 설계한다는” 식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부자시장을 세분화하여 기부능력을 측정하고, 세분화된 시장을 개발할 경영책임의 할당과 시장 크기에 따른 마케팅 계획과 예산의 편성도 포함한다. 선진국의 대규모 비영리기관이 마케팅 단계로 옮겨지고 있다.
3. 모금의 원칙
(1) 모금은 돈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욕구에 관한 것이며 어떻게 사람들이 그 욕구에 대응할 수 있을까 에 대한해답이다.
(2) 모금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 모금 목적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 어야 한다.
(3) 사람은 조직에 기부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기부하는 것이다.
(4) 사람들을 권유하고 설득할 때 상대방의 처지에서 이야기하고 편지 를 써라.
(5) 전문가가 되어라.
(6) 새 후원자는 위대한 기회이다. 후원기간이 긴 정기성 후원자는 매우 귀중한 재산이다.
(7) 지속적인 후원자가 되기 위해서 교육을 통해 새 후원자를 개발하라.
(8) 후원자에 대한 정보를 잘 관리해라.
(9) 신속하고 정확하며 우호적인 응대와 기부에 대한 인정은 모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10) 가능한 한 자원봉사자를 활용해라.
자원봉사자에게 적정한 동기부여와 격려, 감사에 대한 표현을 기억 하라.
(11) 사람에게 편지를 쓸 때에는 언제나 항상 기금에 대해 호소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도록 고려하라.
(12) 무엇보다 먼저 진실을 말해라.
새로운 소식에 대해서 후원자에게 이야기하지 말라. 사업진행에 대한 실패, 비판에 대한 모든 사실을 말할 의무가 있다.
4. 기부자 시장
비영리기관들은 그들의 사업운영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다음 네 가지 주요한 기부자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개인, 재단, 기업 및 정부이다.
소규모 비영리기관은 그들의 사업에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보다 큰 조직들은 위에 열거한 4가지 자원을 모두 이용하고 있으며 각 시장에 따라 전문가를 두기도 한다. 각 기부자 시장의 제도적형태적 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1) 개인 기부자 (Individual Givers)
개인 기부자는 모든 자선단체의 가장 중요한 기부시장으로써 1998년 월드비전-한국은 재정수입의 75%를 개인 기부자의 기부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개인 기부자의 비영리조직에 기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영리기관들은 모금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기부동기(giving motives)를 잘 이해 할 필요가 있다. 막연히 이타주의(altruism)라고 하면 기부행위의 복잡한 동기들이 가리워지게 된다. 따라서 기부동기에 대한 가설로 ‘개인들이 무엇인가를 되돌려 받기 위해 준다’로 가정해 볼 수 있다. 기부란 단순히 주는 자에서 받는 자로 가는 이전 (transfer)이 아니라 서로 주고받는 거래(transaction)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기부자는 무엇을 얻는가? 사람들은 기부자로부터 어떤 반응이나 인정을 얻기 위해,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적 압력에 순응하기 위해 기부한다. 기부행동의 기조를 이루는 몇 가지 동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① 자존에 대한 욕구 (Need for self - esteem)
인간은 자아상, 신과의 교제 또는 선한 감정을 느끼는 행위를 통하여 자존(또는 자 부심)을 형성하려고 한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 수치심이나 죄의식을 갖는다.
②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욕구 (Need for recognition from others)
인간은 자신이 사회적 지위를 높이거나 권위를 고양시킬 때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고 그들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한다.
③ 병에 걸릴지 모른다는 두려움 (Fear of contracting disease)
기부하지 않았을 때 자신 또는 가족이 병에 걸리거나 좋지 않은 일을 당하게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대한 보상심리로 기부한다.
④ 습관적 기부자 (The habit giver)
별다른 대의를 갖지 않고 다른 모든 사람들이 하니까 나도 누구엔가 기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부자, 실제적인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기부한다.
⑤ 성가심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부자 (Nuisance giver)
기부를 강요하는 방문자를
이 네 가지 단계는 오늘날 비영리조직 모금행위에 있어 상이한 견해를 보이고 있으며 모금기관의 전문성에 따라 다르다.
모금을 해야하는 비영리기관들이 효과적으로 모금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단계를 거쳐야 한다.
① 제품단계 (Product Stage)
이 단계에서 갖는 보편적인 태도는 “우리는 도와줘야만 할 충분한 이유를 ??/SPAN>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우리를 지원해야 한다”는 식이 다. 교회나 동창회에서 주로 이용하는 개념이며 모금을 위해 자원 봉사자를 이용한다.
② 판매단계 (Sales Stage)
이 단계에서 보편적인 태도는 “돈을 기부할 만한 사람이 많으므로 우리는 그들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식이다. 많은 수의 비영리기관들이 이 단계에 속해 있으며 모금을 위한 직원을 고용하여 가능한 한 모든 원천으로부터 모금을 한다.
③ 마케팅 단계 (Marketing Stage)
이 단계에서 보편적인 태도는 “우리는 시장에서 우리의 위치를 분석하여 우리 의 관심과 잘 조화되는 기부자 그룹을 선정하여 그 그룹이 만족할 만한 권유 프로그램을 설계한다는” 식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부자시장을 세분화하여 기부능력을 측정하고, 세분화된 시장을 개발할 경영책임의 할당과 시장 크기에 따른 마케팅 계획과 예산의 편성도 포함한다. 선진국의 대규모 비영리기관이 마케팅 단계로 옮겨지고 있다.
3. 모금의 원칙
(1) 모금은 돈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욕구에 관한 것이며 어떻게 사람들이 그 욕구에 대응할 수 있을까 에 대한해답이다.
(2) 모금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 모금 목적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 어야 한다.
(3) 사람은 조직에 기부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기부하는 것이다.
(4) 사람들을 권유하고 설득할 때 상대방의 처지에서 이야기하고 편지 를 써라.
(5) 전문가가 되어라.
(6) 새 후원자는 위대한 기회이다. 후원기간이 긴 정기성 후원자는 매우 귀중한 재산이다.
(7) 지속적인 후원자가 되기 위해서 교육을 통해 새 후원자를 개발하라.
(8) 후원자에 대한 정보를 잘 관리해라.
(9) 신속하고 정확하며 우호적인 응대와 기부에 대한 인정은 모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10) 가능한 한 자원봉사자를 활용해라.
자원봉사자에게 적정한 동기부여와 격려, 감사에 대한 표현을 기억 하라.
(11) 사람에게 편지를 쓸 때에는 언제나 항상 기금에 대해 호소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도록 고려하라.
(12) 무엇보다 먼저 진실을 말해라.
새로운 소식에 대해서 후원자에게 이야기하지 말라. 사업진행에 대한 실패, 비판에 대한 모든 사실을 말할 의무가 있다.
4. 기부자 시장
비영리기관들은 그들의 사업운영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다음 네 가지 주요한 기부자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개인, 재단, 기업 및 정부이다.
소규모 비영리기관은 그들의 사업에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보다 큰 조직들은 위에 열거한 4가지 자원을 모두 이용하고 있으며 각 시장에 따라 전문가를 두기도 한다. 각 기부자 시장의 제도적형태적 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1) 개인 기부자 (Individual Givers)
개인 기부자는 모든 자선단체의 가장 중요한 기부시장으로써 1998년 월드비전-한국은 재정수입의 75%를 개인 기부자의 기부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개인 기부자의 비영리조직에 기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영리기관들은 모금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기부동기(giving motives)를 잘 이해 할 필요가 있다. 막연히 이타주의(altruism)라고 하면 기부행위의 복잡한 동기들이 가리워지게 된다. 따라서 기부동기에 대한 가설로 ‘개인들이 무엇인가를 되돌려 받기 위해 준다’로 가정해 볼 수 있다. 기부란 단순히 주는 자에서 받는 자로 가는 이전 (transfer)이 아니라 서로 주고받는 거래(transaction)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기부자는 무엇을 얻는가? 사람들은 기부자로부터 어떤 반응이나 인정을 얻기 위해,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적 압력에 순응하기 위해 기부한다. 기부행동의 기조를 이루는 몇 가지 동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① 자존에 대한 욕구 (Need for self - esteem)
인간은 자아상, 신과의 교제 또는 선한 감정을 느끼는 행위를 통하여 자존(또는 자 부심)을 형성하려고 한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 수치심이나 죄의식을 갖는다.
②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욕구 (Need for recognition from others)
인간은 자신이 사회적 지위를 높이거나 권위를 고양시킬 때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고 그들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한다.
③ 병에 걸릴지 모른다는 두려움 (Fear of contracting disease)
기부하지 않았을 때 자신 또는 가족이 병에 걸리거나 좋지 않은 일을 당하게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대한 보상심리로 기부한다.
④ 습관적 기부자 (The habit giver)
별다른 대의를 갖지 않고 다른 모든 사람들이 하니까 나도 누구엔가 기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부자, 실제적인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기부한다.
⑤ 성가심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부자 (Nuisance giver)
기부를 강요하는 방문자를
추천자료
[비영리조직경영론] 사회복지단체를 시스템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설명하라
비영리조직론 방통대 경영학과 레포트
Fine 비영리조직의 마케팅 믹스7P 와 결식아동급식프로그램 연관설명
비영리조직의 경영상 주의점과 최고경영자의 자세와 자질
2008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사회복지단체 현황 및 경영상문제점)
2007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대학시스템)
2007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사회복지단체시스템)
2006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
2006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
2006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