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inguinal hernia의 해부학적 구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아 inguinal hernia의 해부학적 구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천성 간접 서혜탈장
2. 배꼽탈장(Umbilical Henia, 제탈장)
3. 복벽탈장(ventral hernia, 복측탈장, 복면탈장)

본문내용

비슷하지만 좀더 심각한 선천성 기형으로 위벽파열(gastroschisis)이라는 질환이 있습니다. 해석은 \'위벽파열\'이지만 실제로 위(stomach)의 벽이 파열된것은 아니고 배꼽 옆의 복벽 전층의 결손이 있어서 장이 빠져나온 매우 심각한 선천성 기형을 말합니다. 최근에는 태아일 때 수술을 시행하여 이러한 기형을 교정해줌으로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건강하게 태어나고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을 큰 복으로 알고 항상 감사하며 살아야겠습니다.
제대탈장(좌)과 위벽파열(우)
배꼽탈장의 발생빈도는 높지 않으며, 대부분 1년 반 정도 지나면 배꼽언저리가 닫혀 자연히 낫지만, 2년 이상이나 계속하는 여자아기의 경우는 성인 배꼽탈장의 예방을 위해서라도 수술을 시행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수술은 결손된 근막 부위를 봉합해주거나 메쉬(mesh)를 덧대줍니다.
3. 복벽탈장(ventral hernia, 복측탈장, 복면탈장)
상당히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웁니다만 간단히 설명하자면 과거에 복강수술을 시행했던 사람의 복벽 절개부위에서 탈장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위에서 설명했던 근막부위가 제대로 잘 붙지 못했든지 너무 심하게 당겨져서 근막이 찢어졌든지 하는 상황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5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