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의 성분과 역할에 대한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의 성분과 역할에 대한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혈액
2. 혈액의 조성
3. 혈관계
4. 혈액의 일반적인 특징
5. 혈관(blood vessels)
6. 심혈관계의 압력
7. 혈류역학
8. 체순환계의 혈압
9. 혈압조절

본문내용

은 혈관에 들어오는 혈액량(심박출량: cardiac output)과 혈액이 소동맥을 통하여 말초로 가는양(말초저항: peripheral vascular resistance)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말초저항이 일정할 때 심박출량이 증가한다면 혈압이 높아질 것이고 심박출량은 정상이라 하여도 말초저항이 증가할 때에는 혈압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혈압은 심박출량에 전신순환에서의 말초저항을 곱한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혈압= 심박출량(CO) * 말초저항(PVR)
그림참조(동맥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혈압증가: 혈액량증가. 심박수증가, 일박출량증가, 혈액점성도증가, 말초저항증가
혈압조절에는 신경성 조절과 액성 조절이 있다.
1. 신경성 조절(Neural control)
신경성조절은 자율신경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하에 있는 심장기능의 변화와 교감신경 지배하에 있는 말초혈관 저항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의 변화는 구심성 자극, 심혈관 중추, 원심성 자극 및 효과기를 통해 조절된다.
구심성 자극이란 압력수용기나 화학수용기를 통해 들어온 자극을 말하며, 이 자극이 신경을 통하여 심혈관 중추로 보내지며 심혈관 중추에서는 이 자극을 원심성 신경인 교감, 부교감신경을 통해 효과기(심장과 혈관)로 보내져 혈압이 조절된다.
1) 심혈관 조절중추
그림참조(S-A결절 억제에 의한 혈압조절기전)
2) 구심성 자극
a. 압력수용체(그림참조: 수용기반사)
b. 정맥압수용체 혹은 신전수용기
c. 화학수용체
d. 기타 신경성 조절
2. 액성조절(Humoral control)
액성조절은 혈액량의 증감을 통해서 혈압을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액성조절에는 renin-angiotensin system에 의한 조절과 항아뇨 호르몬에 의한 조절이 있다.
1) renin-angiotensin system에 의한 조절
동맥압이 낮거나 체내 Na+ 이온이 부족하게 되면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에 의해 angitensin II가 생성되는데 이것이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또한 aldosterone에 의해 신장에서 Na+를 재흡수 증가시켜 혈액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킨다.
교재(p107참조)
2) 항아뇨 호르몬에 의한 조절
혈액량의 부족으로 혈압이 하강했을 때 뇌하수체후엽에서는 항이뇨 호르몬(ADH)이 분비된다. ADH는 신장의 집합관에서 수분재흡수를 촉진시켜 혈액량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며 또한 혈압도 정상으로 올려놓는다.

키워드

혈액,   성분,   역할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