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輸血)의 종류, 방법 및 부작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혈(輸血)의 종류, 방법 및 부작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혈의 목적
2. 성분수혈 적응증과 보관법
3. 수혈의 부작용과 치료
4. 수혈반응에 따른 임상증상과 간호중재
5. 수혈방법

본문내용

ed red cell
(농축 적혈구)
200cc, 270cc, 150ml
1~6℃
21일 또는 혈장 제거 후 1시간
만성빈혈, 급성빈혈, 적혈구 기능저하, 사고로 인한 출혈, 수술로 인한 실혈
fresh frozen plasma
(신선동결혈장)
180cc, 160ml
-20~-30℃
1년, 해동 후
2시간이내
간질환 등에 의한 혈액응고 인자 공급, 혈량보충, shock, 화상, 단백질 보충, 수술, 외상으로 인한 대출혈시 혈압보충 및 혈액량 보충
platelet concentrate
(농축혈소판)
40cc
20~24℃
1년
혈소판 감소증, 재생불량성빈혈의 출혈, 혈소판 기능이상, 급성 백혈병
leukocyte-poor RBC= LPRC
(백혈구 제거 적혈구)
160cc
1~6℃
24시간 혹은
조제 후 1시간,
채혈 후 35일
백혈구나 혈장 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예측되는 경우 항백혈구항체로 인한 발열 부작용의 예방과 장기 이식전후
Leukocyte Concentrate= LC
백혈구농축액
제조 후 24시간
백혈구의 감소가 있으면서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감염증, 백혈병등에 사용
EFB(emergen fresh blood)
400c
1~6℃
즉시
채혈후 1~3일
신선한 혈액 세포나 혈장성분을 요할 때, 직계간의 수혈, 교환수혈, 계속적인 다량의 출혈, 출혈성 경향이 있을때
preserved whole blood
400cc
1~6℃
21일간
급성출혈, 수술시 혈량 및 산소운반능력 보강, 빈혈교정, 사고로 인한 출혈
leukopheresis
50~100cc
무과립세포증, 과립구수가 500이하인 종양환자
알부민
쇼크나 화상을 가진 환자의 줄어든 혈량을 확장하기 위해서 저 알부민 혈증의 환자에서 알부민의 증가를 위해 이런 요소들의 결핍과 관련된 출혈시
3. 수혈의 부작용과 치료
* 수혈부작용의 90%이상이 백혈구가 원인
->몸속에 들어온 외부의 W.B.C.가 환자 체내의 항체와 결합하게 되면 대상자 자신의W.B.C가 깨어지면서 파괴되어 발열물질인 pyrogen이 분출된다. 이것이 발열원인이 되고 수혈받은 대상자 가운데 2.7%에 해당되며 1℃체온이 올라감(비용혈성 수혈부작용)
* 체내 혈소판-동족면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
수혈로 체내에 들어온 타인의 W.B.C가 HLA와 T-cell의 접합으로 항체를 형성(이항체가 혈소판의 HLA와 작용->혈소판 파괴)
->외부의 백혈구가 대상자 몸속에 들어오면 백혈구가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8.20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