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목차
가담항설(街談巷說)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세상에 떠도는 뜬 소문. [街 거리 가/談 말씀 담/巷 거리 항/說말씀 설] [동]道聽道說(도청도설),街談巷語 (가담항어) [출전] 『논어(論語)』양화편(陽貨篇),『..
가렴주구(苛斂誅求)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들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음. [苛 가혹할 가/斂 거둘 렴/誅 꾸짖을 주/求구할 구] **斂出(出斂-->추렴)./갹출(醵出).--..
가인박명(佳人薄命)
아름다운 여인은 운명이 기박함. [佳 아름다울 가/人 사람 인/薄 적을 박/命 목숨 명] 《出典》'蘇軾'의 詩 아래 시의 작자 소식(蘇軾:1036-1101)이 항주, 양주 등의 지방장관으로 있을 때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는 백성들에게 있어 호랑이에게 잡혀 먹히는 고통보다 더 무섭다는 말. [苛 가혹할 가/政 정사 정/猛 사나울 맹/於 어조사 어/虎 ..
각주구검(刻舟求劍)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자 뱃전에 표시를 했다가 나중에 그 칼을 찾으려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의 비유.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劍:칼 검] [준말]각주(..
간담상조(肝膽相照)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뜻. 곧 ① 상호간에 진심을 터놓고 격의 없이 사귐. ②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 [肝 간 간/膽 쓸개 담/相 서로 상/照 비칠 조] (유사어) 피간담(披肝..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세상에 떠도는 뜬 소문. [街 거리 가/談 말씀 담/巷 거리 항/說말씀 설] [동]道聽道說(도청도설),街談巷語 (가담항어) [출전] 『논어(論語)』양화편(陽貨篇),『..
가렴주구(苛斂誅求)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들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음. [苛 가혹할 가/斂 거둘 렴/誅 꾸짖을 주/求구할 구] **斂出(出斂-->추렴)./갹출(醵出).--..
가인박명(佳人薄命)
아름다운 여인은 운명이 기박함. [佳 아름다울 가/人 사람 인/薄 적을 박/命 목숨 명] 《出典》'蘇軾'의 詩 아래 시의 작자 소식(蘇軾:1036-1101)이 항주, 양주 등의 지방장관으로 있을 때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는 백성들에게 있어 호랑이에게 잡혀 먹히는 고통보다 더 무섭다는 말. [苛 가혹할 가/政 정사 정/猛 사나울 맹/於 어조사 어/虎 ..
각주구검(刻舟求劍)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자 뱃전에 표시를 했다가 나중에 그 칼을 찾으려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의 비유.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劍:칼 검] [준말]각주(..
간담상조(肝膽相照)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뜻. 곧 ① 상호간에 진심을 터놓고 격의 없이 사귐. ②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 [肝 간 간/膽 쓸개 담/相 서로 상/照 비칠 조] (유사어) 피간담(披肝..
본문내용
부( ), 철부(轍 ). [동의..
한단지몽(邯鄲之夢)
한단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의 비유. [邯 땅 이름 한/鄲 땅 이름 단/之 갈 지(…의)/夢 꿈 몽] [동의어] 한단지침(邯鄲之枕), 한단몽침(邯鄲夢枕), 노..
한단지보(邯鄲之步)
자기가 지켜야 할 본분을 모르고 마구 남의 흉내를 내면 두 가지를 다 잃는다는 말 [邯 조나라서울 한/鄲 조나라서울 단/之 이를 지/步 걸을 보] [동]한단학보[邯鄲學步][유]追二兎不得二兎 ..
한우충동(汗牛充棟)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에 가득 찬다\'는 뜻으로 썩 많은 장서(臧書)를 이르는 말. [汗 땀 한/牛 소 우/充 가득찰 충/棟 마룻대 동] 《出典》柳宗元 \'陸文通先生墓表\'..
함흥차사(咸興差使)
강원도 포수. 일을 보러 밖에 나간 사람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을 때 하는 말. [咸 모두 함/興 일으킬 흥/差 어긋날 자/使 부릴 사] [동]終無消息(종무소식)/ 함안차사 (咸安差使) [내용]..
합종연형(合從連衡)
공수(攻守)동맹의 뜻 [合 합할 합/從 따를 종/連 이을 연/衡 저울 형] 소진(蘇秦)은 장의(張儀)와 더불어 전국(戰國)시대 중엽(前四世紀後半)의 중국 전토를 세 치의 혀(舌)와 두 다리를 가..
해로동혈(偕老同穴)
부부가 화목하여, 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같은 무덤에 묻힘. 부부사이의 화목함. [偕 함께 해/老 늙을 로/同 같을 동/穴 구멍 혈] [출전]『시경(詩經)』 [내용] 격고(擊鼓)라는 시에,..
해어화(解語花)
말을 이해하는 꽃- 美人이라는 뜻 [解 풀 해/語 말 어/花 꽃 화] [출전]『開元天寶遺事』 당(唐)의 서울 장안(長安)은 이제 화창(和暢)한 봄을 보내고, 훈풍(薰風)이 불어오는 여름을 맞이하..
허례허식(虛禮虛飾)
예절, 법식 등을 겉으로만 번드레하게 하는 일. [虛 빌 허/禮 예절 례/飾 꾸밀 식] [사용 예] 정호선 전 국회의원은 “대부분의 정치인들이 자신의 세를 과시하기 위해 출판기념회에 사람들..
허장성세(虛張聲勢)
실속이 없으면서 허세만 떠벌림. [虛 빌 허/張 베풀 장/聲 소리 성/勢 세력 세] [사용 예] \'눈 감고도 3할을 친다\'는 양준혁의 타격 비법은 결국 명성을 이용한 약간의 허장성세와 서두르지..
형설지공(螢雪之功)-형창설안(螢窓雪案)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雪)이 비치는 책상이라는 뜻으로,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에 힘씀을 비유한 말. [螢 반딧불 형/雪 눈 설/之 어조사 지/功 공 공] [원말]螢窓雪案(형창설안) [출전]..
호가호위(狐假虎威)
원님 덕에 나팔 분다. 다른 사람의 권세를 빌어서 위세를 부림. [狐 여우 호/假 거짓 가/虎 범 호/威 위엄 위] [동]借虎爲狐(차호위호). 假虎威狐(가호위호). [속담] 문선왕(공자) 끼고 송..
호연지기(浩然之氣)
①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도 큰 원기. ②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 정대하여 조금도 부끄러울 바 없는 도덕적 용기. ③ 사물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고 즐거운 마음. [浩 넓을 호/然 그..
호접지몽(胡蝶之夢)
나비가 된 꿈이란 뜻. 곧 ① 물아 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물아의 구별을 잊음의 비유. ②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심경. ③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④ 꿈. [胡 오랑캐 어찌 호/蝶 나비 접/之 ..
혼정신성 (昏定晨省)
저녁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정하고 아침에는 부모님께서 안녕히 주무셨는지를 살핌 [昏 어두울 혼/定 정할 정/晨 새벽 신/省 살필 성] [준]定省[유]온청정성[溫淸定省] [출전]『禮記』 [..
홍일점(紅一點)
① 여럿 가운데서 오직 하나 이채를 띠는 것. ② 많은 남자들 틈에 오직 하나뿐인 여자. ③ 여러 하찮은 것 가운데 단 하나 우수한 것. [紅 붉을 홍/一 한 일/點 점 점찍을 흠 점] [출전] ≪..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리는데 눈동자도 그려 넣는다는 뜻. 곧 ①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시킴. 끝손질을 함. ② 사소한 것으로 전체가 돋보이고 활기를 띠며 살아남의 비유. [畵 그림 화/龍 용 룡/..
화사첨족(畵蛇添足)
쓸데없는 군일을 하다가 도리어 실패함. [畵 그림 화/蛇 뱀 사/添 더할 첨/足 발 족] [동]蛇足(사족). /牀上安牀(상상안상) 《出典》\'戰國策\' / \'史記\' 전국시대인 초(楚)나라 회황(懷王) ..
화서지몽(華胥之夢)
화서의 꿈이란 뜻으로, 좋은 꿈이나 낮잠을 이르는 말. [華 빛날 화/胥 서로 서/之 갈 지(…의)/夢 꿈 몽] [유사어] 화서지국(華胥之國). 유화서지국(遊華胥之國). [참조] 호접지몽(胡蝶之夢..
화씨지벽(和氏之璧)
천하 명옥(天下名玉)의 이름. [和 화할 화/氏 각시 씨/之 갈 지(…의)/璧 둥근 옥 벽] [준말] 화벽(和璧). [동의어] 변화지벽(卞和之璧) [유사어] 완벽(完璧). 연성지벽(連城之璧) [참조] 완..
화용월태(花容月態)
꽃같은 용모에 달같은 몸매. [花 꽃 화/容 얼굴 용/月 달 월/態 모양 용모 태]
회빈작주(回賓作主)
주장하는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함. [回 돌릴 회/賓 손님 빈/作 일어날 작/主 주인 주]
효시(嚆矢)
\'우는 화살\'이란 뜻으로 옛날에 전쟁을 할 경우에 가장 소리가잘나는 화살을 쏘아서 개전(開戰)을 알렸다는 데서 유래한 말. [嚆 울 효/矢 화살 시] [동]最初(최초). /濫觴(람상) : 큰 강..
후생가외(後生可畏)
젊은 후배들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 곧 젊은 후배들은 선인(先人→先生)의 가르침을 배워 어떤 훌륭한 인물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가히 두렵다는 말. [後 뒤 후/生 날 생/可 가히 가/畏 두..
후안무치(厚顔無恥)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름. [厚 두터울 후/顔 얼굴 안/無 없을 무/恥 부끄러워할 치] [사용 예] 한 관객은 “정치 집단의 반발이라도 불러서 매스컴을 타보려던 것도 상식을 벗어난 잔..
희수(喜壽)
77세. 「희(喜)」자를「칠」로도 썼기 때문에 喜壽는‘七 + 七’세 즉, 77세를 일컬음. [喜 기쁠 희/壽 나이 수] [사용 예] 그는 대한항공에서 정년 퇴임한 뒤, 62세 때 처음 해외 등반을 ..
한단지몽(邯鄲之夢)
한단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의 비유. [邯 땅 이름 한/鄲 땅 이름 단/之 갈 지(…의)/夢 꿈 몽] [동의어] 한단지침(邯鄲之枕), 한단몽침(邯鄲夢枕), 노..
한단지보(邯鄲之步)
자기가 지켜야 할 본분을 모르고 마구 남의 흉내를 내면 두 가지를 다 잃는다는 말 [邯 조나라서울 한/鄲 조나라서울 단/之 이를 지/步 걸을 보] [동]한단학보[邯鄲學步][유]追二兎不得二兎 ..
한우충동(汗牛充棟)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에 가득 찬다\'는 뜻으로 썩 많은 장서(臧書)를 이르는 말. [汗 땀 한/牛 소 우/充 가득찰 충/棟 마룻대 동] 《出典》柳宗元 \'陸文通先生墓表\'..
함흥차사(咸興差使)
강원도 포수. 일을 보러 밖에 나간 사람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을 때 하는 말. [咸 모두 함/興 일으킬 흥/差 어긋날 자/使 부릴 사] [동]終無消息(종무소식)/ 함안차사 (咸安差使) [내용]..
합종연형(合從連衡)
공수(攻守)동맹의 뜻 [合 합할 합/從 따를 종/連 이을 연/衡 저울 형] 소진(蘇秦)은 장의(張儀)와 더불어 전국(戰國)시대 중엽(前四世紀後半)의 중국 전토를 세 치의 혀(舌)와 두 다리를 가..
해로동혈(偕老同穴)
부부가 화목하여, 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같은 무덤에 묻힘. 부부사이의 화목함. [偕 함께 해/老 늙을 로/同 같을 동/穴 구멍 혈] [출전]『시경(詩經)』 [내용] 격고(擊鼓)라는 시에,..
해어화(解語花)
말을 이해하는 꽃- 美人이라는 뜻 [解 풀 해/語 말 어/花 꽃 화] [출전]『開元天寶遺事』 당(唐)의 서울 장안(長安)은 이제 화창(和暢)한 봄을 보내고, 훈풍(薰風)이 불어오는 여름을 맞이하..
허례허식(虛禮虛飾)
예절, 법식 등을 겉으로만 번드레하게 하는 일. [虛 빌 허/禮 예절 례/飾 꾸밀 식] [사용 예] 정호선 전 국회의원은 “대부분의 정치인들이 자신의 세를 과시하기 위해 출판기념회에 사람들..
허장성세(虛張聲勢)
실속이 없으면서 허세만 떠벌림. [虛 빌 허/張 베풀 장/聲 소리 성/勢 세력 세] [사용 예] \'눈 감고도 3할을 친다\'는 양준혁의 타격 비법은 결국 명성을 이용한 약간의 허장성세와 서두르지..
형설지공(螢雪之功)-형창설안(螢窓雪案)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雪)이 비치는 책상이라는 뜻으로,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에 힘씀을 비유한 말. [螢 반딧불 형/雪 눈 설/之 어조사 지/功 공 공] [원말]螢窓雪案(형창설안) [출전]..
호가호위(狐假虎威)
원님 덕에 나팔 분다. 다른 사람의 권세를 빌어서 위세를 부림. [狐 여우 호/假 거짓 가/虎 범 호/威 위엄 위] [동]借虎爲狐(차호위호). 假虎威狐(가호위호). [속담] 문선왕(공자) 끼고 송..
호연지기(浩然之氣)
①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도 큰 원기. ②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 정대하여 조금도 부끄러울 바 없는 도덕적 용기. ③ 사물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고 즐거운 마음. [浩 넓을 호/然 그..
호접지몽(胡蝶之夢)
나비가 된 꿈이란 뜻. 곧 ① 물아 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물아의 구별을 잊음의 비유. ②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심경. ③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④ 꿈. [胡 오랑캐 어찌 호/蝶 나비 접/之 ..
혼정신성 (昏定晨省)
저녁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정하고 아침에는 부모님께서 안녕히 주무셨는지를 살핌 [昏 어두울 혼/定 정할 정/晨 새벽 신/省 살필 성] [준]定省[유]온청정성[溫淸定省] [출전]『禮記』 [..
홍일점(紅一點)
① 여럿 가운데서 오직 하나 이채를 띠는 것. ② 많은 남자들 틈에 오직 하나뿐인 여자. ③ 여러 하찮은 것 가운데 단 하나 우수한 것. [紅 붉을 홍/一 한 일/點 점 점찍을 흠 점] [출전] ≪..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리는데 눈동자도 그려 넣는다는 뜻. 곧 ①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시킴. 끝손질을 함. ② 사소한 것으로 전체가 돋보이고 활기를 띠며 살아남의 비유. [畵 그림 화/龍 용 룡/..
화사첨족(畵蛇添足)
쓸데없는 군일을 하다가 도리어 실패함. [畵 그림 화/蛇 뱀 사/添 더할 첨/足 발 족] [동]蛇足(사족). /牀上安牀(상상안상) 《出典》\'戰國策\' / \'史記\' 전국시대인 초(楚)나라 회황(懷王) ..
화서지몽(華胥之夢)
화서의 꿈이란 뜻으로, 좋은 꿈이나 낮잠을 이르는 말. [華 빛날 화/胥 서로 서/之 갈 지(…의)/夢 꿈 몽] [유사어] 화서지국(華胥之國). 유화서지국(遊華胥之國). [참조] 호접지몽(胡蝶之夢..
화씨지벽(和氏之璧)
천하 명옥(天下名玉)의 이름. [和 화할 화/氏 각시 씨/之 갈 지(…의)/璧 둥근 옥 벽] [준말] 화벽(和璧). [동의어] 변화지벽(卞和之璧) [유사어] 완벽(完璧). 연성지벽(連城之璧) [참조] 완..
화용월태(花容月態)
꽃같은 용모에 달같은 몸매. [花 꽃 화/容 얼굴 용/月 달 월/態 모양 용모 태]
회빈작주(回賓作主)
주장하는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함. [回 돌릴 회/賓 손님 빈/作 일어날 작/主 주인 주]
효시(嚆矢)
\'우는 화살\'이란 뜻으로 옛날에 전쟁을 할 경우에 가장 소리가잘나는 화살을 쏘아서 개전(開戰)을 알렸다는 데서 유래한 말. [嚆 울 효/矢 화살 시] [동]最初(최초). /濫觴(람상) : 큰 강..
후생가외(後生可畏)
젊은 후배들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 곧 젊은 후배들은 선인(先人→先生)의 가르침을 배워 어떤 훌륭한 인물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가히 두렵다는 말. [後 뒤 후/生 날 생/可 가히 가/畏 두..
후안무치(厚顔無恥)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름. [厚 두터울 후/顔 얼굴 안/無 없을 무/恥 부끄러워할 치] [사용 예] 한 관객은 “정치 집단의 반발이라도 불러서 매스컴을 타보려던 것도 상식을 벗어난 잔..
희수(喜壽)
77세. 「희(喜)」자를「칠」로도 썼기 때문에 喜壽는‘七 + 七’세 즉, 77세를 일컬음. [喜 기쁠 희/壽 나이 수] [사용 예] 그는 대한항공에서 정년 퇴임한 뒤, 62세 때 처음 해외 등반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