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건강하고, 고학력이며, 도시생활에 적응한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그보다도 가족구조 및 형태의 변화에 있어서 고령화사회의 사회정책적 관심대상은 노인단독가구의 증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노인단독세대의 급증은 한편에서는 노인복지시설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양적인 확보와 그러한 시설에 기초한 다양한 재가복지 서비스의 개발, 그리고 독거노인이 자신의 위험을 통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위 ‘긴급통지시스템’의 개발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책적 요구는 인구고령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후기 고령화 및 장애노인의 급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1995년 조사에 의하면 ADL나 IADL의 장애로 말미암아 재가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람은 123만명(전채 노인의 46.3%)이며 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혼자서 생활할 수 없는 허약노인의 수가 약15만명(전체노인의 5.6%)에 이르고 있다. 또한 65세 이상의 치매노인도 15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성재,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유형과 전망」, 대한건축학회, 1998, pp. 14-21.
이와 어울러 심리사회적 소외와 갈등 및 고독 문제 역시 간과해서는 안될 부분이다. 세대간 교육 수준의 차이와 이에 따른 세대간의 가치관 차이는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기회를 줄게 하고 있고, 노인에게 가족과 집안일의 결정에서 제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핵가족화 및 도시화로 인한 지리적 거리 역시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와 만남의 기회를 감소시고, 역할상실과 고립으로 인한 노인들의 고독감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가정에서의 소외와 갈등 문제 해결과 요보호 노인에 대한 관심이야 말로 앞으로 개별 가정의 변화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강남식, 1994, 「영국과 스웨덴의 여성정책」, 창작과 비평사.
강희경, 2005, 「‘건강가정’담론의 불건강성」, 경제와 사회.
서동희, 2001, 「스웨덴, 영국 그리고 한국의 여성과 연금정책」, 버밍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승태우, 1996, 「우리나라 人口高齡化의 변화양상 및 地域的 差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김경일서동진, 1999, 「가족제도의 운명과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 창작과비평.
최성재, 1998,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유형과 전망」, 대한건축학회.
한혜경, 1994, 「동반자적 부부관계 정립을 위한 소고」, 여성연구 44호.
그보다도 가족구조 및 형태의 변화에 있어서 고령화사회의 사회정책적 관심대상은 노인단독가구의 증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노인단독세대의 급증은 한편에서는 노인복지시설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양적인 확보와 그러한 시설에 기초한 다양한 재가복지 서비스의 개발, 그리고 독거노인이 자신의 위험을 통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위 ‘긴급통지시스템’의 개발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책적 요구는 인구고령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후기 고령화 및 장애노인의 급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1995년 조사에 의하면 ADL나 IADL의 장애로 말미암아 재가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람은 123만명(전채 노인의 46.3%)이며 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혼자서 생활할 수 없는 허약노인의 수가 약15만명(전체노인의 5.6%)에 이르고 있다. 또한 65세 이상의 치매노인도 15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성재,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유형과 전망」, 대한건축학회, 1998, pp. 14-21.
이와 어울러 심리사회적 소외와 갈등 및 고독 문제 역시 간과해서는 안될 부분이다. 세대간 교육 수준의 차이와 이에 따른 세대간의 가치관 차이는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기회를 줄게 하고 있고, 노인에게 가족과 집안일의 결정에서 제외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핵가족화 및 도시화로 인한 지리적 거리 역시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와 만남의 기회를 감소시고, 역할상실과 고립으로 인한 노인들의 고독감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가정에서의 소외와 갈등 문제 해결과 요보호 노인에 대한 관심이야 말로 앞으로 개별 가정의 변화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강남식, 1994, 「영국과 스웨덴의 여성정책」, 창작과 비평사.
강희경, 2005, 「‘건강가정’담론의 불건강성」, 경제와 사회.
서동희, 2001, 「스웨덴, 영국 그리고 한국의 여성과 연금정책」, 버밍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승태우, 1996, 「우리나라 人口高齡化의 변화양상 및 地域的 差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김경일서동진, 1999, 「가족제도의 운명과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 창작과비평.
최성재, 1998,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 고령화사회의 노인시설 유형과 전망」, 대한건축학회.
한혜경, 1994, 「동반자적 부부관계 정립을 위한 소고」, 여성연구 44호.
키워드
추천자료
- 한국 가족문제 분석과 해결적 가족복지 방안
- [한국사회문화][한국문화]한국사회의 청소년놀이문화, 한국사회의 동창회문화, 한국사회의 퓨...
- 한국 재혼가족의 실태와 가족치료적 접근
- 한국의 가족복지 (일과 가족의 양립 현실과 정책방향) 보고서
- 한국의 가족복지 (일과 가족의 양립 현실과 정책방향) 파워포인트 PPT
- 가족복지) 한국 가족복지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 (A+) 한국과 외국의 가족복지정책과 변화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의 가족정책과 비교하여 ...
- (A+) 한국과 외국의 가족복지정책과 변화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의 가족정책과 비교하여 ...
- 한국 가족치료의 전망으로서 포괄적 가족정책수립과 가족치료 자격제도의 도입의 필요성을 생...
- 한국 가족의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변화된 가족가치관에 대해 서술. 그리고 가족과 관련된 드...
- [★우수레포트★, 한국 가족의 변화] KBS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를 통해 살펴본 한국 가족의 ...
-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서 앞으로의 발전...
-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한국의 가족家族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
- 한국의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특성의 변화에 대해 예상해보고 그에 대한 예방책은 무엇인지 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