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드라고지의 정의
2. 안드라고지와 페다고지의 기본가정 비교
3. 안드라고지(andragogy)의 특성
4. 안드라고지(andragogy)의 논쟁
2. 안드라고지와 페다고지의 기본가정 비교
3. 안드라고지(andragogy)의 특성
4. 안드라고지(andragogy)의 논쟁
본문내용
의 성인(adult)에 해당하는 고대 희랍어는 teleios이므로 성차별주의적인 영어인 안드라고지(andragogy)가 아니라 텔리아고지(teleiagogy)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또한 크로스(Cross)는 노울즈(Knowles)의 학습자로서 성인에 대한 가정은 문제가 있으며, 이상적인 상황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Day와 Baskett는 안드라고지(andragogy)에 대한 노울즈(Knowles)의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였고, Hartree는 노울즈(Knowles)가 본질적으로 개념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McKenzie, Carlson 등에 의한 지지적인 주장에도 불구하고 안드라고지(andragogy)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또한 크로스(Cross)는 노울즈(Knowles)의 학습자로서 성인에 대한 가정은 문제가 있으며, 이상적인 상황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Day와 Baskett는 안드라고지(andragogy)에 대한 노울즈(Knowles)의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였고, Hartree는 노울즈(Knowles)가 본질적으로 개념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McKenzie, Carlson 등에 의한 지지적인 주장에도 불구하고 안드라고지(andragogy)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소개글